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대통령이 갖춰야 할 덕목은 소통능력 38%·도덕성 27%"
차기정부 최우선 과제 청년일자리·저출산 해결
64% "경제 나빠질것"…절반은 장기침체 예상
88% 현정부 경제 낙제점…"창조경제는 계승"
◆ 매경·LG경제硏 공동기획 / 2017 경제인식 조사◆
![기사의 0번째 이미지](http://file.mk.co.kr/meet/neds/2017/01/image_readtop_2017_3621_14833545822735689.jpg)
올해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국민이 새 지도자에게 바라는 3대 덕목은 '소통 능력, 도덕성, 행정 경험'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꽁꽁 얼어붙은 내수경기를 되살리기 위해 '소비 여력 확충'과 '대출 부담 완화'를 시급한 정책 과제로 꼽았다. 박근혜정부 정책 가운데 '창조경제' 정책은 살려야 한다는 답변이 예상보다 많아 미래 먹거리 확보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매일경제신문이 LG경제연구원과 공동으로 지난달 여론조사기관 메트릭스에 의뢰해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국민 10명 중 4명(37.9%)은 '국민과의 소통 능력'을 차기 대통령에게 필요한 최우선 덕목으로 꼽았다. 특히 연령이 낮을수록, 성향이 진보적일수록 '소통 능력'에 방점을 찍는 답변을 많이 하며 박근혜정부의 '불통 리더십'에 대한 불만을 드러냈다. 이어 도덕성(26.9%), 풍부한 행정 경험(21.4%)이 차기 대통령이 갖춰야 할 주요 리더십으로 꼽혔다. 반면 지식과 비전(10%), 정치 감각(7.1%)에 대해선 상대적으로 관심이 낮았다.
한국노동연구원이 올해 실업률을 2001년 이후 최고치인 3.9%로 전망한 가운데 차기 정부의 최우선 과제로 '청년 일자리 창출'을 꼽는 답변이 42.6%에 달했다. 또한 복수 응답으로 진행된 이 질문에서 국민 10명 중 3명은 '저출산·고령화 해소'를 시급한 과제로 인식했다. 생산가능인구 절대치가 줄어드는 원년(元年)을 맞아 향후 연금소득 감소, 노년부양비 증가 등에 대한 국민의 위기감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경기 침체와 정치 불안까지 겹치며 얼어붙은 소비심리를 되살리기 위해 국민 과반(55.6%)은 "소비 여력을 높여줘야 한다"고 답했다. 소비성향을 짓누르는 가계 빚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보금자리론 확대 등을 통해 대출 부담을 줄여줘야 한다"는 응답도 20.7%에 달했다. 또한 블랙프라이데이(11.3%), 임시공휴일 지정(5.3%) 등 단기적인 소비 진작책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소비성향이 높은 20·30대 젊은 층을 중심으로 높게 나타났다.
차기 정부에 대한 이 같은 국민의 요구 사항에는 현 정권에 대한 높은 불신이 그대로 반영됐다.
당장 박근혜정부 경제 정책에 대해선 '60점 미만'으로 낙제점을 준 국민이 10명 중 9명(87.6%)에 달했다. 경제당국이 가장 미흡했던 정책으로는 청년 일자리 창출(32.9%)과 신성장동력(22.2%)을 꼽았다. 현 정부 모토가 '창조경제'였던 점을 고려하면 참혹한 결과다.
더욱이 박근혜정부의 중점 추진 정책 가운데 새 정부가 계승할 정책에 대해선 '없다'는 답변이 절반에 가까운 47%를 기록했다. 다만 응답자 중 36.3%는 "'창조경제'는 계속 추진해야 한다"고 밝혀 신성장동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국민의 절박한 목소리가 반영됐다.
이 같은 국민의 위기감은 그대로 올해 한국 경제에 대한 불안심리로 이어졌다. 올해 한국 경제도 '나빠질 것'이란 전망이 64.1%로 '좋아질 것'(6.9%)이란 예상을 압도했다. 올해 3년 연속 2%대 성장에 따른 저성장 고착화 우려가 높아진 결과로 풀이된다.
또한 응답자 중 절반 이상은 "경제가 되살아나는 데 5년 이상 걸릴 것"이라며 장기 침체를 각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기 불황에 따른 직격탄을 맞고 있는 20대·대학생·월평균 가구소득 300만원 미만 저소득층일수록 향후 한국 경제에 대한 전망이 비관적인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 경제 회복의 걸림돌로는 최순실 사건과 탄핵 정국에 따른 '정치 혼란'을 꼽는 국민이 54.4%로 절대 다수를 차지했고, 생산가능인구 감소(17.8%), 신성장동력 부족(10.9%), 내수소비 제약(9.3%)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여성과 50대 이상, 주부 등 취약계층에서 정치 혼란을 한국 경제의 장애 요인으로 꼽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올해 사회 통합을 위해선 '계층갈등' 해소가 최우선 과제라는 답변이 42.1%로 가장 많았다.
이어 노사갈등(20.2%), 지역갈등(19%), 이념갈등(17.9%), 세대갈등(14.6%)이 해소돼야 사회 내부의 파열음을 줄이고 다시금 응집력 있는 한국 사회를 복원할 수 있다고 봤다. 특히 구직난에 시달리는 20대는 세대갈등, 30대는 지역갈등, 반퇴 위기에 직면한 40대는 노사갈등을 사회 통합을 위한 제1과제로 꼽아 차이를 드러냈다.
■ 지역·성·연령별 표본…1000명 대상 전화조사
이번 여론조사는 매일경제신문과 LG경제연구원이 새해 가계와 국가 경제 전망, 차기 정권의 국정과제 등에 대한 여론을 알아볼 목적으로 여론조사기관 메트릭스에 의뢰해 지난해 12월 17~18일 전국 만 19세 이상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했으며, 지역·성·연령대별로 인구에 비례해 무작위로 추출한 표본을 대상으로 한 전화조사 방식으로 진행했다. 95% 신뢰수준에서 표본오차는 ±3.1%포인트다.
[전정홍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매일경제신문이 LG경제연구원과 공동으로 지난달 여론조사기관 메트릭스에 의뢰해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국민 10명 중 4명(37.9%)은 '국민과의 소통 능력'을 차기 대통령에게 필요한 최우선 덕목으로 꼽았다. 특히 연령이 낮을수록, 성향이 진보적일수록 '소통 능력'에 방점을 찍는 답변을 많이 하며 박근혜정부의 '불통 리더십'에 대한 불만을 드러냈다. 이어 도덕성(26.9%), 풍부한 행정 경험(21.4%)이 차기 대통령이 갖춰야 할 주요 리더십으로 꼽혔다. 반면 지식과 비전(10%), 정치 감각(7.1%)에 대해선 상대적으로 관심이 낮았다.
한국노동연구원이 올해 실업률을 2001년 이후 최고치인 3.9%로 전망한 가운데 차기 정부의 최우선 과제로 '청년 일자리 창출'을 꼽는 답변이 42.6%에 달했다. 또한 복수 응답으로 진행된 이 질문에서 국민 10명 중 3명은 '저출산·고령화 해소'를 시급한 과제로 인식했다. 생산가능인구 절대치가 줄어드는 원년(元年)을 맞아 향후 연금소득 감소, 노년부양비 증가 등에 대한 국민의 위기감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경기 침체와 정치 불안까지 겹치며 얼어붙은 소비심리를 되살리기 위해 국민 과반(55.6%)은 "소비 여력을 높여줘야 한다"고 답했다. 소비성향을 짓누르는 가계 빚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보금자리론 확대 등을 통해 대출 부담을 줄여줘야 한다"는 응답도 20.7%에 달했다. 또한 블랙프라이데이(11.3%), 임시공휴일 지정(5.3%) 등 단기적인 소비 진작책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소비성향이 높은 20·30대 젊은 층을 중심으로 높게 나타났다.
차기 정부에 대한 이 같은 국민의 요구 사항에는 현 정권에 대한 높은 불신이 그대로 반영됐다.
당장 박근혜정부 경제 정책에 대해선 '60점 미만'으로 낙제점을 준 국민이 10명 중 9명(87.6%)에 달했다. 경제당국이 가장 미흡했던 정책으로는 청년 일자리 창출(32.9%)과 신성장동력(22.2%)을 꼽았다. 현 정부 모토가 '창조경제'였던 점을 고려하면 참혹한 결과다.
더욱이 박근혜정부의 중점 추진 정책 가운데 새 정부가 계승할 정책에 대해선 '없다'는 답변이 절반에 가까운 47%를 기록했다. 다만 응답자 중 36.3%는 "'창조경제'는 계속 추진해야 한다"고 밝혀 신성장동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국민의 절박한 목소리가 반영됐다.
이 같은 국민의 위기감은 그대로 올해 한국 경제에 대한 불안심리로 이어졌다. 올해 한국 경제도 '나빠질 것'이란 전망이 64.1%로 '좋아질 것'(6.9%)이란 예상을 압도했다. 올해 3년 연속 2%대 성장에 따른 저성장 고착화 우려가 높아진 결과로 풀이된다.
또한 응답자 중 절반 이상은 "경제가 되살아나는 데 5년 이상 걸릴 것"이라며 장기 침체를 각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기 불황에 따른 직격탄을 맞고 있는 20대·대학생·월평균 가구소득 300만원 미만 저소득층일수록 향후 한국 경제에 대한 전망이 비관적인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 경제 회복의 걸림돌로는 최순실 사건과 탄핵 정국에 따른 '정치 혼란'을 꼽는 국민이 54.4%로 절대 다수를 차지했고, 생산가능인구 감소(17.8%), 신성장동력 부족(10.9%), 내수소비 제약(9.3%)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여성과 50대 이상, 주부 등 취약계층에서 정치 혼란을 한국 경제의 장애 요인으로 꼽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올해 사회 통합을 위해선 '계층갈등' 해소가 최우선 과제라는 답변이 42.1%로 가장 많았다.
■ 지역·성·연령별 표본…1000명 대상 전화조사
이번 여론조사는 매일경제신문과 LG경제연구원이 새해 가계와 국가 경제 전망, 차기 정권의 국정과제 등에 대한 여론을 알아볼 목적으로 여론조사기관 메트릭스에 의뢰해 지난해 12월 17~18일 전국 만 19세 이상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했으며, 지역·성·연령대별로 인구에 비례해 무작위로 추출한 표본을 대상으로 한 전화조사 방식으로 진행했다. 95% 신뢰수준에서 표본오차는 ±3.1%포인트다.
[전정홍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세계로 우주로 > 통일한국 제주 국제자유도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탄핵 그 뒤, 어디로 가야하오? (0) | 2017.01.06 |
---|---|
청년들이 한국 사회에 말하다 (0) | 2017.01.06 |
자회사 세워 청소노동자 직접고용 '경희대 모델' 닻 올렸다 (0) | 2017.01.06 |
국회에서 벌어진 '안구정화' 9장면2017.01.02 (0) | 2017.01.05 |
"이재명이 뜬다", 캠프에 몰려드는 의원들 (0) | 2017.01.05 |
세월호 진상규명 민간 조사기구 뜬다…'국민조사위' 출범 (0) | 2017.01.04 |
[촛불이 바꾼다]③'기소독점' 검찰 권력에도 견제장치가 필요하다 (0) | 2017.01.04 |
이재명 성남시장 “TV조선의 부당 선거개입 끝까지 응징할 것” (0) | 2017.01.04 |
한 놈도 말하지 않는구나!!!!!!! [5] (0) | 2017.01.04 |
JTBC토론 달군 이재명-전원책 '법인세율 12% 설전' 팩트는.. (0) | 2017.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