파리 테러, 축구장에도 여파...관중들 경기장 못 떠나

  • OSEN

입력 : 2015.11.14 09:02




[OSEN=허종호 기자] 파리에서 일어난 연쇄 테러에 축구장도 영향을 받았다.

14일(이하 한국시간) 프랑스 파리에 위치한 스타드 드 프랑스에서는 프랑스와 독일의 친선경기가 열렸다. 그러나 선수들과 관중들은 경기에 집중하지 못했다. 경기가 열리던 시각 파리에서 동시 다발적인 테러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심지어 스타드 드 프랑스 인근에서도 폭발 테러가 발생했다. 수 많은 관중이 스타드 드 프랑스에서 환호성을 내지르고 있었지만, 인근에서 터진 폭발물에 순간적인 침묵이 발생했다. 선수들도 놀라 경기를 멈출 정도였다.

현재 테러 피해가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최소 60명이 숨진 것으로 알려졌다. 게다가 파리 시내에 위치한 극장에서는 인질극이 벌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스타드 드 프랑스에서 경기를 관전하고 있던 프랑수아 올랑드 대통령은 대피한 뒤 긴급회의를 갖고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하지만 테러가 끝난 것으로 파악되지 않은 탓에 스타드 드 프랑스의 수 많은 관중은 아직 경기장을 떠나지 못하고 있다. 복수의 유럽 매체에 따르면 현재 스타드 드 프랑스에는 어떤 사람도 입장하거나 떠나는 것이 금지돼 있다. 이 때문에 관중들은 그라운드로 내려와 사태가 종료되길 기다리고 있다. /sportsher@osen.co.kr
[사진] ⓒAFPBBNews = News1(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파리 연쇄 테러 발생, 국가 비상사태 선포

올랑드 대통령 "전대미문의 테러, 단호한 태도로 대응"... 이슬람 극단주의 소행 가능성

15.11.14 09:37l최종 업데이트 15.11.14 09:41l
기사 관련 사진
 프랑스 파리에서 발생한 동시 다발 테러를 보도하는 <르몽드> 갈무리.
ⓒ 르몽드

관련사진보기


프랑스 파리에서 총격·폭발·인질극 등 최악의 동시 다발 테러가 발생해 최소 60명이 숨졌다. 프랑스는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하고 국경을 폐쇄했다.

주요 외신에 따르면 지난 13일 밤(현지시각) 파리 도심 극장과 식당에 무장 괴한이 침입해 총기를 난사했고, 프랑스와 독일의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가 열린 스타드 드 프랑스 인근에서도 여러 건의 폭발이 발생해 경기를 관람하던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과 수만 명의 관중이 긴급 대피했다.

이날 파시 10구의 한 식당에서는 괴한이 난입해 칼라시니코프 소총을 난사해 11명이 사망했다. 또한 스타드 드 프랑스 인근 술집에서도 2건 이상의 자살 폭탄 테러로 인명 피해가 발생해 경찰이 조사 중이다. 축구를 관전하던 올랑드 대통령은 테러 소식을 듣고 경호대와 함께 긴급 피신했다.

비슷한 시각 파리 11구에 있는 바타클랑 공연장에서도 테러리스트들의 인질극이 벌어져 최소 15명이 사망하고, 나머지 관객은 인질로 잡혀있다. 정확한 인질 규모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지만, 당시 공연장에는 최소 100여 명의 관객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파리에서 발생한 테러 사건으로 현재까지 최소 60명이 사망했다. 프랑스는 경찰을 총동원해 진압에 나서고 있지만 추가 테러 우려와 인질극까지 벌어지고 있어 인명 피해가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프랑스 경찰은 총 7곳에서 테러가 발생했으며, 인질극이 벌어지고 있는 공연장 내부에 곧 경찰을 투입해 테러 진압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총격범 "알라는 위대하다"... 이슬람 극단주의 소행 가능성

기사 관련 사진
 프랑스 파리에서 발생한 동시 다발 테러를 보도하는 CNN 뉴스 갈무리.
ⓒ CNN

관련사진보기


축구를 관람하다 피신한 올랑드 대통령은 마뉘엘 발스 총리, 베르나르 카즈뇌브 내무장관 등과 함께 긴급 국무회의를 소집했다. 올랑드 대통령은 TV 연설을 통해 "전대미문의 테러 공격이 발생했다"라고 밝혔다.

올랑드 대통령은 "프랑스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최악의 공격을 당하며 수십여 명이 사망했다"라며 "그러나 프랑스 국민은 더욱 결집하고 단호한 태도로 테러에 대항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 테러에 대응하기 위해 국무회의를 소집했고, 곧 프랑스 전역에 국가비상사태가 선포될 것"이라며 "2차 조치로 국경 폐쇄를 발동하고 검문을 강화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아직 이번 테러를 저질렀다고 주장하는 개인이나 단체는 나오지 않고 있다. 하지만 언론 보도에 따르면 식당에서 소총을 난사한 총격범이 "알라는 위대하다, 시리아를 위해"라고 외친 것으로 알려져 이슬람 극단주의자들의 소행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 1월 파리에서 풍자 주간지 <샤를리 에브도> 총기 난사 테러와 유대인 식료품점에서 연쇄 테러 사건으로 안보 강도를 최고로 높인 프랑스는 또다시 최악의 테러를 당하면서 큰 충격에 빠졌다.

국제사회 비난 한목소리, "테러 진압 지원할 것"

기사 관련 사진
 프랑스 파리 테러 사건에 대한 긴급 성명을 발표하는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의 TV 연설 갈무리.
ⓒ CNN

관련사진보기


이날 프랑스 테러 사건으로 영국, 이탈리아 등이 경계 태세를 강화하는 등 주변국에서도 긴장이 고조되며 국제사회가 한목소리로 비난을 쏟아냈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무고한 시민을 위협하는 테러는 반드시 심판할 것"이라며 "이번 사건은 프랑스뿐만 아니라 모든 인류에 대한 공격"이라고 강도 높게 비난했다.

오바마 대통령 역시 이번 사건을 테러로 규정하며 "희생자와 부상자들에게 신의 가호가 있기를 기원하며, 테러리스트들에게 정의를 보여주기 위해 프랑스에 모든 협력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프랑스와 축구 국가대표 경기를 펼친 독일 정부도 앙겔라 메르켈 총리 성명을 통해 "깊은 충격을 받았다"라며 "독일은 모든 희생자와 유족, 파리 시민들과 마음을 함께할 것"이라고 밝혔다.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도 성명을 통해 "파리에서 발생한 사건에 큰 충격을 받았다"라며 "영국인의 기도가 프랑스 국민과 함께 있으며, 필요한 모든 지원을 할 것"이라며 강조했다.

축구경기 중 테러 소식에 대피하는 관중들

뉴시스 | 오애리 | 입력 2015.11.14. 09:09

【파리=AP/뉴시스】프랑스 파리에서 13일(현지시간) 축구경기 도중 연쇄테러가 발생했다는 소식을 들은 관객들이 급히 피신하고 있다. 이날 테러로 60여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자살폭탄테러 1건은 축구경기장 밖에서 발생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2015.11.14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성폭행 예방, ‘스마트 단추’ 나왔다…경보음+문자 자동 전송

글자크기
광고
[HOOC=윤병찬 기자] 성폭행 등을 막아주는 스마트 단추가 나와 화제입니다.

‘아데나’(Athena)라는 단추인데요. 압력이 가해지면 자체적으로 경보음이 나고 경찰 등에 현 위치를 문자 메시지로 자동 전송합니다.

동전 크기. 벨트나 옷, 가방 등에 달거나 목걸이로 착용할 수도 있습니다.

헤럴드경제

[사진출처=인디고고][사진출처=인디고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 제품은 크라우드 펀딩 사이트인 인디고고(https://www.indiegogo.com/projects/roar-smart-safety-jewelry-to-reduce-assaults#/)에서 폭발적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당초 4만 달러를 목표로 했는데, 17만9000달러가 모금됐습니다.

가격은 99달러입니다.

아데나의 비밀은 작은 블루트스 칩입니다. 단추안에 내장된 이 칩은 스마트폰과 연동됩니다.

헤럴드경제

[사진출처=인디고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데나는 미국 펜실바니에서 거주하는 야스민 무스타파 등 4명이 개발했습니다.

yoon4698@heraldcorp.com

日 총리공관에 ‘세슘’ 드론 날린 항공자위대 출신…그는 왜?

뉴스1

입력 2015-04-27 11:46:00 수정 2015-04-27 11:46:10

|
뉴스듣기
|

닫기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싸이월드
  • 네이버
  • 구글
일본 총리 관저 옥상으로 방사능 물질이 담긴 무인기(드론)을 날렸다가 체포돼 경찰 조사를 받고 있는 일본인 40대 남성은 항공 자위대 출신으로 남들의 눈에 띄지 않도록 이른 아침에 비행 연습을 했다고 일본 언론들이 27일 보도했다.

지난 24일 밤 후쿠이(福井)현 오바마(小浜) 경찰서에 자수한 용의자 야마모토 야스오(山本泰雄·40)는 위력에 의한 업무방행 혐의로 조사를 받고 있으며, 자신이 작성했다고 인정한 블로그에서 드론을 여러 개 준비해 개조하고 운전을 반복한 것으로 기술했다.

니혼게이자이에 따르면 용의자는 지난해 9월에는 중국 업체 다장(DJI)의 '팬텀' 사진을 게재했지만 기능이 불충분하다며 12월에는 팬텀의 다른 기종을 마련했다고 전했다.

그는 기체에 소형 카메라와 통신장비를 설치해 영상을 보면서 원격 조작할 수 있도록 했으며 야간 비행에서 눈에 띄지 않도록 흰색 기체를 검은 색으로 칠했다. 밑에는 발광다이오드(LED) 조명도 도료로 덧칠했다. 

그는 또 눈에 띄지 않도록 이른 아침에 비행 연습을 반복하며 조작방법이나 적재량을 확인했다. 올해 4월에는 발연통을 탑재해 원격 조작으로 발화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도 했다.

그는 이달 9일 새벽에 관저를 향해 드론을 비행시켰는데 기체가 실종됐다. 22일 관저 옥상에서 발견될 때까지 다시 드론을 날리기 위해 회색칠을 한 기체를 준비하기도 했다.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용의자는 고교 졸업 후 항공 자위대에 들어가 현외의 기지에 배속됐지만 그만두고 집으로 돌아왔다. 또 몇년 전에는 현내 사업소가 있는 대기업에 취직했지만 지난 여름에 그만뒀다. 이후 장기간 집을 비웠다. 

야마모토는 지난 24일 군 위장복 차림으로 경찰서에 출두하면서 "원전 정책에 불만이 있었다"며 "내가 관저에 드론을 날렸다"고 말했다. 또 "지난 9일 오전 3시30분께 날렸다"며 "지난해 12월에도 관저 근처에 드론을 가져갔었지만 날리지는 않았다"고 진술했다.

지난 22일 총리 관저 옥상에서는 날개가 4개 달린 헬기 형태의 드론이 떨어졌다. 드론의 하단에는 방사선 마크 스티커가 붙은 플라스틱 용기가 부착돼 있었으며 조사 결과 방사성 물질인 세슘 134와 137이 검출됐다.

(서울=뉴스1)  

밤샘근무한 학교 경비원 사망, 열악한 근무여건 논란


학교 경비원으로 일하던 50대 비정규직 근로자가 근무 도중 숨지면서 열악한 근무 여건이 도마 위에 올랐다.

31일 충북 충주경찰서와 충주교육지원청 등에 따르면 지난 28일 오전 7시 40분쯤 충주 A중학교에서 경비 근무를 서던 박모(59) 씨가 숨진 채 발견됐다.

학생과 교사들이 119구조대와 경찰에 신고해 박 씨를 병원으로 옮겼으나 이미 숨진 뒤였다.

경찰은 평소 몸이 약했던 박 씨가 잇단 밤샘 근무를 하다 심근경색으로 숨진 것으로 보고 있다.

박 씨는 용역업체 B사에 고용돼 지난 3월부터 이 학교에서 경비로 일하면서 매일 혼자 숙직을 전담하다시피 해왔다.

주유소에서 일했던 박 씨는 경비 업무는 처음이었다고 학교 관계자가 전했다.

박 씨는 오후 4시 30분 출근해 이튿날 오전 8시까지 15∼16시간 정도 일한 뒤 퇴근했다가 8시간을 쉬고 다시 출근하는 일을 반복해 왔다.

한 달에 주어지는 휴무일은 나흘뿐이다. 일주일에 한 번꼴이다. 자신이 원하는 날을 골라 쉴 수 있다는 게 박 씨를 고용한 용역업체의 설명이다.

이렇게 일하고 받는 월급은 100만원도 안 된다.

박 씨처럼 용역업체에서 파견된 비정규직 학교 경비원은 교사의 숙직이 없어진 뒤 빈자리를 대신해 왔다.

지방자치단체와 학교별로 조금씩 다르긴 하지만 학교 경비원의 근무시스템과 처우는 대체로 비슷한 것으로 알려졌다.

예전에는 지금보다도 상황이 훨씬 더 열악했다.

2013년까지만 해도 쉬는 날이 거의 없었다. 심지어 명절 연휴 때 하루도 쉬지 못해 자녀나 손주들의 세배조차 학교 숙직실에서 받아야 했다고 한다.

이후 한 달에 2번 휴무일이 생겨났고, 80만 원 수준이던 월급도 90∼100만원으로 올랐다.

한 용역업체 대표는 "나이 드신 분들의 근무여건이 너무 열악해 개선해 보려고 애쓰지만 업체 입장에서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며 "예전보다 나아졌지만 개선될 부분이 아직도 많다"고 말했다.

교육당국도 근무여건 개선을 위해 노력하지만 개별 학교와 용역업체들 간의 계약이라 강제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없다는 입장이다.

이동준 기자 blondie@segye.com

'공중 테러 막아라'…드론 잡는 첨단 전자총

  • 조회수 6,528

입력 : 2015.10.18 21:06|수정 : 2015.10.19 11:03

댓글 0 좋아요 1
  •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3222201&plink=ORI&cooper=NAVER

드론 사격 동영상 파문 공항·항공이야기

2015.07.22. 16:19

복사 http://airstory.kr/220427976717

전용뷰어 보기

숲속을 날고 있는 드론(무인기)에서 권총을 쏘는 동영상이 유튜브(YouTube)에 올라와, 미국에서 드론사용에 대한 위험성 논란이 재연되고 있다.

 

문제의 동영상은 코네티컷 주 클린턴에 사는 18세의 대학생이 쓴 것으로 보인다. 아버지는 아들이 대학교 수업에서 이 드론을 만들었으며 위법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동영상에 따르면 드론이 비행한 곳은 사유지로 보이며 길이 수십 cm 정도로 전방에 검은 단총이 설치돼있다. 사람이 없는 잡목림 숲을 향해서 원격조작으로 4발이 발사됐다. 이 동영상은 21일까지 약 200만회 재생됐다.

 

부상자는 없었지만, 클린턴 경찰은 드론사격이 어떤 법이나 규제에 저촉했는지 조사하고 있다. 연방항공청(FAA) 등 연방 당국도 조사에 나섰다고 밝혔다.

 

미군은 해외에서 벌어지는 테러소탕 작전에서 드론에서 미사일을 발사하고 있고 민간인에 다수의 희생자가 발생하고 있다는 비판이 일고 있는 가운데, 수사당국은 예상 밖의 일이 벌어졌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Flying Gun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