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식 태극권의 송(松), 온(穩), 만(漫), 균(勻)]


양식 태극권의 기본 특징은 자연스럽고 부드럽고 아름다운
것이다. 때문에 사람이 운동중에서 편안감을 느끼게한다.
태극권 훈련은 송, 온, 만, 균의 운동특색을 체험하고
이 기초위에서 내기(內氣)를 운용하여
송(松), 산(散), 통(通), 공(空)에 이르는 것이다.


송(松)

전신의 방송이다. 정신상태에서 동작에 이르기까지
긴장해서는 안되고, 둔한 힘을 피하고, 자연스러움을
회복해야 한다. 뿐만아니라 '시종여일' 해야한다.

"송" 의 전제조건은 심정(心靜)이다. 즉 心氣를 방송
시키는 동시에 전신관절 근육도 따라서 방송시키고,
발바닥의 용천혈까지 방송시키는 것이다.

內氣를 아래로 가라앉힐 때 전신의 몸무게를 지나치게 많이
다리에 두어서는 안되고, 무릎과 장딴지에 힘을 강하게
주지 말고 아랫배는 계속 방송해야한다.

"氣沈丹田"은 內氣가 의념의 유도하에서 연속 천천히 아래로
단전으로 내려가는 것이다.

"송" 은 적극적인 것이고 맥을 탁 놓는 것이 아니다.
맑은 정신을 유지해야 팔 다리 몸의 운동이 영활해지고,
의념으로 기를 유도함으로써 기를 전신에 운행시킬수 있다.
氣가 전신에 분포되어 흐름으로써 편안감과 태연자약감을 체험할수 있다.


온(穩)

행동이 침착 온정함을 말한다. 정신으로부터 자세에 이르기까지
모두 평형을 유지해야 한다.

태극권 단련때 상반신은 자연스럽고 똑바른 자세를 유지
해야 한다. 아래 몸은 전진,후퇴,회전이 가볍고, 영활하고,
원할해야 하고, 수직된 윗몸을 평온하게 지탱해야 한다.
이렇게 해야만 동작이 온정하고 중심을 잃지 않고, 무게가 안정
되어 다른 사람에게 쉽게 정복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마음이 안정되고
정신이 맑고 고요하여 혼란됨이 없어야한다.

태극권 수련중 권식 단련이나 퇴수중 모두 긴장된
굳은 힘을 버려야한다. 온정성은 피동적인 것이 아니고
주동적이고, 능동적인 것이다. 평행성과 온정성 유지에
노력하고, 자세와 內氣 운용을 잘 해야만 양생, 기격등의
목적에 도달하기가 유리하다.


만(慢)

동작의 속도가 느리다는 것을 말함이며, 태극권 수련 과정
에서는 적당히 느린 속도를 유지하고,
내기(內氣)가 전신을 관통하여 운행하게 해야한다.

동작의 절주에 따라 규칙적으로 호흡을 조절하여야 하며
태극권 원칙에 부합되게 자신의 자세와 동작을 점검하고
편차를 시정하려면 너무 빨라서는 도저히 불가능하다.
더욱 태극권은 의념을 중시하기 때문에 빠른 속도는
단련효과가 높지 않다. 그렇다고 너무 느려도 곤란하다.
개인의 체질과 공부의 깊이에 따라서 적당한 속도를 유지한다.

초심자들은 약간 느리게 동작을 익히다가 동작이 몸에 익으면
느린가운데로 빨라지는 듯 하다가, 의념을 공부하면 속도가
느려지게 되고, 의념과 동작이 익숙하게되면 약간 빨라지다가
內氣 질서의 勁別 공부가 시작되면 느려지는등 그 속도를
딱 뿌러지게 규정지을순 없으나 아무래도 태극권의 특성대로
슬로우모션이 아니겠는가.

동작이 느려지면 마음도 차분하게 가라앉고,
바쁜 현대인들에게는 그 반대 동작을 취하므로 휴식이
될수 있어 양생적으로 스트레스 해소에 큰 도움이 되리라.


균(勻)

동작, 자세, 호흡이 모두 균일할것에 대한 요구이다.
앞에서 얘기한 송, 온, 만 의 특점을 살린 가운데
움직임과 호흡이 균일해야한다.(누에가 실을 뽑는 것처럼..)

균(均)은 피동적이고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하나의 자세가
시작에서 종점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이 있으므로
새로운 자세의 전환이 따르고 연속성과 절주성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자세의 균일을 유지하고 운행법칙을 위반하지 말아야 한다.

이 부분의 이론은 진가 태극권의 이론과 차이를 보인다.
진가태극권은 "쾌만상간" 이라 하여 빠르고 느림이 있고,
개성을 발휘하나 양가태극권의 경우에는 균일성의 강조가 또다른 개성이다.
한마디로 상당히 기공적인 요소가 많아 보인다.

아무튼 이 네가지의 송(松), 온(穩), 만(漫), 균(勻) 기초위에
내공 단련을 심화시켜 송(松), 산(散), 통(通), 공(空)의
비밀을 탐구해야한다.이것은 태극권 수련의 꼭 필요한 도경이다.

온몸이 방송된 가운데 기운이 중심에서 밖으로 확산되어지므로,
나와 우주라는 대립적 관계가 없어지므로 에고가 사라지고
곧바로 전신은 물론이거니와 우주에로의 환원이 되어
비로소 공(空)에 이를 수 있다.


경계가 없는 자유로움...
이것이 송(松), 산(散), 통(通), 공(空)의 경지이다.


Date. 2008-12-11 16:06:21.0 Hit. 435
자궁수술 후 발생한 수족냉증 기치료 사례 | 청담인
*** (40세)

* 서울시에서 내원

@ 초진일
2008. 5.11

@ 초진시 증상
2002년 자궁근종으로 인하여 절제수술을 받은 후 부터 수족냉증 증상이 발병하여 일상생활이 불편할 정도의 증상을 가지고 생활해오심.


- 겨울에 동상에 걸린 것 같이 차가움.
- 손,발이 차갑고 저린다.
- 맨발로 바닥을 디디기 힘들다


@ 치료대책

- 의료기공치료로 몸안의 찬기운(냉기)을 배출시키고
- 뜸치료
- 산후풍 치료한약
- 체감진동요법
- 유황

방법으로 3개월 전후 치료를 권유함.


@ 치료경과

약 6개월간 의료기공치료 16회(8시간, 총 내원 16회), 뜸치료, 치료한약, 체감진동요법, 유황 복용으로 수족냉증 증상이 호전되어 치료를 종료하였습니다.


@ 치료후기

상기 환자분은,, 2002년 자궁의 혹으로 인하여 절제수술을 받은 후부터 수족냉증 증상이 발병하여 수년간 일상생활이 불편할 정도의 고통을 받으시다가 저희 청담인 한의원에 내원하시었습니다.

약 6개월간 16회의 의료기공요법(8시간, 총 내원 16회),,치료한약 3개월분,체감진동요법 등 저희 청담인 한의원의 전문적인 치료 프로그램을 시행한 결과 산후풍 증상이 호전되어 치료를 종료하였습니다.



## 체열진단검사 결과
@ 초진시 : 무릎(22도 이하) 발(25도)
@ 치료종료시 : 무릎(26도) 발(30도)



청담인 한의원 대표원장 한의학박사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기공학 교수
안상원

02-3448-2075
Date. 2008-10-31 14:16:31.0 Hit. 708
MCTD. 레이노 증후군 기치료 사례 | 청담인
*** (남 22세)

- 경북에서 내원

@ 초진시 주소증
2008년 9월 26일 내원

2003년 10월 수족냉증 발병. 포항 성모병원에서 레이노증후군. mctd진단.
양방적인 치료와 우측 2지 절단(괴사로 인하여)
근본적인 치료를 위하여 본 한의원에 내원.

- 손 발이 차다
- 손끝에 염증과 괴사현상
- 여름에 에어컨 바람을 쐬지 못한다
- 왼발이 무감각하다
- 왼쪽 엄지발가락이 움직이지 못한다
- 심한 무기력증

@ 진단
레이노 증후군이나 mctd질병은,,일종의 자가면역질환으로,,한의학에서는 양기부족과 냉기를 원인으로 진단함.

- 의료기공치료
- 침구치료
- 한약복용
- 유황
- 옻나무 엑기스

6개월정도 치료하기로 계획함

@ 치료경과

1개월간 10회(총 치료시간 5시간, 내원횟수 5회)회의 의료기공치료와 치료한약 복용 ,침구치료를 통하여 증상이 현격히 호전되었음 - 현재도 치료중


@ 치료후기
mctd는 자가면역질환의 일종으로,,대개 레이노 현상을 동반합니다.
위 학생의 경우 심한 수족냉증과 마목감, 운동장애와,,괴사로 인한 수지절단 상태로 내원하여,,

의료기공요법으로 몸안의 냉기를 배출시키고,,치료한약과 유황 옻나무 엑기스 복용등 전문적인 치료를 통하여 1개월만에 전반적인 수지말단의 온도상승과 혈액순환 개선 효과가 나타나 보고하는 바 입니다.


초진시,,다리의 온도는
- 손가락 : 20-22도 복부 : 29도 발목 : 18-22도

4주 치료후
- 손가락 : 28-29도 복부 : 33도 발목 : 22-28도



청담인 한의원 원장 한의학박사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교수
안상원
02-3448-2075
본문스크랩 점연경.청경.동경.주경.나경.화경. 개합경. 침경.능공..

2009/04/24 23:08



출처 惠山草堂(혜산초당)태극권 | 혜산
원문 http://blog.naver.com/wonboo510/30000233145
1.점점경(霑粘勁):가장 필요한 기본 내경으로서 방어를 주로 하는 것으로 상대방에게서 떨어지지 않는 경(勁)이다. 점점이라는 것은 찰싹 달라붙는다는 뜻이다. 적이 다가오면 나는 물러나고 적이 물러나면 나는 나아간다. 처음 추수를 연습할 때에는 팔의 지각이 영활하지 못하여 나무막대기와 같다.

그러므로 반드시 선생에게 지도를 받아야 하고 속칭 "위경(?勁)"이라고도 하는데 마치 자애로운 어머니가 먹이를 먹이듯이 시간이 지나면 점차 감각을 느낄 수 있게 되어 손에서 어깨로 가슴으로 등으로 전신의 피부에 이르기까지 모두 적의 몸에 달라붙을 수 있게 되어 마치 어린아이가 주는 음식을 받아먹다가 스스로 정확히 나아가서 먹게 되는 것과 같다. 점점경은 입문의 초보이니 이 경(勁)에 통하지 못하면 기타의 내경은 말할 것이 못 된다.

2.청경(聽勁):여기서 말하는 청경이라는 것은 결코 귀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피부의 촉각으로 적의 힘을 감지하는 것을 가리키는 것이다. 이것을 위해서는 먼저 점점경을 마스터하지 않으면 안 된다. 청경이 되어야 적의 힘의 변화를 알 수 있게 된다. 청경의 관건은 허리와 다리를 이완시키고, 기(氣)를 거두고 신(神)을 모으며, 이완되어 부드럽고, 가라앉고 고요하고 안정되어야 하니 그렇지 않으면 적의 힘을 정확하게 느끼지 못한다.

3.동경(?勁): 왕종악의 《태극권론》에서는, "동경을 마스터한 뒤에는 단련을 할수록 더욱 정교해진다."라고 하였으니 동경이 기격에 있어서 지극히 중요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청경이 정확해진 뒤에야 동경을 할 수 있다. 만일 동경을 하지 못하면, 적의 힘을 억지로 버티려 하거나 치우치거나 적을 놓치거나 단지 저항만 하게 되는 잘못을 쉽게 범하게 된다.

그러나 동경을 하더라도 완전하지 못하면 끊어지거나 엉기거나 업어지거나 자빠지는 등의 잘못을 범하게 된다. 그러므로 진정으로 동경을 한 뒤에야 적의 힘을 헤아리게 되어 점차 세밀한 것까지도 느끼게 된다. 적의 온갖 변화에 대하여 그 형상에 얽매이지 않고 모두 마땅하게 되는 것이다.

4.주경(走勁): 점점경은 적에게서 떨어지지 않을 것을 강조하는데 비하여 주경은 억지로 버티지 않는 데에 목적이 있으니 즉 적의 힘을 피하고 대항하지 않는 것이다. 신체의 어떤 부분이 힘을 받았다고 느껴지면 그 부분을 허하게 만드는 것이다. 적의 힘을 흘려보내고 조금도 저항하지 않아 상대방으로 하여금 가는 곳마다 허공에 떨어지도록

내가권 내공 수련 입문 (부제 : 태극권 인체정체력 연구) 소개
Name : 유승우
Date : 07-07-09 14:24 Count : 1337
내가권내공수련입문-태극권인체정체력연구070629.doc (751.0K), Down : 30, 2007-07-09 14:24:45

안녕하십니까?

귀 사이트에서 올려주신 양가태극권술술진의 일부 번역물을 매우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최근 저의 생각을 정리한 글을 귀 회원 여러분들과 공유하고 싶습니다.

-----

졸고 인체전기발전공 입문 에 이어 최근 내가권 내공 수련 입문 (부제 : 태극권 인체정체력 연구)을 탈고 하였습니다.

내가권 무술에 비법으로 전해 오는 내공 혹은 내공력, 경력에 대한 과학적 해명을 목표로 연구에 착수한 이래 2번째로 얻은 중간 결실 입니다. 부족하나마 인체정체력을 중심으로 내공 수련과 경에 대한 과학적 설명을 일부 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저는 인체전기의 축전 및 방전, 강화된 골격/근/건/인대/근막의 활용에 의한 인체의 텐세그리티 구조체화를 중심으로 발현되는 인체정체력, 무의식적 인체 동작 지배 시스템에 대한 의식적 조작법을 포함한 다양한 심법 사용 등이 동시에 결합되어 몸과 마음이 함께 작동할 경우 신비한 힘인 경을 자유자재로 구사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기 발표한 인체전기발전공 입문이 인체전기를 발전, 축전하고 활용하는 요령을 설명한 글이라면, 이번에 탈고한 내가권 내공 수련 입문은 인체정체력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고 이의 원리와 수련법, 활용법을 연구한 글입니다. (심법 연구 편은 필자의 공부가 부족한 관계로 아직 시작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내가권 내공 수련 입문 (부제 : 태극권 인체정체력 연구)의 주요 내용은 인체정체력을 이해하기 위한 이론(기본, 고급), 인체정체력 발생 원리, 인체정체력 훈련법, 고전 개념의 현대적 해석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인체정체력을 이해하기 위한 이론으로서는 텐세그리티 구조체 이론, 볼프의 뼈 강도 강화 법칙, 인체 운동과 각종 근육 이론, 역복식 호흡을 포함한 각종 호흡 관련 이론, 운동 역학 등 관련 이론, 심상 훈련 이론, 인체전기 이론 등을 소개하고 있으며, 이 이론의 소개 과정에서 현대 스포츠 과학의 다양한 연구 성과와 필자의 개인 경험 그리고 과거의 수련 요결의 관계를 복합적으로 규명하고자 노력 하였습니다.

아울러 경이 발생하는 원리로서 인체 텐세그리티 구조물의 강도, 구조물의 탄성, 구조물의 내부 변형, 체중 투척, 지렛대 이용, 타격 강도 강화, 인체전기 자극에 의한 근수축 강화 등을 설명하고자 하였으며, 인체정체력을 강화하는 다양한 훈련 요령을 소개하였습니다.

특히 왜 천천히 움직이는 지, 힘을 쓰지 않고 움직이는 것은 무엇이며 왜 의를 써서 움직여야 하는지, 왜 마음 속의 별도 상상을 하면서 움직여야 하는지 등 내가권 수련과 관련한 궁금증에 대해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고자 노력하였습니다.

무술 애호가 여러분들의 많은 지도 편달을 바라겠습니다.

내가권 내공 수련 입문 (부제 : 태극권 인체정체력 연구) 목차

1. 서문

) 글을 쓰는 목적

) 이 글에서 다루어 진 것

) 이 글의 한계

) 독자들에 바라는 말

2. 무술적 역량과 정체력

) 정체력이란

) 무술적 역량과 정체력의 관계

) 무술적 역량의 가치

3. 정체력 관련 기본 이론

) 텐세그리티 구조체

¨ 개념의 정의 및 실례

¨ 텐세그리티 구조체로서의 인체

¨ 인체 텐세그리티 구조체 조작의 기본 원칙

¨ 인체 텐세그리티 구조체와 송

¨ 인체 텐세그리티 구조체와 인체전기 발전

¨ 인체 텐세그리티 구조체 연습

) 볼프(Wolff)의 뼈 강도에 관한 법칙

¨ 운동과 뼈의 강화

¨ 전신 골격의 강도 강화

¨ 솜에 쌓인 철봉

) 인체 운동과 근육 이론

¨ 근육의 일반 이론

¨ 현대스포츠 과학과 근육 강화

¨ 근육 강화 이론과 인체정체력 강화

) 호흡 관련 이론

¨ 호흡에 대한 신비 제거

¨ 호흡과 내가권 무술 수련

¨ 호흡과 힘쓰기

¨ 힘쓰기와 횡격막, 복횡근의 역할

¨ 복횡근과 텐세그리티 구조체

¨ 역복식호흡과 인체정체력 강화

) 운동 역학 등 기타 관련 이론

¨ 직선 운동의 운동에너지, 속도와 질량

¨ 회전 운동의 운동에너지, 토크와 리드

¨ 지렛대 원리와 이동거리

¨ 발경의 과학에서 소개된 설명

4. 정체력 관련 고급 이론

) 심상 훈련 (Imagery Training, Image Training) 이론

¨ 이미지 연상을 통한 마음 속의 훈련

¨ 심상 훈련의 사례

¨ 심상 훈련 효과의 과학적 근거

¨ 심상 훈련과 인체정체력 강화

) 인체전기 이론

¨ 인체전기와 주류 의학

¨ 인체전기의 정의 및 역할

¨ 인체전기의 근원 1 : 세포 및 분자 단위 인체전기 발생

¨ 인체전기의 근원 2 : 근골격계에 의한 인체전기의 발전 및 축전

¨ 기존의 인체전기 관련 연구성과

¨ 정체력과 인체전기의 관계

¨ 보론 : 송의 새로운 의미

5. 정체력 발생 원리와 훈련법

) 정체력 발생의 원리

¨ 인체 텐세그리티 구조체의 강도 (복합 삼각 구조물)

¨ 인체 텐세그리티 구조체의 탄성 (지면, 외부 타격 등에 대한 반발력)

¨ 인체 텐세그리티 구조체의 변형 에너지 (구조체 A에서 B로 형태 변화)

¨ 인체 텐세그리티 구조체의 이동에 따른 운동 에너지 (체중 투척)

¨ 인체 텐세그리티 구조체 내부의 힘의 증폭 (기어와 지렛대 이론)

¨ 인체 텐세그리티 구조체의 접촉점 강도 증가 (타격점의 강도 강화)

¨ 강화된 인체전기 에너지와 신경계, 모세혈관계의 발달 (활동력 강화)

) 정체력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주요 요소

¨ 의지와 반사신경

¨ 기초 체력과 체중

) 태극권을 중심으로 한 정체력 강화 훈련법

¨ 참장할 것

¨ 모든 동작을 의식의 주도하에 이완, 신장하며 진행 할 것

¨ 천천히 움직일 것

¨ 상상을 하며 움직일 것

¨ 역복식 호흡 적용 훈련

¨ 텐세그리티 구조체를 유지한 빠른 속도의 타격 훈련을 할 것

¨ 인체 동작 지배 체계에 대한 의식적 조작

6. 고전 개념 및 수련법의 현대적 재해석

가) 인체 텐세그리티 구조체 관련

¨ 5궁

¨ 9곡주

¨ , 요

¨ , 긴

나) 인체정체력 발현 관련

¨ 단전 및 단전내전

¨ , 실

¨ , 양

¨ 반탄력, 차경

¨ 기타 주요 개념 (의기, 개합, 내외, 승강)

7. 정체력을 넘어서

) 경에 대한 종합 이해

¨ 인체전기, 인체정체력, 심법의 결합

¨ 경의 궁극적 해명과 새로운 활용

¨ 능공경 해명

) 종합적으로 이해된 경의 다양한 활용

¨ 현대 스포츠 분야

¨ 각종 의학적 활용

¨ 새로운 종합 학문의 출현

) 정체력 수련의 철학적 의의

¨ 몸과 마음의 수양

¨ 중정

¨ 허정

¨ 무욕

¨ 정진

8. 맺음말

A. 참고문헌



[운동] 참장공
글쓴이 : 마음놀이터
조회 : 1,067 추천 : 0

제1장, 형의권 참장공


중국무술의 거의 모든 문파는 각자의 참장공 단련법을 가지고 있다. 참장은 무술의 기초로서, 무술의 속담에도, "권을 배우고자 하면 먼저 참장을 해야 한다"는 말이 있듯이 연공의 핵심 요소 중 하나인 것이다. 형의권은 참장을 특히 중시하는데 형의명가 손록당 선생은 "형의권을 배우려면 먼저 3년 간 참장을 해야 한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그만큼 형의권은 다른 어떤 무술보다도 참장을 중시하는 것이다.

참장공 단련은 형의권에 있어서 "권술의 기반을 굳건히 하고 신체를 강건하게 만드는" 작용을 한다.
참장을 거치려면 먼저 ‘머리를 들어 올리고, 가슴을 품고, 어깨를 내리고, 팔꿈치를 떨구는’ 등과 같은 형의권의 신체 각 부분에 대한 요구 사항과 요령을 배우고 마스터해야 한다.
먼저 감성적인 인식을 하고 부단한 연습을 통하면 점차 이해가 깊어지게 된다.
그 다음으로 참장의 연습을 통해서 하체의 힘과 무릎 관절 각 부분의 인대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세 번째로 참장을 통해서 연습자는 참장의 구조와 신체 각 부분의 자세에 대한 요구와 요령을 깨닫고 마스터할 수 있다. 장시간 참장을 단련하면 몸의 감각 능력이 향상된다. 그리고 선생의 지적과 자신 스스로의 교정을 통하여 점차 정확한 모양의 자세를 세우게 된다. 차후의 여러 동작과 기격 기술을 배우기 위하여 충실한 기초를 닦아 놓아야 한다.
네 번째로 참장공 연습은 중추신경계통을 조절하는데 유익하여 정신을 집중하고 잡념을 제거하여 전체의 주의력을 참장 연습에 집중하도록 만든다. 전신 각부의 이완과 호흡의 조절에 주의한다. 이러한 연습은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하고 기혈을 조절하여 면역기능을 높여 장수에 이르게 한다. 동시에 기격에 대한 의식과 능력을 제고시킨다.
형의권의 참장은 혼원장, 자오장 즉 삼체식장, 항룡장, 복호장, 잡장 등을 포함하는데 각 참장법은 각자 다른 작용과 다른 자세와 다른 의념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르고자 하는 목적도 다르다. 즉 일정한 참장은 일정한 목적을 위해 만들어진 것이다. 이러한 참장법은 모두 선배들이 장기간의 연공을 거쳐 실제의 경험에서 총괄해낸 것이다. 또한 형의권의 기법 공부의 연공, 장공, 양공에 모두 효과가 있다. 이 몇 가지 참장법은 비록 각자가 다른 측면과 다른 자세, 동작이 있기는 하지만 그 중의 핵심인 삼체식 참장을 위주로 하여 연습하고 보충하는 것이다. 이것은 내가 다년간의 연습을 통하여 심득하여 깨달은 것이다.
권법계의 속담에, "권을 연습하되 공을 단련하지 않으면 늙어서 아무 것도 남지 않게 된다."는 말이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공을 단련한다는 것이 바로 양생과 건신의 공부이고 또한 무술의 기본공을 포함하는 것이다. 만일 권을 연습하는 데에 있어서 자신의 신체를 잘 단련하지 않아 좋은 신체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어떤 기능도 모두 헛되고 소용이 없게 된다. 그러므로 권은 반드시 공으로 길러야 하고, 공은 반드시 권으로 드러나야 한다. 이것이 바로 단련한다는 것과 기른다는 것의 관계이니 이들은 서로 도우면서 완성되고 서로 촉진하고 표리가 되는 관계인 것이다. 아래에 내가 이 몇 가지 참장법에 대하여 심득하고 깨달은 것을 모두에게 소개하니 여러분의 비평과 지적을 바란다.

제1절 혼원장


혼원(渾元)은 혼원(混元)이라고도 하는데 천지가 처음 열린 때를 말하는 것이다. 즉 "혼원이라는 것은 혼돈의 앞과 원기의 시작에 대한 기사(記事)이다." 무술가는 혼원을 권술에 도입하여 "혼일천지, 변화무궁"이라는 뜻을 취하였다. 혼원참장법은 여러 문파에 흡수되고 인용되었는데, 즉 초학입문의 기본 참장이 되었고 몸을 길러 강하게 하는 내공 수련 참장법이 되었다.
형의권의 혼원장은, 참장의 훈련을 통하여 초급 단계에서는 정신을 집중하고 잡념을 제거하며 근골을 영활하게 하고 호흡을 조절하는 상태에 이르는 것이다. 중급 단계에서는 의(意)로써 기(氣)를 이끌고 경락을 소통하여 기(氣)가 전신에 흐르도록 하는 것이다. 고급 단계에서는 수신양성(修身養性), 천인합일(天人合一)의 경지에 달하는 것이다. 의념으로 몸의 내기와 외부의 대기가 교류하여 통하는 것을 느낀다.
혼원참장은 초급 단계에서는 주로 잡념을 제거하고 정력을 집중하는 연공을 하기 위한 것이다.
불쑥불쑥 솟아나는 잡념을 틀어잡고 잡아 채워야 한다. 심신을 조절하여 전신을 이완시킨다.
전신이 이완된 상태라야 기혈이 비로소 쉽게 통하게 되어 건강에 도움이 된다.

(一)혼원장의 단련 순서

1.입정자세로 선다. 깊고 깊게 세 번 숨을 쉰다.
2.왼발을 왼쪽으로 한 보 벌린다. 양 다리는 평행하게 서고 양 발의 거리는 자신의 어깨 넓이만큼 벌린다. 신체의 중심은 양 발의 사이에 둔다. 동작은 천천히 호흡과 맞추어야 하니 보를 벌릴 때 숨을 들이마시고 보가 땅을 밟을 때 숨을 내쉰다.
3.양손은 측면에서 천천히 전방으로 들어 올리되 손바닥이 서로 마주보고 다섯 손가락은 벌리고 양팔은 자연스럽게 약간 구부린다. 팔을 위로 들어 어깨 높이에 이르렀을 때 양 손의 손가락이 서로 마주보면서 가슴 안쪽을 향하여 끌어안아 원을 이루고 양 팔꿈치는 약간 구부린다. 장심은 가슴 앞을 향하고, 어깨는 이완하고, 팔꿈치는 떨어뜨리고, 가슴은 약간 품고, 머리는 꼿꼿이 세우고,
양 팔은 커다란 공을 가슴 앞에 끌어안은 듯이 하고, 양 팔꿈치는 어깨보다 낮게 떨군다. 동시에 양 다리의 무릎은 약간 구부리고 관골은 이완하고 허리는 낮추어 체중이 아래로 약간 떨어지게 만든다. 눈은 전방을 수평으로 바라본다. 이 자세를 바꾸지 말고 잡념을 제거한다. 호흡에 주의하고 입을 다물고 코로 호흡한다. 호흡은 천천히 깊고 길고 고르게 한다. 연습시간은 자신의 체력과 신체 상황에 따라 정한다.
4.수식동작은 동작(2)과 정반대이다. 먼저 의념으로 수식을 하고 혼원장을 마치려는 신호를 준다.
그런 연후에 전신의 체중을 오른발로 옮기면서 왼발을 오른발에 붙인다. 동시에 양 다리를 곧게 세워 정자식이 된다. 다리의 동작과 동시에 양손도 자연스럽게 몸의 측면에 내리고 손가락은 아래를 향한다. 머리는 약간 위로 세우고 눈은 전방을 수평으로 본다. 동작이 끝난 뒤에는 깊게 세 번 호흡하고 조용히 1,2분 정도 가만히 서 있어야 한다.


(二)혼원장 동작의 요령 및 주의 사항

1.혼원장에서 가장 주의해야 할 요령은 몸은 이완하고, 의(意)는 고요하며, 호흡을 조절하는 세 가지이다. 혼원장뿐만 아니라 다른 참장법도 이와 같아야 하니 이 세 가지는 모든 참장연습에서 공통된 요구 사항으로 기공에서 말하는 삼조(三調) 즉, 조신(調身), 조심(調心), 조식(調息)과 같은 것이다. 이것은 전공(栓功)의 기초이다.

몸이 이완된다는 것은 바로 전신 각 부분이 이완되어 특정 부위에 경직된 기운이 드러나지 않도록 한다는 것이다. 몸이 이완되는 관건은 관절에 있으니 관절이 정상적인 생리 위치에 놓이도록 하여야 기혈의 유통에 유리하게 된다.
의(意)가 고요하다는 것은 심신을 거두어 들여 정력을 집중시켜 연공하고 일념으로 만념을 대신하여 대뇌의 사고 활동을 집중하여 한 점에 도달하도록 하는 것이다. 혼원참장을 할 때는 먼저 주의력을 호흡에 집중해야 한다. 조식은 바로 자신의 호흡을 조절하는 것이다. 자신의 평소에 부주의했던 호흡운동에 의식적인 조절을 더하여 호흡을 천천히 고르고 길고 깊게 하는 것이다.

2.혼원참장은 머리를 세우고, 아래턱은 약간 거두어들여 바른 자세를 유지한다. 어깨는 이완하여 내리고 가슴은 약간 안으로 품는다. 양팔은 몸 앞에 약간 구부려 끌어 모아 원을 이루고 양 팔꿈치는 약간 늘여 아래로 내린다. 양 손목은 약간 구부리고 손가락 사이는 벌리되 자연스러워야 하고 엄지손가락은 위를 향한다. 양 손바닥은 안으로 품어 약간 구부린다. 허리는 곧게 세운다. 둔부는 약간 거두어들인다. 관골을 이완시키고 무릎을 구부린다.
무릎은 160˚ 정도 구부리되 너무 많이 구부려도 아니 되고 지나치게 펴서도 아니 된다. 지나치게 구부리면 힘이 들어 쉽게 호흡을 조절하기 힘들어 오래 버티지 못한다. 반면 지나치게 펴면 굳어 버린다. 요컨대 참장을 잘 선 뒤에는 각 부위가 편안하고 소통이 잘 되는 것을 느낄 수 있어야 한다.
(三)혼원장의 연습 단계

1.먼저 몸이 바르고 이완되어야 한다. 즉 자세를 정확하게 하여 신체 각 부위가 동작의 요구에 따라 정확한 위치와 형태로 조정되어야 한다. 바른 자세는 일차적인 조건으로서 자세가 바르지 못하면 기(氣)가 순하지 못하게 된다. 몸이 이완된다는 것은 바로 신체 각 부위가 이완되어 편안한 상태에 이르는 것이다.
2.그 다음으로는 정신을 모으고 하나를 지키는 것이다. 정신을 모은다는 것은 잡념을 제거하고 정력을 집중하는 것이고, 하나를 지킨다는 것은 한 가지 생각으로 만 가지 생각을 대신하는 것이다.

3.의(意)로써 호흡을 유도한다는 것은 의념으로 호흡을 인도하여 평상시의 자연스러운 호흡을 생각을 가지고 천천히 고르고 깊고 길게 하는 것이다. 의념을 가지고 인도하는 것은 연습 전체의 시작과 끝을 관통하는 원리이다. 처음의 바른 자세, 몸의 이완, 정신 집중에서부터 의(意)로써 호흡을 이끄는 데에 이르기까지 의념의 활동으로 진행하는 것이다. 이것은 바로 형의권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 가운데 하나이다.
제2절 삼체세장

형의권의 삼체세장은 민간에서는 전통적으로 자오장 혹은 삼재장이라고도 불렀다. 삼재와 자오라는 명사는 고대 전통문화중의 제가들이 인용한 것으로 모두 지적하는 바가 다르고 의미와 내함도 다르다.
자시, 오시라는 말은 《전단대성집》에서, "자오(子午)라는 것을 무엇입니까?"라고 묻자, "자오는 천지의 정중이니 하늘에 있어서는 해와 달이요, 사람에 있어서는 심(心)과 신(腎)이요, 때에 있어서는 자오이며, 괘에 있어서는 감(坎)과 리(離)이고 방위에 있어서는 남과 북이다."라고 답하고 있다.
또 《삼원회의》에서는, 자(子)는 양의 머리이고 오(午)는 음의 머리이니 자오는 음양의 머리라고 하였다. 즉 이 책에서는, "자는 육양의 머리로서 동지에 대응한다. 그러므로 정좌하여 정신을 모으고 만 가지 걱정을 제거하여 생각을 오로지 전일하게 하고 중(中)에 들어맞고자 하며 그 숨을 묵묵히 조절하여 기다린다,…….
오(午)는 육음의 머리이니 하지에 대응한다. 그러므로 오전에 정좌하여 정신을 집중하여 양이 극하고 음이 생기는 즈음을 기다리면 마음에 자연히 한 줄기 음기가 하강한다.……" 라고 하였다.
삼재는 아래와 같은 다양한 해석이 있다.
①삼재는 천(天), 지(地), 인(人)이다.

②《주역》에는, "하늘의 도(道)를 세우는 것을 음과 양이라고 하고, 땅의 도(道)를 세우는 것을 유(柔)와 강(剛)이라고 하고, 사람의 도(道)를 세우는 것을 인(仁)과 의(義)라고 한다. 삼재에 두배를 더하여 육획으로 바꾸니 괘가 이루어졌다."라고 하였다.
③의학의 삼재는 체(體), 신(神), 기(氣)를 가리킨다. 한편, 형의명가 손록당 선생은, "삼재라고 하는 것은 머리, 손, 발이니 곧 상, 중, 하이다."라고 하였는데 그는 삼재를 인체의 머리 부위, 손 부위, 발 부위에 적용한 것이다.
나는 이러한 해석과 이해는 비교적 정확하고 합리적인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으로 삼체를 이해하는 것은 처음부터 형의권에 있었던 것은 아니고 나중에 더해진 것이라고 본다.
삼체세장, 자오장, 삼재장은 비록 이름은 다르지만 실제는 같은 참장법으로서, 부르는 법이 다를 뿐이다.
즉, 삼체식은 신체의 외형에 머리, 손, 발과 상, 중, 하가 있다는 것을 강조한 것이다. 자오장은, 형의권에 있어서 이 참장법이 차지하는 비중과 중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그것은 기초 중의 기초인 것이다. 즉, 모권(母拳) 중의 모(母)인 것이다.
강용초 선생은 오행권을 가리켜 형의모권이라고 하였는데, 삼재장은 그것의 내함이니 단지 자세만이 아니라, 형의권에 있어선 그 무엇보다도 중요한 공법인 것이다. 참장공의 내의(內意)는 매우 풍부한데 방법을 내포하고 있을 뿐 아니라, 의념을 포함하고 있다. 이상을 종합해보면, 삼체는 표현 수단이요, 삼재는 지도 원칙이며, 자오는 중요 위치인 것이다.
형의권이 행해지는 각 지역과 각 유파는 모두 삼체세 참장법을 초학 입문의 가장 중요한 기본 참장법으로 삼는다. 삼체식의 기본 구조와 자세와 요령 및 기능은 지역과 유파에 있어서 기본적으로는 일치한다. 그러나 지역이나 유파의 차이와 가르치고 전하는 중에, 그리고 권보에 대한 다른 이해와 연습 후의 심득의 차이 등이 다르기 때문에 삼체세 참장도 각각 차이가 생기게 되었는데 이는 정상적인 것이라고 하겠다.
이러한 이치는 커다란 나무 한그루가 완전히 서로 같은 나뭇잎을 피워 내지는 못하는 것과 같다고 할 수 있다. 한 선생이 열 명의 제자를 키워낸다고 하면 신체, 성격, 지식수준의 차이로 인하여 연습하여 심득한 것도 다를 수밖에 없을 것이다.
(一)삼체세 참장의 구체적인 단련방법

1.입정 자세로 선다. 시선은 동작을 행할 방향, 즉 정면을 바라본다. 2-1

2.양 다리는 움직이지 않는다. 양 손은 몸의 양 측면에서 좌우로 천천히 위로 들어 올린다. 양팔은 자연스럽게 하고 힘을 주어 뻗어서는 아니 된다. 양 손바닥은 위를 향한다. 양 손을 위로 들어올려 어깨 높이에 이르렀을 때, 양팔의 팔꿈치를 구부려 양 장을 얼굴 앞으로 합쳐 양 장의 손가락이 서로 마주보게 한다. 손바닥은 아래를 향한다.
3.양 다리는 구부려 앉는다. 동시에 양 장은 아래로 내려 단전 앞에 눌러 놓는다. 머리는 약간 위로 들어 올린다.
4.단전 앞에 있는 양장을 권으로 바꾸어 쥐며 뒤집어 돌린다. 권등은 지면을 향한다. 왼쪽 권은 움직이지 말고, 오른쪽 권은 아랫배에서부터 위로 명치를 지나 위로 뚫어낸다. 오른쪽 권의 새끼손가락을 위로 뒤집어 코 높이에 맞춘다.
5.왼발을 한 보 내딛는다. 오른발은 움직이지 않는다. 양 발의 거리는 대략 소퇴(무릎에서 발까지의 부분)만큼 둔다. 체중은 대부분 오른발에 두되, 앞발이 3할, 뒷발이 7할이 된다. 동시에 왼쪽 권은 아랫배에서 위로 명치를 지나 오른쪽 팔꿈치를 향한다. 오른팔에서 앞으로 뚫어내고 권심은 위를 향한다.
왼쪽 권과 오른쪽 권이 서로 교차할 때, 양 권을 장으로 바꾸어 안으로 돌려 왼쪽 장을 전방으로 향하여 벽권을 쳐낸다. 왼팔은 약간 구부리고 장심은 약간 비스듬히 전방 아래를 향한다. 왼쪽 손목은 약간 밑으로 누르고 손가락은 코 높이에 맞춘다. 동시에, 오른쪽 장은 아랫배(단전)로 끌어당기고 장심은 아래를 향한다. 머리는 위로 향하고 눈은 전방을 바라본다. 이것은 왼쪽 삼체세 참장법이다. 오른쪽 삼체세를 할 때는 동작4에서 왼쪽 권을 찬권으로 치고 동작5는 오른발이 보를 내딛고 오른쪽 장으로 벽권을 친다. 기타 동작의 요령과 순서는 완전히 같다.


(二)삼체세 참장의 각 부분의 요구와 요령

형의권 삼체세의 동작 과정은 오행권의 매 항의 출세 동작이며, 형의권 매 투로의 기세 동작이기도 하다. 어떤 동작을 연습하던지 간에 기세는 모두 왼쪽 삼체세로 한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그러므로 반드시 규칙에 따라 제대로 연습해야 한다. 삼체세 참장법은 상반, 중반, 하반의 3종류로 나뉜다. 상반은 양 발의 거리가 자신의 두 발의 거리이고, 중반은 두 발 반의 거리이고, 하반은 세 발의 거리이다.

1.삼체세 참장법에서 양 발의 위치는 일직선의 양쪽에 있어야 한다. 앞발은 약간 안으로 틀어 약 15˚가 된다. 뒤 발의 끝은 비스듬히 앞을 향하는데 정전방에서 45˚를 넘지 않아야 한다.
일직선상의 양쪽은 앞발의 발끝과 뒤 발의 발뒤꿈치가 기준이 된다. 같은 일직선상에 있어서도 아니 되고 더욱이 꽈배기처럼 꼬여서도 안 된다. 그렇게 되면 안정되지 못할 뿐 아니라, 요구에 부합되지도 않는다. 이렇게 지면의 면적이 크면 안정되는 데에 유리하다.
2.양 다리의 구부리는 각도: 앞다리는 약간 구부리는데 앞무릎의 수직선은 앞발의 뒤꿈치를 넘어서는 아니 된다. 앞다리의 대퇴부와 소퇴부 사이의 각도는 150˚정도가 알맞다. 뒤 다리는 비교적 많이 구부려서 체중의 대부분을 지탱하게 한다. 양 다리의 거리의 크기는 뒤 다리의 구부린 각도의 크기, 참장 자세의 높이와 관계가 있다. 뒤 다리의 소퇴와 대퇴 사이의 각도는 120-135˚사이이다.
뒤 다리의 가장 관건이 되는 점은 소퇴와 지면의 각도인데 이것은 가장 중요한 각도로서 이 각도는 최대한 감소시켜야 한다. 생리 구조 때문에 발등의 굴절은 50˚도 정도이다. 이 각도를 감소시키는 것이 뒤 다리의 밟는 힘에 유리하다.
비록 어떤 책에서는, "뒤 무릎의 수직선은 발끝을 넘지 말아야 한다."라고 하였지만 나는 그것은 결코 과학적이지도 정확하지도 않다고 생각한다. 그러한 참장 자세는 너무 높아서 양 다리가 거의 수직이 되거나 중심이 완전히 뒤로 이동하게 된다. 뒤 다리의 무릎은 뒤 발의 끝을 넘어야 하는데 얼마를 넘는가 하는 것은 자세의 높낮이를 보아 정한다.
뒤 다리의 각 부위의 각도에 대한 총체적인 원칙은 어떻게 해야 뒤 다리의 밟는 힘을 최대한 발휘하는가 하는 것인데, 동작을 일으킴에 빠르고 순간 이동 거리는 넓고 커야하며 서 있는 것은 안정되어야 한다.
땅을 밟는 힘이 관건으로서 권보에서는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기운이 차고 기우는 것은 전부 뒤 발의 밟는 것에 달려 있다." 인체가 앞으로 나아가고 위치를 이동하는데 있어서 느리고 빠른 것과 거리의 크고 작은 것은 뒤 다리의 밟는 힘과 정비례한다. 그러므로 뒤 다리의 밟는 힘을 완전히 발휘하려면 반드시 뒤 다리 각 부분의 각도를가장 최상으로 힘을 발휘할 수 있는 범위 안에 두어야 한다.
3.관골 부위의 자세 각도: 관골 부위의 뒤는 둔부이고 앞은 아랫배이고 양 측면은 관골이다. 삼체세 참장법에서 양 관골의 각도는 전후가 약간 비스듬히 기울어져 정전방과 약 60-70˚가 적당하다. 이러한 각도는 양 다리가 앞뒤로 버티는 데에도 유리하고 또 상체가 자연스럽게 얼굴의 반쪽이 앞을 향하는 각도에도 유리하다.
어떤 형의권 연습자는 "배는 정면으로 몸통은 비스듬히 할 것"을 강조한다. 그러나 나는 이렇게 하는 것은 그리 좋지 못하다고 생각한다. 배를 정면으로 하는 것은 양 관골을 전방으로 정면으로 향하게 하지만 상체의 반을 앞으로 비스듬히 하는 것은 허리와 배를 불편하게 만든다. 동시에 이것은 공격과 방어의 원칙에도 맞지 않는다. 관골과 양 다리의 위치와 각도는 상체에 매우 안정되고 영활한 지지 조건을 주어야 하고 동시에 자연스럽게 편안한 상태에 이르러야 하고 인체의 자연스러운 구조에도 부합하여야 한다.
4.신형(身形) 양 어깨의 각도: 권보에서는 신형에 대하여, "바르면서도 기울어진 듯하고, 기울어졌지만 바른 듯하다."고 하였다. 이는 바르지도 않고 기울지도 않았다는 것으로 모호한 개념이다.
그런데 이것이 바로 선배 권사들의 고명한 점이다. 매 사람의 신체 조건은 다르고 성격도 다르다. 그리고 권보에 대한 이해도 다르므로 스스로 연습 중에 체득하여 자기에게 적합한 각도를 찾는 것이다.
나의 다년간의 연습과 실전, 교학과 연구를 통하여 보건대, 삼체세를 설 때에 신형과 양 어깨의 각도는 정전방과 45˚가량이 적합하다. 이것은 첫째, 기격 원칙에 부합하고 공격을 받는 것도 감소시킬 수 있고, 둘째, 인체의 구조와 생리 역학에 부합한다. 인체 구조와 생리 역학에 부합하여야만 동작 시에 편안하고 적합하며 정확하고 완미하게 된다.
5.양 팔의 위치 및 각 부위의 각도: 왼손의 손목과 왼팔의 각도는 약 120˚이고 손목 부위는 약간 밑으로 누른다. 다섯 손가락은 약간 구부리고 장심은 오므리고 호구는 둥글게 벌린다.
엄지손가락은 벌리고 식지는 떠받친다. 호구의 근육의 장력을 증가시키면 손목 부위를 안정되게 하는데 유리하다.
다섯 손가락이 모두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면 팔에 일정한 긴장도를 만들어 내어 팔에 타격에 대한 일정한 저항력이 생기게 된다. 그리고 장심이 전방 아래를 향하면 기격의 요구에 적합한 것이다.
그러므로 팔을 멀리 뻗고 안으로 돌리는 것은 팔의 요골과 척골을 서로 비틀고 상응하는 근육군들이 동작에 참가하게 만들어 장의 힘을 증가시킨다. 동시에 팔도 안정되게 버티는 힘을 갖게 된다.
손목을 지나치게 곧게 하면 타격 시의 반동력을 받는 데에 불리하고 손가락 관절은 전신의 힘을 받아 낼 수 없다. 손목이 지나치게 손등을 넘어가면 손목 관절이 굳어져서 영활하지 못하여 여러 가지 변화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손목은 약간 밑으로 누르는 것이 정확하고 120˚정도가 적합하다.
6.팔 관절의 각도: 이 문제에 대하여 권보에서는, "구부러지면 멀지 못하고, 곧게 펴면 힘이 적게 된다."고 말하고 있는데 역시 모호한 개념이다. 80년대 초, 나는 북경 대학에서 형의권 교련을 담당한 적이 있었는데 학생들에게 참장의 앞 팔의 위치를 설명할 때 내가 권보의 이 말을 해주자 그들은 나에게, "선생님, 몇 도입니까?"라고 물어, 나에게 깊은 인상을 남긴 적이 있다. 이 때부터 나는 신체 각 부위의 각도에 대하여 각 종 권보를 참조하고 나의 연공 체험에 근거하여 각도기를 사용하여 전부 각도의 가장 적합한 범위를 찾아내고 나의 관점을 제시하였다. 팔꿈치 관절의 각도는 150˚가량이 적당하다.
형의권의 참장, 타권, 출권은 어째서 팔을 뻗지 않는가? 팔을 뻗으면 더 멀리 때릴 수 있지 않은가? 먼저 형의권의 타권, 출권은 팔을 뻗지 않는데 이것은 형의권의 기격 요구이며 풍격 특징이기도 하다. 형의권은 전체적인 힘을 매우 중시하는데 이렇게 구부리지도 펴지도 않은 각도 내라야 비교적 커다란 힘을 발휘할 수 있고 또 비교적 많은 근육을 동원할 수 있다. 또 팔꿈치 관절도 잘 고정시킬 수 있다.
7.상박과 어깨 관절의 각도는 상체에서 매우 중요하다. 상박과 어깨 관절의 각도는 약 60~70˚사이이다. 권보에서는, "어깨를 이완하고 팔꿈치를 떨군다."라고 하였다.
어깨를 이완한다는 것은 견갑골을 의식적으로 아래로 이완하여 가라앉힌다는 것이다. 팔꿈치를 떨어뜨리는 관건은 상박의 끝 부분이 시종 어깨 관절 아래에 있어야 한다는 것으로 어깨의 이완과 팔꿈치를 떨어뜨리는 것은 상보적이고 인과적인 관계에 있는 것이다.
어깨의 이완이 정확히 되어야만 자연히 팔꿈치가 떨어지게 되고, 팔꿈치가 제대로 떨어져야만 어깨가 자연히 이완되어 떨어지게 된다. 또 중요한 관건이 되는 점은 상박을 의식적으로 안으로 거두어들이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신체의 전체적인 힘을 발휘하는데 유리하다. 그런데 이 점은 권보 등에서는 소홀히 다루고 있고 또 그 중요성에 대해 언급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참장의 과정에서나 권법 연습에서나 상완을 안으로 거두는 것은 매우 중요한데 이렇게 되어야만 정확한 자세가 형성되기 때문이다. 뒤 손의 엄지손가락과 손목은 아랫배 단전에 바짝 붙여야 한다. 뒤 팔의 팔꿈치는 자연스럽게 내리고 뒤 팔꿈치가 밖으로 벌어지지 않고 신체와 완정함을 유지하도록 주의한다. 손가락은 앞을 향하고 장심은 아래를 향한다.
8. "머리는 꼿꼿이 세우고, 목은 수직으로 세운다." 아래턱은 약간 아래로 거두어들인다. 단 목 부위의 근육이 지나치게 굳어서 머리의 영활함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주의한다.
머리를 꼿꼿이 하면 척추를 곧게 만들어 신체가 중정을 이루어 기울지 아니하므로 호흡에 유리하다. 그리고 눈이 전방을 본다는 것은 지나치게 머리를 돌려 얼굴 전체가 앞을 바라본다는 것이 아니니 머리와 전방의 각도는 22.5˚를 유지한다. 단 눈동자는 전방을 본다.
9.둔부는 이완하여 떨어뜨리고 안으로 거두어야 기(氣)가 단전으로 내려가고, 허리가 궁형을 이루고, 앞발을 앞으로 내딛는데 유리하다.
신형은 "함흉발배"가 되어야 한다. 이 문제는 두 가지 방면에서 고찰할 수 있다. 함흉발배는 양 어깨 끝을 약간 안으로 합하여 견갑골과 등 부위의 근육을 떨구고, 가슴 근육을 사용하여 양 어깨를 약간 당겨서 함흉발배의 목적에 달하는 것이다.
이 동작의 요령은 어깨가 시종 아래로 떨어지도록 하고 올리거나 긴장이 되도록 해서는 안 된다. 함흉발배와 송견침주의 두 가지는 상호 지지하고 촉진하는 상보적인 것으로 유기적이며 전체적인 동작이다. 이 두 가지 요령은 지나치지 않게 편안하고 정도에 맞아야 한다. 이는 주로 배를 실하게 하는 데에 유리한데 이것이 바로 기침단전이다.
그리고 기침단전은 형의권의 가장 커다란 특징이다. 함흉발배의 요령은 가슴과 등 부위에 타격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키는 방법이기도 하다. 권과 장의 경력은 어깨 부위에서 근원하는 것이고, 몸통의 경력은 허리에서 근원하는 것이다.

(三)삼체식 참장의 층차와 요구

삼체식 참장은 비록 외형적인 자세에서는 이완되고 긴장되는 구분이 있고, 보법에는 대소, 고저의 구별이 있지만, 이것은 모두 문파의 분파에 의해 조성된 것으로 크게 비난할 것은 아니다. 그러나 연공의 단계에 있어서 삼체식에서 표현해내는 정(精), 기(氣), 신(神)의 내의(內意)나 내함(內含)은 다르다.

비록 외형적인 차이는 적지만, 내적인 의식, 호흡의 조정, 내기의 운행은 단계에 따라 요구나 중점이 다르다. 아래는 삼체식 참장의 초급, 중급, 고급 3단계의 연습 과정중의 신형, 의념, 호흡에 대해 서술하였다.

1.삼체식 참장공의 초급단계

초급단계는 이제 막 참장에 입문하여 자세 요령에 대한 초보적인 의식을 가지고 선생의 동작을 모방하는 단계이다. 그러나 동작이 정확하지 않으므로 시간의 경과와 연습의 횟수에 따라 동작이 점차 정확하고 완전하게 되도록 해야 한다. 때로는 이것에 신경을 쓰다 보면 저것을 소홀히 하기 쉬운데 이것은 생물학적으로 말하면 대뇌피질이 반응을 형성해 나가는 단계이다. 그러므로 이 단계에서는 먼저 형태와 자세를 정확히 할 것을 요구한다.
각 부위의 각도와 신형의 위치가 원칙에 맞아야 한다. 먼저 양 다리, 신형, 양 팔, 머리 등 큰 부분을 주의하고, 다음으로 작은 부분의 요구에 맞추어 나간다. 착실하게 동작을 체득해 나가는 과정에서 점차 형의권의 요령과 각 부위의 요구를 이해하게 된다. 그 다음 형태를 정확히 해나가는 과정에서 몸의 이완에 주의한다. 단 이완되는 것이지 완전히 해이하게 되는 것이 아니다.
몸을 이완한다는 것은 힘을 주지 않는다는 것인데 단지 앞 팔만 원칙에 부합하는 위치에 놓아두고 어떤 졸렬한 힘도 더해서는 안 된다. 이것은 의념으로 하체의 이완을 유도하여 상체는 이완되고 하체는 실하게 되어야 하는 것인데 하체가 실하게 되는 것은 양 다리의 지탱력이다. 양 다리의 구부린 각도가 다르기 때문에 뒷다리가 가장 힘들게 되는 것은 필연적인 것이다.

세 번째는 입정(入靜)이다. 입정은 모든 의식과 생각을 참장의 연습에 집중하여 잡념을 제거하는 것이다. 초급단계에서는 자세의 정확 여부나 각 부위의 각도, 몸의 이완 여부에 정력을 집중하여 착실히 감각을 키워나가야 한다. 마음이 고요해져야지 만 느끼고 깨달을 수 있다. 초급단계에서는 바른 자세를 우선순위에 놓아야 하는데 자세가 바르게 된 뒤에야 힘이 순하게 된다.
자세의 바른 여부는 경력이 순한가의 여부와 커다란 인과관계를 가진다. 초급단계에서는 호흡의 문제에 대해서도 적당한 요구사항이 있기는 하지만 지나치게 강조할 필요는 없고 단지 입정의 상황과 자세가 정확한 상황에서 의식적으로 평상의 호흡을 느리고, 깊고, 고르게 조정하면 된다. 초급단계는 자세를 끊임없이 수정하여 정확한 자세의 형태에 이르러야 한다.

2.중급단계
중급단계에서 요구되는 것은 다음과 같다.

①신체 각 부위의 자세의 정확성을 큰 부위에서 작은 부위로 세밀히 연구하면서 자신의 감각을 착실히 체험하고 깊게 한다. 경력이 순해지는 것을 체험하고 편안한 감각을 느껴 본다. 이것은 자세 방면에 대한 요구이다.
②의념에 대한 요구: 연공 과정에서 의념은 2가지로 나누어지는데 하나는 내시(內視)이고, 다른 하나는 가차(假借)이다. 내시는 양생에 사용되고 가차는 기격에 사용된다. 중급의 참장공에 있어서는 의(意)로써 기(氣)를 이끌고 인도하여 기(氣)가 온 몸을 순환하도록 하고 임맥과 독맥을 따라 주기적인 운동을 하도록 한다.

이 연습 과정에서는 먼저 의(意)로써 임독맥을 순환시키고 점차 자연스럽게 기(氣)로 임독맥을 순환시키는 단계에 이르고 마지막에는 소주천을 소통시킨다. 그러나 지나치게 추구해서는 안 되고 완전히 자연에 순해야 한다. 통하는 것도 자연이고 통하지 않는 것도 자연이다.
③호흡의 요구와 방법은 중급단계에서는 더욱 중요하다. 초급단계에서는 참장자세의 외형적인 동작이 연습을 통하여 기본적으로는 바른 형태에 이르게 되었다. 그러므로 중급단계에서는 자세의 정확성이 주요한 것이 아니고 의념의 인도 하에서 호흡의 방법이 중점이 된다.

삼체세 참장공은 중급단계에서는 일반적으로 역복식 호흡법을 취한다. 즉, 숨을 들이쉴 때는 횡경막을 올려 배를 당기고 숨을 내쉴 때는 횡경막을 내려 배를 둥글게 내민다. 숨을 들이쉬고 내쉬는 것은 모두 코로 한다. 호흡의 깊고 얕음, 리듬, 빈도는 모두 의념의 통제 하에서 조절한다. 호흡은 깊고 길고 천천히 고르게 한다. 그리고 이것은 모두 몸이 이완되고 의(意)가 고요해진 조건 하에서 진행한다.
3.참장공의 고급단계
초급단계에서는 기(氣)의 단련 과정이 의(意)로써 기(氣)를 인도하고 이끈다. 중급단계에서는 기(氣)로써 몸을 움직여 기(氣)가 전신에 두루 흐르도록 한다. 숙련이 일정한 정도에 이르면 내외합일, 형신일치(形神一致), 천인상응(天人相應)의 단계에 이르러 고급단계로 들어가게 된다.

이 단계에선 사람의 정신은 승화되고 기질이 변하게 된다. 성격이 활달해지고 마음이 넓어지고 겸허하고 예의가 밝아진다. 호흡은 모두 코로하고 입을 사용하지 않는다. 들이마시는 숨은 길고 뱉는 숨은 가늘다. 숨을 길게 들이마시다가 정점에 이르면 천천히 토해낸다. 들이마시는 숨과 내쉬는 숨은 모두 가늘고 소리가 없어야 하는데 이것이 도가에서 말하는 태식(胎息)이다. 사실, 무술의 최고의 경지와 도가, 불가는 서로 상통하는 것으로서 이것이 무학의 권선합일(拳禪合一), 권도합일(拳道合一), 기진호도(技進乎道)의 단계이다.

이 단계의 참장자세는 앞의 2단계와 어떤 차이도 없고 단지 더욱 이완되고 의념이 허정한 상태에 있을 뿐이다.


제3절 항룡장
(이것은 전통적인 형의권의 중요한 참장의 하나로서 도가에서 취한 것이다)

형의권의 항룡장이라는 명칭은 《성명규지금서(性命圭旨金書), 강룡설(降龍說)》에서 취한 것이다. "강(降)이라는 것은 그 마음의 진실로 큰 것을 제재하는 것이니 화성(火性)이 날지 않으면 용을 제재할 수 있다."라고 하였으니 정신을 안으로 지켜 신수(腎水)가 올라가고 화(火)를 제재하여 용이 내려오도록 하는 것을 가리키는 것이다. 이것은 기공학적인 해석이다.

형의항룡장은 외형적으로 몸을 틀고 허리를 꺾으며, 보를 구부리고 몸을 돌리고, 양 팔을 둥글게 버티고, 앞으로 버티고 뒤로 내려앉는 자세이다. 그리하여 밖으로는 허리, 팔, 다리의 힘을 단련하고 안으로는 심(心), 의(意), 기(氣)를 단련한다.

먼저 밖을 단련하고 나중에 안을 단련하니, "밖으로는 힘줄, 뼈, 피부를 단련하고, 안으로는 숨(호흡)을 단련한다." 먼저 외형에서 자세의 정확성을 구하고 이 기초 위에서 다시 내의(內意)의 집중과 호흡조절 등을 연습한다.

(一)항룡장의 구체적인 연습법

①입정자세: 왼발을 옆으로 한 보 벌리되 양 보 사이의 간격은 약 세 발걸음 정도로 한다. 동시에 양 손을 몸의 측면에서 들어 올린다. 손바닥은 위를 향한다. 양 손은 어깨 높이에 맞춘다. 팔은 약간 구부린다. 눈은 전방을 본다.2-8

②양 발은 움직이지 말고 양 손은 멈추지 않는다. 팔은 구부리고 양 손은 얼굴 앞에서 합친다. 손바닥이 아래를 향하고 손가락은 마주 본다. 양 장을 안으로 돌려 손바닥이 밖을 향하게 한다. 엄지 손가락이 아래를 향하고 어깨와 높이를 맞춘다. 양 팔은 공을 끌어 안은 듯이 둥글게 버틴다.2-9

③왼발은 뒤꿈치를 축으로 삼아 발끝을 밖으로 돌린다. 오른발은 발끝을 축으로 삼아 뒤꿈치를 밖으로 비튼다. 몸통은 180˚ 왼쪽으로 돌리고 왼쪽 다리는 구부려 대략 좌궁보가 된다. 오른쪽 다리는 곧게 땅을 밟고 약간 구부린다. 신체의 체중은 대부분 왼쪽 다리에 둔다. 동시에 양 장은 몸통을 따라 왼쪽으로 돌려 점차 벌린다. 오른쪽 장은 머리 우측 상방에 둔다. 오른팔은 둥글게 벌리고 오른쪽 팔꿈치는 대략 어깨보다 높게 한다. 왼쪽 장은 왼쪽 관골 후방에 두고 손바닥은 아래를 향하고 손가락은 앞을 향한다. 왼팔은 둥글게 벌린다. 머리는 왼쪽으로 돌리고 눈은 왼쪽 장을 본다. 이것이 좌항룡장이다.2-10

만일 우항룡장으로 바꾸려면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①위의 좌항룡장을 이어서 몸을 오른쪽으로 180˚돌린다. 양 발은 원래 자리에서 돌리고 양 장은 몸통을 따라서 돌려 가슴 앞에서 버티어 끌어 안는다. 양 손바닥은 밖을 향한다. 전동작②와 같다.

②오른발은 발뒤꿈치를 축으로 발끝을 밖으로 돌린다. 왼발은 발끝을 축으로 뒤꿈치를 밖으로 돌린다. 몸통은 180˚ 오른쪽으로 돌린다. 오른쪽 다리는 구부려 대략 우궁보가 된다. 왼쪽 다리는 곧게 땅을 밟고 약간 구부린다. 몸의 체중은 대부분 오른쪽 다리에 둔다. 허리는 오른쪽으로 돌린다. 동시에 양 장은 몸통을 따라 오른쪽으로 돌리고 왼쪽 장은 머리 왼쪽 옆에 둔다. 왼팔은 둥글게 벌리고 왼쪽 팔꿈치는 어깨보다 약간 높게 한다. 오른쪽 장은 오른쪽 관골 후방에 두고 손바닥은 아래로 향하고 손가락은 앞을 향한다. 오른쪽 팔은 둥글게 벌린다. 머리는 오른쪽으로 돌리고 눈은 오른쪽 장을 본다. 이것이 우항룡장이다.2-11

항룡장의 수식은 좌우가 같다. 먼저 ②의 자세로 되돌린 후에 다시 양 장을 밖으로 돌리고 손바닥은 안을 향하여 가슴 앞에 끌어 안는다. 다시 왼쪽 혹은 오른쪽 발을 거두어 입정 자세가 된다. 동시에 양 장을 가슴 앞으로 내려서 다시 입정 자세가 된다. 수식을 마친다.

(二)동작의 요점 및 요구

①항룡장의 기식 동작은 천천히 부드럽게 하고 동작이 중간에 멈추어서는 안되며 한 번에 이루어져야 한다. 동작이 연결되고 협조를 이루어야 한다.

②일정한 자세를 이룰 때에는 양 손과 팔의 위치에 주의한다. 팔을 올릴 때에는 버티는 힘이 있어야 하고, 팔을 내릴 때에는 당겨 누르는 힘이 있어야 하고, 허리와 몸통은 비트는 힘이 있어야 한다. 굳고, 졸렬하고, 거친 힘을 사용해서는 아니 되고, 이완되어 외형 각 부위가 정확성을 유지하고, 가슴은 약간 품고, 머리는 미세하게 들어 올린다.

③정세(定勢) 참장을 시작할 때는 먼저 호흡을 자연스럽게 하고, 자세가 순하고 정확하도록 주의한다. 중심을 적당히 안배한 뒤 되도록 참장 시간을 늘리고 좌우를 번갈아 한다. 만일 참장 시간을 조금 늘리고 싶으면 양 다리의 거리를 약간 짧게 하는데 이렇게 하면 자세가 약간 높아진다.

④먼저 자세의 외형, 각 부분의 위치, 자세 구조의 정확성을 유지한 전제 하에서 위에서 아래로 의(意)를 사용하여 각 부위의 근육이 점차 이완되고 힘을 주지 않도록 조절한다. 단 절대로 자세가 흐트러지게 해서는 안 되고, 나머지 근육도 이완시킨다. 가장 주요한 근육이 운동에 참가하도록 사용하고 외형이 변하지 않도록 유지한다. 이렇게 하면 기혈이 소통하도록 촉진할 수 있는데 특히 허리 부위의 근육은 이완되어야 한다. 비트는 중에 탄성이 있어야 하고, 축경 중에 발경이 있어야 하고, 이완 중에 돌발적인 준비가 있어야 한다.

(三)항룡장의 공용과 의념 활동

항룡장은 두 다리 사이의 거리가 넓고 중심이 낮으므로 다리의 힘이 커야 하고 젊거나 힘이 센 사람이 연습하기에 적합하다. 반면, 나이가 많거나 힘이 약한 사람이 항룡장을 연습할 때에는 자세를 높게 조절하고 몸통을 비트는 각도를 작게 조절한다.

이 참장법의 주요 목적은 다리, 허리, 팔의 버티는 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삼체세 참장을 보충하고 완전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다리의 지탱력, 허리의 힘, 돌리는 탄력성, 팔을 위로 받치고 아래로 누르는 경력에 좋은 단련 작용을 하여 비교적 빨리 공력을 높이게 한다.

몸을 돌리고 허리를 숙이는 것은 용이 몸을 뒤집는 의미이고, 팔을 위로 받치고 아래로 누르는 것은 용이 몸을 곧게 끌어 당기는 의미이고, 앞다리를 구부리고, 뒷다리를 곧게 밟고 몸을 앉히고 기(氣)를 내리는 것은 용의 몸에 타서 굴복시킨다는 의미이다.

호흡에 따라 몸의 기복이 있는 것은 용이 기복을 하면서 발악하고 나는 의(意)를 사용하여 굴복시킨다는 의미이다. 이것은 단지 의(意)를 사용하고 힘을 사용하지 않는다. 의(意)는 긴장하지만 힘은 이완되어 점차 신체 각 부위의 감각을 체득해야 한다는 것에 항상 주의한다. 편안하게 힘을 얻는 것이 가장 좋은 것이라는 것을 느껴야 한다.

항룡장에서 용은 심신(心神)을 가리키니 연공 중에 몸을 조절하고 심신을 조절하는 것이 항룡이다. 그러므로 동작과 자세를 정확히 펼친 후에 심신을 조절하고 의념을 충분하게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제4절 복호장

이 참장법도 민간의 전통적인 형의권 참장법의 하나이다. 항룡복호는 도가 기공의 용어로서 복호가 가리키는 것은, "정신을 안으로 지키고, 심장의 화기(火氣)를 내리고 수기(水氣)를 온전하게 하는 것이 복호이다."(《기공대사전》)

선배 무술가가 이 이름을 취한 것은 몸 자세가 복호의 뜻이 있어서 인데 이것은 외형을 가리킨 것으로 안으로는 고대 기공의 용어를 사용하여 안을 단련한다는 의미이다. 심화(心火)를 내려서 신수(腎水)를 온전하게 한다는 것은 의념을 가리키는 것으로 기혈을 운행한다는 의미이다.

이 참장법은 양 다리가 반마보의 형태가 되고 허실이 분명하고 다리의 힘을 증가시킨다. 양 팔은 둥글게 버텨 끌어 안아서 전신의 혼원공을 증가시킨다.

(一)복호장의 구체적인 연습법

①입정자세에서 오른발은 움직이지 말고 왼발을 앞으로 한 보 내딛는다. 양 발의 간격은 약 자신의 둘 반 혹은 세 발걸음의 길이이다. 왼발의 끝은 앞을 향한다. 양 손은 몸의 측면에서 들어 올려 가슴 앞에서 끌어안고 양 손목을 교차한다. 손바닥은 안을 향하고 양 팔꿈치는 구부린다. 손은 가슴 높이에 맞춘다.

함흉발배하고 어깨는 이완하고 팔꿈치는 떨군다. 머리는 위로 꼿꼿이 세우고 둔부는 거둔다. 신형은 곧게 수직으로 세운다. 눈은 전방을 본다. 양 무릎은 곧게 뻗는다. 중심은 양 다리 사이에 둔다.2-12

②양 다리는 움직이지 말고 양 다리의 무릎을 굽혀서 앉되 체중의 대부분은 오른쪽 다리에 둔다. 왼쪽 다리는 무릎을 약간 곧게 펴고 오른쪽 다리는 구부려 앉는다. 오른쪽 대퇴부는 약간 높인다. 중심을 뒤로 이동하여 반마보가 된다. 사타구니는 둥글게 버티고 둔부는 안으로 거두어 이완하여 내린다. 머리는 위로 꼿꼿이 세우고 턱은 거두어들인다. 몸은 곧게 세우고 약간 앞으로 기울인다.

동시에 양 장은 몸을 아래로 앉힐 때, 왼손은 앞을 향하고 오른손은 뒤로 버티어 벌린다. 손바닥은 서로 마주본다. 왼팔은 약간 구부려 둥글게 버텨 왼쪽 무릎 앞 상방에 놓는다. 오른팔은 구부리고 오른쪽 장은 오른쪽 늑골 허리쪽에 둔다. 양 팔꿈치는 밖으로 버티고 양 손바닥은 합치고 어깨는 이완하고 팔꿈치는 내린다. 함흉발배, 기침단전을 행한다. 눈은 왼손의 전방을 본다. 이것이 좌보복호장이다.

우보복호장을 하려면 먼저 몸을 일으켜 서서 양 손을 가슴 앞에서 모아 교차하고 왼쪽 다리를 오른쪽 다리 있는 곳으로 거두고 다시 오른발을 내딛어 우보복호장 동작을 앞에서처럼 한다.2-13

(二)동작 요령, 공용 및 의념 활동

①복호장은 양 팔을 버티어 끌어안고 양 손은 앞 뒤로 벌릴 때 몸을 앉히고 양 다리를 구부려 앉는 동작이 일치해야 하고 상하가 협조를 이루어 완전해야 한다.

②복호장의 앞 발은 밟는 힘이 있어야 하고, 양 손은 끌어안는 힘이 있어야 하고 양 팔꿈치는 버티는 힘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이 과정은 의(意)를 사용하고 힘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③참장 시의 호흡은 숨을 마실 때는 양 다리는 합이 되는 힘이 있어서 얼음 위에 서 있는 듯이 하여 관골을 감싸고 무릎을 합쳐야 발 아래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뽑아내는 힘과 합이 되는 힘을 사용하게 된다. 동시에, 양 손과 양 팔은 숨을 마실 때, 안으로 힘을 품고 끌어안는다.

내쉴 때는 앞 발은 짓밟는 힘이 있어야 하고 뒷발도 밟은 힘이 있어야 한다. 내쉬는 숨을 배합하면 기(氣)가 단전으로 내려간다. 신형은 약간 아래로 앉는 뜻이 있다. 이러한 경력의 연습은 단지 의념의 지배 하에 진행되는 내부의 움직임이지, 겉으로는 커다란 변화가 없다. 호흡에 따라서 리드미컬한 연습을 한다.

연습 시에는 또 한 번은 이완되었다가 한 번은 긴장되는 경력 연습도 할 수 있다. 숨을 마실 때 이완하고, 내쉴 때 긴장한다. 이렇게 하면 신체 각 부위의 근육의 감각을 느낄 수 있다. 그러나 이완하되 풀어져서는 아니 되고, 긴장하되 굳어져서는 아니 된다. 이완은 수단이고, 긴장은 목적이다. 이것은 기격을 향상하고 공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연습법의 하나이다.

④복호장 연습 시에는 앞발을 내딛는 것과 양 손을 가슴 앞에서 모아 교차하는 것은 상하의 동작이 이어져야 하고 일치해야 한다.

⑤양 손을 앞 뒤로 벌리고 버티어 내는 것과 다리를 앉히는 동작은 협조를 이루어야 한다. 비록 신형은 약간 앞으로 기울지만 둔부를 거두고 아래로 앉도록 주의한다. 호흡에 따라서 중심은 약간 전후의 이동이 있고 따라서 중심이 전후로 약간의 이동이 있게 되는데 앞발로는 밟는 힘을 연습한다.

양 손을 밖으로 버틸 때에는 용수철을 벌리는 것처럼 하고 안으로 합칠 때에는 양 장으로 용수철을 누르는 것처럼 한다. 이러한 의념으로 전신의 전체적인 힘을 느낄 수 있는데 이것은 모두 의(意)를 사용하고 힘을 사용하지 않는다. 힘을 사용하면 굳게 되고 의(意)를 사용하면 영활하게 된다.

⑥복호장의 연습은 젊고 힘이 있는 사람은 표준적인 자세에 따라 서고, 기(氣)가 위로 뜨지 않게 하는 것이 원칙이다. 힘이 약한 사람은 자세를 약간 높이고 나중에 점차 적응이 된 다음에 다시 낮춘다. 복호장은 하체의 지탱력을 향상시키는데 유익하다.


제5절 잡장

잡장은 이름 그대로 말뚝을 다시 실하게 눌러 박는다는 것이다. 마치 교량의 아래에 많은 말뚝이 박혀 있는 것과 같으니 기초를 예리하게 하여 더 실하고 안정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초 위에서 세워진 교량은 더 튼튼하고 견고하고 오래 간다. 형의권의 잡장의 의미도 이와 같다.

잡장은 참장과는 다른데 참장은 원래 자리에서 움직이지 않고 하나의 자세를 유지하지만 잡장은 원래의 자리에서 한 자세를 유지하지만 움직임이 있는 참장법이다. 그 목적은 형의권의 경력 특징(전체적인 경력)을 빠르게 마스터하는 것으로 잡장을 통해서 비교적 빨리 형의권의 요구와 요령을 체득하기 위한 것이다. 참장법은 주로 의(意)를 단련하여 기(氣)를 조절하는 것이지만 잡장은 주로 기(氣)를 단련하여 힘과 합이 되게 하는 것이다.

형의잡장은 형의권의 정식(靜式) 참장법과 동작 연습의 중간에 있는 과도적인 단련공법으로 더욱 중요한 것은 참장법에서 얻은 전체적인 힘을 밖으로 끌어내는 것으로, 발경을 연습하고 체험할 수 있는 간단하면서도 실용적인 장법이며 기격장이다. 또 비교적 단시간 내에 힘을 늘리고 몸을 강하게 하는 작용을 얻을 수 있다.

(一)잡장의 동작과 자세

양 다리 사이의 거리와 자세의 높이, 신형이 바르나 기울어진 듯하고 기울었으나 바른 듯하고, 머리는 꼿꼿이 하고 둔부는 거두고, 함흉발배하는 등은 삼체식 참장과 같다. 다만 양 손과 양 팔을 놓는 위치는 삼체식과 다르다.

잡장에서 요구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앞 손은 권으로 쥐고, 하박은 구부려 가슴 앞에 가로로 둔다. 권 바닥은 안을 향하고, 어깨보다 약간 낮춘다. 상박과 하박의 협각 즉 팔꿈치의 각도는 약 90~100˚정도이다. 뒷손의 손바닥은 앞을 향하고, 손가락은 위를 향하고 앞 손의 손목 부위를 누른다. 양 어깨는 이완하여 떨어뜨리고 뒷손의 팔꿈치는 아래로 떨어뜨린다. 머리는 꼿꼿이 세우고 눈은 전방을 본다. 이것이 잡장의 예비 자세이다.2-14

(二)잡장의 동작 과정

①잡장의 예비 자세를 선후에 먼저 숨을 조절하고 깊이 3번 호흡하여 기(氣)를 단전에 내려 보낸다. 양 다리가 체중을 버티는 것 이외에 기타의 부위는 이완한다. 중점은 어깨, 허리 부위에 있다.

②신체의 중심은 뒤로 약간 이동한다. 동시에 앞발의 뒤꿈치는 땅에서 3㎝~5㎝정도 떨어뜨리고 발바닥 앞부분으로 땅을 밟는다. 앞다리의 무릎은 약간 구부린다. 앞 손의 하박과 권은 동시에 약간 뒤로 가슴 앞으로 이동한다. 뒷손은 시종 손목 부위를 짚는다. 양 어깨는 이완하여 낮추었다가 다시 뽑는다. 이 때, 체중은 대부분 뒷다리에 둔다. 머리는 위로 꼿꼿이 세운다. 눈은 전방을 본다. 이 때 숨을 마시려면 동작을 천천히 하고, 내쉬려면 길고 충만하게 한다.2-15

③뒷발은 힘주어 땅을 밟고 중심을 약간 앞으로 이동한다. 동시에 앞발의 뒤꿈치는 땅을 밟는데 힘주어 앞으로 땅을 밟는다. 땅을 밟을 때는 쿵하고 소리를 낸다. 앞다리의 무릎은 지나치게 구부리지 말고 탄력을 가져야 빨리 원래 상태로 회복하게 된다. 발뒤꿈치가 땅을 밟는 것과 동시에 앞 손의 하박과 손목을 역점으로 하여 손목의 재촉하는 힘을 사용하여 어깨를 앞으로 보내고 하박의 버티는 힘과 뒷손의 힘을 밀어 보내어 경력을 발출한다.

발경 시에는 내쉬는 힘과 배합이 되어야 하고 기(氣)로 힘을 재촉한다. 숨을 내쉴 때는 짧고 빠르고 힘이 있어야 하고 기(氣)가 단전에 가라앉아야 한다. 전신의 경력이 마디마다 전해지고 앞 손의 손목과 하박으로 들어가 발출되어야 한다. 이 때, 앞 팔의 팔꿈치는 약 120˚정도이다. 머리는 위로 꼿꼿이 세우고 눈은 전방을 본다.2-16

잡장 동작은 이렇게 연습하는데 왼쪽 다리를 앞에 두는 것이 50번, 다시 오른쪽 다리를 앞에 두고 연습하는 것이 50번이다. 구체적인 횟수는 체력을 보아 정한다.

(三)동작 요점과 주의 사항

①잡장 동작은 먼저 동작과 호흡이 서로 배합되어야 한다. 축경 시에는 숨을 마시고, 발경 시에는 숨을 내쉰다. 그 다음으로는 전신의 이완과 긴장에 주의한다. 발경 시에는 긴장하고, 축경 시에는 이완한다. 발경이 완료된 뒤에는 곧 이완되어야 한다.

다만 이완이 제대로 철저히 되어야만 긴장이 합이 되고 완전하고 강하게 된다. 이완과 긴장의 시간 분배는 "강(剛)에 거하는 것이 1할이면, 유(柔)에 거하는 것이 9할이다." 이완 시에도 의(意)는 긴장되어야 긴장 시에 폭발하게 된다.

②잡장 연습 시에는 신형은 원래 자리에서 동작의 축경과 발경에 따라 약간의 기복이 있는데 대략 본인의 키의 1/20정도의 폭으로 기복이 생긴다. 중심이 뒤로 이동할 때 즉 축경 시에는 신형이 약간 올라가고 잡장이 땅을 밟을 때에는 소리가 난다. 발경 시의 신형은 약간 아래로 떨어진다.

③잡장의 의념: 자세를 선후에 머리는 위로 꼿꼿이 세우고 눈은 멀리 바라본다. 얼굴은 허공을 마주보는데 마치 바다의 용솟음치는 파도를 마주보고 암석 위에 서있는 듯하여 태산처럼 안정되어야 한다.

중심이 뒤로 이동함에 따라 숨을 마셔서 축경을 하고 바닷물을 끌어 모으는 듯이 한다. 그 후에 숨을 내쉬고 발경을 하는데 바닷물을 뿌려버리듯이 한다. 이렇게 하면 기세가 웅대하고 발경이 강맹하게 된다. 이러한 의식으로 잡장을 연습하면 생각지도 못한 효과를 거두게 된다.

④잡장의 연습은 경(輕), 중(重)을 준수해야 한다. 이것은 바로 유(柔)와 강(剛)으로 먼저 부드럽고 천천히 가볍게 힘을 발하여 기(氣)와 몸을 조절하고 전신의 기(氣)가 조화롭고 편안하고 힘이 순하게 된 후에 다시 강맹한 힘으로 잡장을 하여 전체적인 힘을 단련한다. 그리고 마지막에는 다시 가볍고 부드럽게 하여 기(氣)를 조절하고 몸을 기른다. 이 3단계의 연습은 시종 자세의 정확성, 경력의 순합(順合)을 유지하고 시종 의념이 우선해야 한다.

⑤연습 과정에서 반드시 매 사람의 체질의 강약과 신체의 상황에 따라서 운동량을 결정하고 일시적인 기쁨과 통쾌함을 구하지 말아야 한다. 발경이 지나치게 강맹하거나 연공시간이 지나치게 길면 피로하게 된다.

잡장은 비록 형의권의 비교적 빠르게 경력을 얻는 공법이지만 연습이 적합하지 않으면 많은 병폐를 만들어낼 수도 있다. 즉, 잡장 시에는 앞 발이 땅에 닿을 때 소리가 나도록 발뒤꿈치에 충격을 주게 되어 연습이 지나치게 강하거나 지나치게 오래 하거나 지나치게 피로하게 되면 발뒤꿈치에 이상이 생길 수도 있다.

또 앞 발의 무릎의 탄성이 힘을 주어 버티므로 무릎 부위에 커다란 충격을 만들어 내어 지나치게 강하거나 오래 하거나 피로하면 무릎에 통증이 생기게 된다. 잡장 시에는 지면을 지탱하는 힘이 마디마다 위로 이르므로 비록 앞으로 발경이 되지만 머리의 대뇌 부위에 일정한 진동을 만들어 지나치게 강하거나 오래거나 피로하면 머리에 통증이 생기는 등의 나쁜 영향을 낳을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점에 주의해야 한다.

그러나 상술한 연습법에 따라 연습을 하고 선생의 지도에 따르면 이러한 병폐는 모두 피할 수 있다. 연공은 순서에 따라 점진적으로 진행하여야 하니 급하면 오히려 이르지 못하게 된다.

앞에 소개한 것은 앞 발이 땅을 밟을 때(진각) 소리가 나는 잡장 연습 방법인데 뒷발이 땅을 밟을 때 소리가 나는 잡장이 있다. 동작은 아래와 같다.

①뒷발 잡장의 예비 자세는 앞과 같다.

②신체의 중심을 약간 앞으로 이동한다. 동시에 앞 발은 움직이지 말고 뒷발의 뒤꿈치를 2~3㎝정도 들어 올린다. 발끝은 땅에서 떨어뜨리지 않는다. 신형은 약간 앞으로 늘린다. 양손의 동작은 앞의 잡장동작과 같다. 앞 손의 하박이 뒤로 약간 이동할 때, 허리는 약간 꼿꼿이 세우고 가슴은 약간 앞으로 세운다. 동작은 천천히 호흡과 배합한다. 눈은 전방을 본다.

③중심은 뒤로 이동하고 앞 다리는 지탱한다. 뒷발의 뒤꿈치가 땅을 밟을 때 소리를 낸다. 힘을 써서 뒤로 아래로 땅을 밟는다. 동시에, 앞 손은 하박과 손목을 사용하여 힘을 주어 앞으로 힘을 발한다. 동작과 경력은 앞과 같다. 뒷손은 앞 손의 손목을 부축하고 있다.

둔부를 아래로 떨어뜨리고 뒤로 앉히고 허리를 뒤로 구부리고 어깨를 앞으로 보내고 숨을 내쉬는 것에 맞추어 전체적인 힘을 발하는 것에 주의한다. 뒷발의 잡장은 뒷발이 땅을 밟아 지탱하는 반작용을 이용하여 신속히 위로 올려 허리와 어깨를 통하여 앞 손에 이르러 전체적인 힘을 발출하는 것이다.

잡장의 연습 시에는 앞발과 뒷발을 모두 연습하는데 앞발로 하는 잡장을 위주로 하고 뒷발로 하는 잡장은 보조적으로 한다.

이 외에 오행권의 연습 과정에서도 잡장의 기법을 오행권의 매 권식에 대해서도 연습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더욱 빠르게 오행권의 경력을 체득할 수 있고 공력을 증가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인 연습은 잡장과 같은데 전신의 전체적인 힘을 앞 손의 장 혹은 권에 관통시켜서 경력의 내원을 체득하게 되고 형의권의 요령을 깊이 이해하게 되어 정확한 자세를 만들고 동작을 규범화 하는데 유리하게 된다.

그러므로 잡장은 형의권의 전체적인 힘을 빠르게 마스터하고 공력을 증가시키는 매우 간단하고 실용적인 공법이라고 말할 수 있다. 나는 다년간의 연공 체험과 교학을 통하여 잡장은 오행권의 경력을 비교적 빨리 얻을 수 있는 가장 간결하고 실용적인 장법이라고 생각한다.


북경형의권연구회회장 저국용(邸?勇)
글 출처: http://cafe206.daum.net/_c21_/home?grpid=13Apy
그림 출처 : http://cafe.daum.net/wellbeing3
[운동] 24식 태극권(24式太極拳)
글쓴이 : 마음놀이터
조회 : 230 추천 : 0








http://www.youtube.com/watch?v=CyiZe6oQBPA (24식 다른것)

24식 동작명입니다
1.기세(起勢)
2.좌우야마분종(左右野馬分鬃)
3.백학량시(白鶴亮翅)
4.좌우누슬요보(左右樓膝拗步)
5.수휘비파(手揮琵琶)
6.좌우 도권굉(左右倒捲肱)
7.좌 남작미(左攬雀尾)
8.우 남작미(右攬雀尾)
9.단편(單鞭)
10.운수(雲手)
11.단편(單鞭)
12.고탐마(高探馬)
13.우등각(右蹬脚)
14.쌍봉관이(雙峰貫耳)
15.전신좌등각(轉身左등脚)
16.좌하세독립(左下勢獨立)
17.우하세독립(右下勢獨立)
18.좌우천사(左右穿梭)
19.해저침(海底針)
20.섬통비(閃通譬)
21.전신반란추(轉身搬欄추)
22.여봉사폐(如封似閉)
23.십자수(十字手)
24.수세(收勢)
추천 : 0
오행기공(五行气功)
글쓴이 : 마음놀이터
조회 : 99 추천 : 0



앞부분에는 동작에 대한 간단한 설명이 나오고, 뒤쪽에 연속된 동작이 나옵니다.

동작을 하실때에는 몸이 움직이는 선에서 무리하시지 마시고 자연스럽게 힘을빼신 편안한 상태에서 하세요.
뒷부분 장면이 짤렸는데요 동작이 무리가 없는 동작이므로 두 손으로 천천히 몸을 쓸어내리시거나 합장을 하면서 마무리를 하시면 되겠습니다. 필요하시면 위에서 아래로 두번 더 해주셔도 됩니다.

참고용 자료로 올렸습니다.
추천 : 0
[운동] 세수경(洗髓經 - 釋延王)
글쓴이 : 마음놀이터
조회 : 106 추천 : 0








洗髓經(세수경)은 소림사의 깊은 인연만 배울 수 있다는 수련법으로 골수를 씻어 정욕에 오염된 五臟六腑(오장육부)와 四肢百骸(사지백해)를 세척하여 깨끗하게 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시연하는 사람은 스옌왕(釋延王)으로 소림사에서 20년 수련하고 하산해서 홍콩에서 강의를 한다고 합니다.
세수경이라고 제목에는 써있지만 아무래도 이것은 스옌왕이 소림 무술을 변형한 역근세수공(易筋洗隨功)의 일부인 것 같습니다.

꼭 가부좌를 틀지 않고도 책상의자에서도 가끔식 하면 괜찮을것 같습니다.

[종합]
전남도, 31일 금향재단(주)와 350억 규모 투자협약…명상.자연치유 시설



대나무의 고장 담양에 최면․명상․자연치유 등으로 새롭게 떠오르는 대체의학센터 ‘명상웰피아’가 들어선다.


전라남도는 31일 오후 도청 정약용실에서 박준영 도지사와 주영찬 담양군수 권한대행, 박기하 금향재단(주) 이사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350억원 규모의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이로 인한 100여명의 신규 고용창출이 예상된다.

이날 협약에 따라 (재)금향재단은 담양군 월산면 중월리 일원 6만7천㎡ 부지에 총 349억원을 투자해 명상치유센터, 대체의학센터, 자연치유 그린웰피아, 달뫼골 썬빌리지 등을 건립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최면, 심리, 자연치료와 한의학 등 각계 전문가로 구성된 우주광(유), 그린웰피아(주), 달뫼골썬빌리지(유) 등 3개사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사업별로 우주광(대표이사 양순태)에서는 인간의 대체의학으로 관심과 영역이 확장되고 있는 최면심리 치유센터, 명상치유센터를 운영한다. 최면치료는 정신, 빙의, 현대인의 심신치유와 최면 마취를 통한 수술뿐 만 아니라, 범죄수사 등에도 도입하고 있으며 명상치유센터는 달․별빛 등 자연속에서의 수행을 통한 치료요법으로 널리 알려지고 있다.

그린웰피아 주식회사(대표이사 박기하)에서는 가족단위 관광객을 위해 대나무, 맥반석, 게르마늄 등을 활용한 자연치유센터와 태양광 에너지를 활용하고 황토와 원목을 사용한 친환경 펜션단지를 조성 운영한다.

달뫼골 썬 빌리지(대표이사 한영수)는 세계명상치유센터, 그린웰피아 시설은 물론 시계탑, 가로등 전광판 등에도 태양광 발전시설을 도입하는 친환경 에너지 시설사업을 펼친다.

명상 웰피아는 심신이 지친 현대인들이 추구하는 자연친화적이고 느리게 살고자 하는 트랜드가 잘 반영된 아이템으로 미래 블루오션 산업으로 각광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박준영 도지사는 이날 협약식에서 “담양 웰피아는 대나무, 메타세콰이아 등 풍부한 자연경관과 함께 전남․북의 중심지에 위치해 있어 도시인들이 와서 쉬고 즐길 수 있는 휴양 및 레저 산업의 최적지가 될 것”이라며

“현대 문명으로 심신이 지친 현대인들이 추구하는 로하스적인 컨셉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고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을 통한 지역경제 발전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취재팀 news@yestv.co.kr 취재팀의 다른기사 보기
기사등록 : 2009-04-01 오전 7:06:23
[예스TV광주] 무단전제 및 재배포 금지
[광주] '기의 고장' 영암에서 웰빙관광 즐겨요
<앵커>

전남 영암군이 월출산 자락에 기를 테마로 하는 웰빙관광지를 조성하고 영암을 기의 고장으로 키워가고 있습니다.

송도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영암군이 기와 건강을 테마로 월출산 자락에 조성한 웰빙관광지 기찬랜드입니다.

월출산을 오르내리면서 몸으로 느낀 기는 이곳 기 건강센터에서 기공치료와 기건강 체조 체험으로 이어집니다.

기 웰빙관광의 개념은 월출산 맥반석에서 시작됐습니다.

[전갑홍/영암 기건강체조보급단장 : 월출산은83%가 맥반석으로 돼있어서맥반석과 황토가 어울려져서 강한 기운을 발산한다고 하는 것은우리 과학자들이 이미 증명을 했습니다. 그래서 기의 고장 그러면 영암을 상징적으로 이야기 할 수가 있죠.]

월출산 기슭을 따라 도는 기도로 7킬로미터는 휴식과 신체단련을 하기에 안성마춤입니다.

땀흘린 방문객들은 월출산 맥반석 계곡물을 활용해 만든 4개의 자연형 풀에서 몸을 식힐 수 있습니다.

이 마을 출신 조훈현 국수를 기념해 바둑 기보를 그려넣은 풀장도 있습니다.

영암군은 앞으로 월출산 일대에 총 40km, 백리길의 기 도로를 만드는 등 기 체험관광을 특화시킬 계획입니다.

또 전남의 대표적 한옥민박마을인 구림마을의 한옥체험과 연계해 체류형 관광인프라를 늘려나갈 예정입니다.

영암 월출산을 찾는 관광객들은 이제 한옥과 기를 테마로 하는 웰빙관광을 즐길 수 있습니다.

최종편집 : 2008-07-21 17:38 (KBC) 송도훈 기자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