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그 뒤, 어디로 가야하오?
탄핵 그 이후. 우리는 어디로 가야할까를 고민하는 14명의 목소리
아래로 스크롤
김덕진 천주교인권위원회 사무국장
(박근혜정권 퇴진 비상국민행동 대외협력팀장)
박근혜 대통령이 지금 안 내려오고 최대한 버티겠다는 건데, 대선 주자들이야 정치공학적으로 타임테이블이 다르겠지만 우리는 고려 없이 갈 길을 간다. 이번은 분노의 크기가 과거와 다르고 촛불은 계속될 거라고 생각한다.
김동춘 성공회대 사회학과 교수
출처 : 프레시안 사진자료국민은 어쨌든 퇴진 요구를 계속할 수밖에 없다. 야당은 한편으론 거국내각 총리에 합의해야 한다. 새누리당이 모든 걸 만들어낸 주체다. 새누리당 심판으로 가야 하지 않을까.
김수민 전 경북 구미시 녹생당 의원
출처 : 녹색당 사진자료분노하고 때로 절망하는 건 당연하지만, 즐겁게 가자. 1987년만큼 상황이 만들어졌다. 향후 20~30년 체제를 규정할 수 있도록, 한번 불이 붙은 김에 여러 문제를 해결하는 쪽으로 갔으면 좋겠다. 촛불은 꺼졌다가도 언제든 재점화될 수 있다. 야당이 일정한 선 밑으로 추락하지 않도록 다그치고 바로잡는 역할을 국민이 해야 한다.

신진욱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
출처 : 프레시안 사진자료대통령 권한이 남용된 세월이 어떻게 가능했는지 원인을 규명해야 한다. 비공식 지배 블록 네트워크가 얼마나 촘촘한지 드러내줘야 한다. 의회도 사법부도 대통령이 휘두르는 권력을 제어할 대항 권력이 되지 못했다. 내각제도 마찬가지다. 그 안에서 담합으로 권력이 남용될 여지가 많다.

안진걸 참여연대 협동사무처장
출처 : 허핑턴포스트 사진자료박근혜씨가 마지막까지 나라와 국민을 엉망으로 만들기로 작정했다. 그만둬야 한다는 걸 본인이 인정했다면 지금 깨끗하게 그만두는 게 맞다. 그게 마지막 도리다.
은수미 전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출처 : 민중의 소리 사진자료시민이 정치의 모든 과정에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 정치는 ‘나는 당신의 목소리입니다’라고 이야기하는 리더십이 필요하다. 정치는 시민의 위치에 서고, 시민은 관망자와 시청자에서 참여자로 위치를 바꿔야 한다.

윤희웅 오피니언라이브 여론분석센터장
출처 : 허핑턴포스트 사진자시간이 지나면 충격에서 헤어나오는 보수층이 결집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대중이 신뢰할 만한 분명한 조처와 대통령 퇴진이 병행되지 않을 경우, 분노가 쉽게 진정되거나 약화된다고 보기 어려울 수 있다.

이택광 경희대 글로벌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출처 : 경남신문 사진자료촛불은 시민의 모임이라 가변적이고 촛불을 끄려는 시도도 많이 있을 거다. 그래도 시민들의 자발적 시위라는 데 훨씬 더 의미가 있다.
임지봉 서강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출처 : 인천일보 사진자료중립적인 특별검사한테는 수사받겠다고 했지만, 대통령의 생각이 또 어떻게 바뀔지 모른다. 진상 규명을 하는 게 대통령을 가장 빨리 퇴진시키는 방법이다. 물러나는 순간에 기소된다는 것을 알고 있으니 어떻게 해서든 안 내려오려 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탄핵으로 대통령 권한 행사가 중단되면 강제 수사까지 해야 한다.

장덕진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
출처 : 한국일보 사진자료지금부터 몇 달이 걸리든 새 시스템 구성 작업이 빨리 시작돼야 한다. 그 과정에서 대선 후보의 역량이 드러날 거다. 중도층에는 정권 교체가 꼭 필요치 않을 수 있다. 이제 새 시스템을 만들어서 합의제 민주주의 요소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간다는 건데 그러면 정권 교체의 큰 의미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정연순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회장
출처 : 뉴시스 사진자료우리 스스로 주권자이자 책임자로서 역할을 해야 한다. 생활 현장 속에서 힘을 보여줘야 한다. 힘들겠지만 옛 체제를 쓸어내리고 앞으로 나아갈 사회의 기초를 만들기 위해 힘을 내야 한다.
박상훈 정치발전소 학교장
출처 : 중앙시사매거진 사진자료대통령을 해고한다는 시민적 평결이 입법부에서 정리되는 과정을 봤다. 결과는 박근혜 대통령이 물러나는 것 하나밖에 없는 듯하다. 그 뒤 대선을 통해 시민 의사를 확인하는 단계도 지금만큼 대혼란일 것이다. 야당이 반드시 집권할 수 있을까? 지금 실력으론 어렵다고 본다.
조국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출처 : 로이슈 사진자료촛불 민심은 박근혜가 대통령이라는 것 자체가 자신에 대한 모욕이라고 느끼는 상태로 갔다. 그래서 내년 4월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양보해서 하야를 약속하는 시간을 정할 수는 있다. 그런데 5개월을 더 주는 건 아니다.
최태욱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정치학과 교수
출처 : 프레시안 사진자료(거국내각) 총리를 지금이라도 만들어냈으면 좋겠다. 헌법재판소의 탄핵 결정까지 4개월, 대선까지 2개월 정도 걸리면 6개월이 황교안 체제다. 1987년 체제 이후 여러 대통령을 바꿔봤는데 문제가 악화된 게 사실이니 체제 전환을 생각할 때가 됐다. 촛불이 국회를 노려 ‘체제를 만들어라’ ‘총리도 만들어라’ 정치권을 압박했으면 좋겠다.
원문 기사 / 황예랑 기자
제작 및 편집 / 신동윤
'세계로 우주로 > 통일한국 제주 국제자유도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로 생기는 유권자 63만명… 다자구도 대선에 결정적 변수 (0) | 2017.01.10 |
---|---|
"'광화문 분신' 정원스님 말씀 잊지 않겠다"…대책위 출범 (0) | 2017.01.10 |
[양낙규기자의 Defence]현실화된 각 국의 레이저무기 (0) | 2017.01.07 |
기득권의 민주주의, 갈아엎어야 한다 (0) | 2017.01.06 |
매달 70만원을 주는 나라…세계 첫 기본소득 실험 (0) | 2017.01.06 |
청년들이 한국 사회에 말하다 (0) | 2017.01.06 |
자회사 세워 청소노동자 직접고용 '경희대 모델' 닻 올렸다 (0) | 2017.01.06 |
국회에서 벌어진 '안구정화' 9장면2017.01.02 (0) | 2017.01.05 |
"이재명이 뜬다", 캠프에 몰려드는 의원들 (0) | 2017.01.05 |
"차기 대통령이 갖춰야 할 덕목은 소통능력 38%·도덕성 27%" (0) | 2017.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