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일: 2018. 3. 29.
2부(요약)천안함 절단 직후, 잠수함 몸통까지 나오는 TOD 확대 영상☞https://youtu.be/p0BhWUAiyBI
2010년 초'사라졌다 2012년 12월말 올 수리 후 하이파(Haifa) 해군 기지에 나타난 이스라엘 잠수함.
천안함 선저에 8M'크기의 둥근 파공이 있다. 지름 8M 길이 60M 크기의 잠수함은 돌핀급으로 (독일산)이스라엘 잠수함'
위 잠수함'이 밑에서 위로 밀고 들어가면서 천안함을 두동강 냈다.-신상철 서재정 박사-
사건개요 : 최초 좌초 후 표류하던 중 잠수함에 받힘.
“당시 천안함과 충돌한 이스라엘 잠수함은 페르시아만과 바다 조건이 가장 유사한 서해에서 비밀훈련 중이었다”
“이 잠수함은 베트남의 해군기지를 이용하고 있었다”
그는 천안함 민관합동조사단에 안소니 파웰(Anthony Powell) 호주 해군중령이 합류했다면서 “그는 어떤 결론에도 서명하지 않고 중립적이고 양심적인 입장을 견지했다”고 밝혔다.
천안함 침몰 재조사 청원을 재청원한다. 며칠 전 다른 분의 청원이 20만명 채우지 못해 기각됐다. 재청원 청와대 주소 https://www1.president.go.kr/petition...
[영상 편집 자료 출처]
1.주권방송 2017.12.11
제목:천안함 한국 인양업자 내보내고 발빠르게 움직인 미군 풀영상 보기는☞ https://youtu.be/SVa511sDRUc
2.나꼼수 2012년 초 방송분
풀청취는 ☞https://youtu.be/xPoK4kr2Gjc
3.천안함 프로젝트 2013. 9. 5 개봉 영화분
4.KBS 추적 60분 2018. 3.28 방송분
제목:8년 만의 공개 천안함 보고서의 진실 전편
풀영상 보기는10:00초'부터☞https://youtu.be/1ZLn7N8XEQg
카테고리
뉴스/정치
라이선스
표준 YouTube 라이선스
니콜라스 반 렌스버그, 평생 신문도 본 적 없지만 예언 모두 ‘적중’ 경제 대공황, 다이애나 비 사망 등 3차대전 발발 전망에 세계인 주목
[헤럴드경제=이슈섹션]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노스트라다무스’로 불리는 예언가 ‘니콜라스 반 렌스버그’가 믿을 수 없는 예지력으로 시청자들의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18일 방영된 MBC 예능 ‘신비한TV 서프라이즈’에 따르면, 니콜라스 반 렌스버그는 1862년 8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한 농장에서 태어났다.
그는 평생 단 한 번도 신문을 본 적이 없지만 세계 전역에서 벌어지는 사건들을 빠짐없이 파악했다. 미래를 볼 수 있는 천부적인 초능력을 지니고 태어난 셈이다. 1926년 3월 65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난 그의 예언은 딸이 직접 노트에 받아 적어 보관하다가 책으로 출간해 후세에 남겼다.
먼저 그는 1911년에 3년 뒤 일어날 1차 세계대전을 예언했다. 1918년에 다이아몬드를 캐다가 땅에서 솟아오른 빨란 먼지 구름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죽는 독감이 발생한다고도 예언했다. 이어 1929년 발생한 경제 대공황을 예언했고, 3차례 발생하게 될 인류의 대전쟁에 대해서도 예언했다.
일본은 지진으로 파괴되고, 러시아와 유럽에서는 인종 분쟁이 발생하며, 독일과 미국이 3차 세계대전에서 동맹국으로 함께 싸우게 된다는 것이다.
특히 그는 3차 세계대전이 발발할 때 무서운 전염병이 발생할 것이라고 예언해 세계인을 공포로 몰아넣었다.
한편,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흑인에 의해 다시 통치된다는 그의 예언은 넬슨 만델라 대통령이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통령으로 취임하면서 현실이 됐다.
지난 번 [알쓸로얄]지역갈등 끝판왕 벨기에…독일서 수입한 왕실이 해결사? 에선 플랑드르-왈롱으로 갈라져 남북 갈등이 첨예한 벨기에에서 왕실이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전해드렸습니다.
이번엔 벨기에의 역대 왕 중 가장 유명한 레오폴드 2세(1835~1909)의 이야기를 살펴보겠습니다. 홀로코스트를 저지른 아돌프 히틀러, 캄보디아 ‘킬링필드’ 대학살의 주범 폴 포트, '아프리카의 히틀러' 우간다의 이디 아민 등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역사상 가장 잔혹한 통치자로 손꼽히는 인물입니다. 악명을 떨친 덕에 그는 19세기에야 독립한 소국 벨기에 왕실에서 유일하게 역사에 길이길이 남을 왕이 됐죠.
━ 히틀러 맞먹는 벨기에의 흑역사
레오폴드 2세의 잔혹과 야만을 한눈에 보여주는 것이 바로 위 사진입니다. 1900년 무렵 콩고에서 촬영된 사진 속엔 손이 잘린 흑인 소년과 그 소년의 팔을 들고 있는 백인 남성이 서 있습니다.
그가 콩고를 지배하는 동안 잘려나간 원주민의 손이 수백만에 달할 터. 유럽 근대 제국주의자 중 최악이라는 레오폴드 2세는 대체 콩코에서 무슨 일을 저지른 걸까요.
레오폴드 2세는 아버지인 초대 국왕 레오폴드 1세의 뒤를 이어 1865년 왕위에 오릅니다. 서구 열강들이 식민지 확장에 열을 올리던 시기입니다. 영국·프랑스·스페인 등을 보면서 레오폴드 2세는 식민지만이 국가를 부강하게 만들어줄 거라 생각했습니다. 즉위 직후 동생인 필리프 왕자에게 보낸 편지에도 그는 “국가는 강하고 번영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식민지를 가져야 한다”고 썼습니다.
하지만 후발주자가 식민지 삼을만한 나라는 남아있지 않았습니다. 더구나 벨기에 의회가 식민지 개척에 시큰둥했습니다. 1831년 중립국 지위로 독립을 선언한 벨기에의 군사력이 바다 건너 식민 영토를 보호할 수 있을 만큼 강하지 않기 때문에, 식민지 경영을 무모한 도박이라 여겼던 겁니다.
━ 필리핀 구매 실패 뒤 콩코에 눈 돌려 레오폴드 2세는 단독으로 식민지 확보에 나섭니다. 스페인의 이사벨 2세에게 필리핀 양도를 타진했죠. 필리핀을 사기 위해 영국은행에 대출도 신청합니다. 그러나 대출은 거부됐고, 이사벨 2세마저 폐위되면서 계획은 무산됩니다.
플랜A가 좌절된 레오폴드 2세의 눈에 들어온 것이 콩고입니다. 그는 콩고 접수를 위해 ‘국제 아프리카 협회’라는 단체를 설립했습니다. 과학 연구와 인도주의를 명분으로 내세웠지만, 콩고 식민화가 본래 목적이었죠. 또 자신을 아프리카에 서구의 기독 문명을 전파하는 박애주의자로 포장하고 국제 학술회의를 개최해 이를 선전합니다.
주도면밀하게 의도를 위장한 덕분에 그는 쉽게 콩고를 손에 넣었습니다. 마침 두 강대국 영국과 프랑스의 충돌을 막아줄 완충지가 필요했던 국제사회의 이해관계도 그를 도왔습니다. 콩고 지배권을 인정받은 레오폴드 2세는 1885년 공식적으로 콩고자유국가(Congo Free State)를 세우고 본격적인 식민지 개척을 시작합니다.
레오폴드 2세의 콩고는 보통의 제국주의 식민지와는 달랐습니다. 벨기에 정부는 통치에 관여하지 않았고, 그는 개인 자격으로 콩고의 땅과 원주민을 소유했습니다. 벨기에 면적의 75배에 이르는 거대한 영토가 역사상 유례없는 사유지가 된 겁니다.
━ 역사상 유례 없는 개인 소유 식민지 그는 벨기에 정부로부터 돈을 빌려가며 콩고 개발에 나섰습니다. 수탈을 통해 얻은 이익은 당연히 레오폴드 2세의 개인 재산이 됐습니다. ‘콩고 개발업자’나 다름없던 레오폴드 2세는 실제 자신을 ‘소유주(proprietor)’라 불렀다고 합니다.
첫 수탈 대상은 상아였습니다. 그러나 상아로 얻을 수 있는 수익은 기대에 못 미쳤습니다. 때마침 고무 타이어를 사용한 자전거가 발명됐고, 자동차 산업이 폭발적으로 성장합니다. 고무 수요가 폭증하면서 국토 절반을 고무나무가 덮고 있던 콩고는 황금알을 낳는 거위가 됩니다.
그는 원주민을 모조리 고무 생산에 투입합니다. 밀림에서 맨몸으로 고무를 채취하는 일은 그야말로 사람을 갈아 넣는 노동입니다. 레오폴드 2세는 주저하는 원주민을 밀림으로 밀어 넣기 위해 악랄한 수법을 동원합니다. 원주민의 아내나 딸을 감금해놓고 고무를 가져오면 풀어주겠다고 협박하는가 하면, 강제노동을 거부하는 마을은 몰살시킵니다.
━ 수탈과 학살…지옥으로 변한 콩고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손목을 잘라낸 잔혹한 행위는 특히 악명 높았는데, 손이 절단된 뭉툭한 팔목을 가진 원주민들의 모습이 레오폴드 2세의 폭정을 상징하는 대표 이미지가 됐을 정도입니다.
그는 고무 할당량을 맞추지 못하면 목숨으로 갚도록 했고, 이들을 처형하는 용병에게는 총알을 낭비하지 않았다는 걸 시신에서 잘라낸 손으로 증명하도록 했습니다. 총알이 빗맞는 등 실수를 했을 때, 용병들은 살아있는 사람들의 손목을 자르기 시작했습니다. 잘라낸 손이 용병들의 성과로 평가되면서, 바구니 가득 잘린 손을 담아 다녔다는 목격담이 나오기도 했죠. 인정사정없는 착취와 수탈, 극악무도한 살육으로 콩고는 지옥이 됐습니다.
이렇게 콩고를 착취해서 레오폴드 2세는 막대한 수익을 올립니다. 1998년 역사저술가인 아담 호크실드가 펴낸 『레오폴드 왕의 유령(King Leopold's Ghost)』을 소개한 뉴욕타임스(NYT) 기사는 레오폴드 2세가 거둔 수익이 2억 2000만 프랑, 현재 가치로 11억 달러(약 1조 1000억원)로 추정된다고 전했습니다.
━ 콩고 착취해 현재 가치 1조원 수익
호크실드의 책에 따르면 레오폴드 2세는 수익 일부를 아끼던 정부(情婦) 캐롤라인에게 저택과 값비싼 드레스를 사주는 데 사용했습니다. 또 제국을 꿈꾼 군주답게 과시적인 건축사업에 몰두했습니다. 어찌나 건물을 지어댔는지 ‘건축왕’이란 별명을 얻었을 정도입니다.
그래서인지 히틀러에 맞먹는 학살자로 역사에 기록됐는데도 벨기에에선 그에 대한 평가가 썩 나쁘지 않습니다. ‘건축왕’ 덕분에 벨기에는 19세기 아르누보의 중심지가 됐을 뿐 아니라, 대대손손 자랑할만한 아름다운 유산을 갖게 됐기 때문입니다.
어쨌든 극악무도한 행위는 곧 선교사 등을 통해 콩고 밖으로도 알려지게 됐습니다. 레오폴드 2세를 향한 국제사회의 거센 비판이 일었습니다. 훨씬 거대한 식민지를 착취·수탈한 영국 등 제국주의 열강조차 레오폴드 2세의 잔혹성에 혀를 내두르며 비난에 가세했습니다. 마크 트웨인과 코넌 도일 등 유명 인사들도 나섰고요.
사태를 방관하던 벨기에 정부는 압력을 이기지 못하고 콩고를 식민지로 병합하기로 결정합니다. 1908년 마침내 콩고자유국가는 사라집니다.
━ 23년 지배 중 1000만 명 인구 감소 추정 레오폴드 2세가 콩고를 지배한 기간은 20년 남짓입니다. 그 기간 콩고에서 약 1000만 명이 숨진 것으로 추정됩니다. 당시 공식 통계가 없어 이는 역산한 수치입니다. 각종 기록을 종합하면 1885~1908년 콩고 인구의 절반이 사라진 것으로 추정되는데,1924년 최초로 실시된 인구조사 결과 콩고 인구가 약 1000만 명으로 집계됐다는 겁니다.
호크실드는『레오폴드 왕의 유령』에서 ‘1000만 대학살’의 원인은 복합적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살해당한 자들뿐 아니라, 질병과 기아로 사망한 원주민도 이 숫자 안에 포함된다는 거죠. 또 가혹한 착취로 인해 이 기간에 출산율이 급감한 것 역시 콩고 인구를 급감시킨 원인으로 꼽힙니다.
레오폴드 2세는 끝까지 콩고에서 벌어진 학살을 몰랐다고 잡아뗐다고 합니다. 콩고에서 저지른 일을 묻어버리려 애쓰기도 했죠. 벨기에 정부가 콩고를 병합한 뒤, 레오폴드 2세의 궁전 옆 소각로는 8일 동안 연기가 피어올랐습니다. 콩고와 관련된 모든 자료를 불태워 없애버린 겁니다. 이때 그가 이런 말을 했다고 전해집니다. “나의 콩고를 그들(벨기에 정부)에게 넘기지만, 그들에게 내가 무슨 일을 했는지 알 권리는 없다”
콩고를 넘긴 이듬해인 1908년 레오폴드 2세는 사망합니다. 그리고 그로부터 50여 년이 더 흐른 1960년에야 콩고는 벨기에에서 독립합니다.
벨기에 정부는 2002년 콩고에 사과했습니다. 친(親)소련 성향을 보였던 독립 영웅이자 초대 총리 파트리스 루뭄바 피살을 묵인한 데 대한 사죄였습니다. 그 외에도 몇몇 정치인들이 벨기에의 식민 통치에 대한 유감을 표명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1908년 콩고를 합병하기 전, 레오폴드 2세가 저지른 대학살에 대한 입장은 밝히지 않고 있습니다. “정부가 개입하지 않은, 사유지에서 개인이 저지른 학살은 벨기에와 무관하다. 책임지거나 사과할 필요 없다”는 여론도 적지 않고요. 벨기에가 ‘거대한 망각(The Great Forgetting)’에 빠져 있다는 비판을 받는 까닭입니다. 홍주희 기자 honghong@joognang.co.kr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천안함 침몰 사고 진상규명을 위한 재조사 청원이 5만 명을 돌파한 가운데 유시민 작가도 “천안함 사건은 아직 해명되지 않은 의문점이 너무 많은 사건”이라고 지적했다.
지난 2010년 3월26일 발생한 천안함 침몰 사고에 대해 당시 이명박 정부 민·군 합동조사단은 그해 9월 “천안함은 북한에서 제조한 감응어뢰의 강력한 수중 폭발에 의해 선체가 절단돼 침몰한 것”이라고 결론 내렸다. 이후 정부 조사 결과를 과학적·실증적으로 반박하는 많은 의문이 제기됐지만, 정부는 이 같은 문제제기에 굳게 입을 닫았다.
유 작가는 지난 1일 방송된 JTBC ‘썰전’에 출연해 “그때 (MB)정부가 다 거짓말을 했다는 뜻이 아니다. 천안함 사건 문제는 여전히 남북 사이에 분쟁이 있는 사안”이라며 “북한의 말(북한 소행이 아니다)이 맞다는 게 아니라 우리 정부의 진상조사 발표 내용 중에 합리적인 의문이 많이 제기됐고, 그 점에 대해 정부가 한 번도 제대로 해명한 적이 없다”고 꼬집었다.
지난 1일 방송된 JTBC ‘썰전’방송 화면 갈무리.
이에 대해 천안함 사고 당시 청와대 대통령실 정무수석으로 있었던 박형준 동아대 교수는 “천안함 사건은 다 증명돼 있다. 일부러 호주와 미국 등 국제적인 조사단이 사고 원인을 다 규명한 것”이라며 “분명히 북의 잠수정에 의한 공격이라는 것이 명확한 사실로 확인됐다”고 반박했다.
그러자 유 작가는 “뭐가 확인됐나. 지금 우리가 어느 정도 믿을 수 있는 것은 어떤 폭발, 혹은 다른 원인에 의해서 배가 반파됐다는 것”이라며 “폭발이 있었는지, 물기둥이 있었는지 (확실치 않고), 생존한 승조원들은 언론 접촉도 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유 작가는 또 “이 사건만 생각하면 우리 사회가 아직도 자유대한민국이 아닐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며 “정부가 발표한 천안함 사건 원인 대해 ‘나는 납득 못 하겠다’고 얘기하면 ‘너 북한 앞잡이’라고 몰아붙이는 분위기가 아직도 있어 말하기 조심스러우나, 정부가 제기된 문제에 대해 제대로 말이 되는 답을 주지 못한 게 아직도 너무 많다”고 덧붙였다.
한편 2일 현재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지난달 22일 천안함 침몰사고 원인 재조사를 요구하는 청원 글이 올라온 후 서명 참여자가 5만4000여 명을 넘어섰다. 청원인은 “우리는 여기서 묻지 않을 수 없다. 과연 천안함 침몰이 북한의 소행에 의한 것인가, 단 하나라도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증거가 있느냐”며 “그렇다면 지금이야말로 이명박 정권에서 벌어진 이 참담한 사건의 진상을 명명백백하게 규명할 때”라고 주장했다.
앞서 지난 2010년 5월20일 정부의 천안함 침몰 조사결과 발표에 합리적 의문점을 검증한다는 취지로 언론 3단체(한국기자협회·한국PD연합회·전국언론노동조합)에서 ‘천안함 조사결과 언론보도 검증위원회’를 출범하기도 했다.
천안함 언론검증위는 이후 다섯 달 가까이 과학자들과 함께 검증한 결과를 10월12일 “더 이상 ‘버블제트’는 없다”라는 제목의 천안함 종합보고서로 발표했다.
언론검증위는 이 보고서에서 “이번 종합 보고서를 통해 ‘최소한 버블제트(수중에서 폭약이 터지면서 선체를 파괴하는 방식)는 없었다’는 결론을 내렸다”며 “국회 천안함 특위 위원으로부터 함체와 어뢰추진체의 흡착물질을 제공받아 독자적으로 분석을 의뢰한 결과 흡착물질은 폭발과 무관함을 확인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