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부표들 - 함미, 함수, 제3부표 사진 분석
(서프라이즈 / elysianfield / 2011-02-18)
1. 함미의 부표
함미 크레인이 최초로 머문 곳, 용트림 바위 쪽에서 중화동 초소 방향의 근거리에 크레인이 있었다.
이곳의 위치를 알아보기 위하여 차례대로 사진을 보도록하자.
용트림 바위 쪽에서 윗사진의 중화동 초소가 희미하게 보이며 초소 지나서 봉우리들이 연속되고 있다.
중화동포구 시작점의 초소 장면
중화동 포구 우측 봉우리를 돌아서면서 레이더(?)가 보인다.
레이더 다음에도 봉우리는 계속되고 있는 장면이고 함미인양 크레인은 사진 속의 뒷봉우리와 상당히 근접한 거리에 있었다.
레이더장면
군당국이 발표한 폭발 원점은 어디인가.
연화리 해변에서 남쪽방면 TOD에 등장한 돌출부가 보이고 멀리 독도함이 작게 보인다.
윗장면에서 우측으로 한참 멀리(해안에서 2.5km?) 삼아크레인(함미)이 보인다.
크레인 옆은 평택함이다. 함미와 침선이 있다는 곳이며 위 사진에서 해변돌출부와 독도함이 삼각형을 이루는 우측 꼭지점쯤 된다.
크레인과 평택함 사이로 살보함이 들어온다.
크레인과 평택함 사이에 살보함이 왜?
크레인이 방향을 조금 틀어 살보함쪽으로 체인이 내려져 있는 의미심장한 장면이다.
함미를 장촌 앞바다로 이동시키기 이전 이곳에서 떠오른 함미의 사진이나 영상은 어디에서도 찾지 못했다.
함미의 기습 이동시 최초 폭착된 곳은 백령도 서남단이며 모바일 중계로 보도되었다.
함미는 어디 있었는가?
아래는 연화리 해변에 아주 근접한 함미 부표이며 군당국이 주장하는 폭발원점과 전혀 거리가 다르다.
247초소에서 조금 남쪽이며 최초좌초 표기점 부근쯤 된다.
연화리 주민이 삼아 크레인(함미)을 주시하고 있는 장면이고 해안에서 상단히 근거리에 있다.
아래의 성인봉함앞 부표 역시 해안에서 멀지 않은 부표다.
이 장면 해안에서 그다지 멀지 않는 함미 부표의 위치를 볼 수 있다.
2. 함수의 부표
함수의 부표는 어디쯤 있었나.
함수쪽 크레인과 평택함 그리고 우측 멀리 연봉바위가 보이고 있다.
해안에서 상당히 멀리 떨어진 것처럼 보이지만......
백령도 남동쪽 끝자락 유격장 초소 바로 앞 해안가 근처에 함수의 부표가 보이며 부표 우측으로 선체의 일부 혹은 암초가 살짝 보인다.
장촌항 기준으로만 거리를 이야기해서 다소 먼 거리로 생각하지만 초소에서 대단히 가까운 곳이 틀림 없다.
유격장 옆 봉우리에 초소가 보이는 장면
국방부장관이 초소와 880m 거리 사고지역을 답변하는 장면
3. 제 3부표
용트림 바위가 보이고 그 앞쪽으로 3부표가 보인다.
아직 부표가 설치되기 이전 이미 잠수가 행해지는 장면으로 추정된다.
아래는 용트림바위에서 중화동 쪽으로 조금 이동한 위치의 장면이다.
* 제 3 부표에 대한 KBS의 보도 살펴보기
제 3의 부표 위치를 설명 하는 장면
제 3 부표에 대한 국방부 입장 설명
"그러나 UDT 동지회 회원은 단순한 파편이 아닌 대형구조물을 보았다"라는 내용을 전한다.
UDT 동지회 회원 입수장면 (서치부착)
헤드 서치 불빛으로 비추며 잠수중인 모습. 이 장면은 해치문을 열고 들어서 약간 옆쪽에 올려 놓는 장면이다.
해치문 안쪽으로 톱니 모양의 노란색 패킹이 부착되어 있고 부속장치들이 보인다.
해치(hatch)문의 구조는 각양각색일 것이다.
참고로 ASDS의 격납고(?)의 해치문을 살펴보면 톱니모양 구조를 볼 수 있다.
안쪽 해치문을 확대하면 톱니모양의 구조가 보인다.
잠수함의 해치는 다양할 것으로 예측되나 다음 장면은 톱니 모양이 보이지 않는다.
"이곳은 어제 해군이 2m 길이의 파편 두개를 건져 올려 백령도가 아닌 남쪽 어디론가로 사라졌다"라는 내용을 전하며
아래와 같은 장면이 나온다.
"한 때 다도해함이 장시간 머물렀던 곳" 이라는 설명으로 끝난다.
UDT 동지회 회원은 왜 해치문을 열고 들어갔을까.
군당국은 함수는 뒤집어진 채 함미는 옆으로 누어있는 상태라고 했다. 따라서 천안함이라면 절단면을 통해서 들어가는 것이 상식적인 탐색으로 생각되지 않겠는가!
마지막으로 추적 60분 한 장면을 보면서.....
elysian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