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와 환경오염을 줄이는 지속 가능한 성장이며

녹색기술과 청정에너지로 신 성장동력과 일자리를 창출하는 신 국가발전 패러다임이다.

녹색기술(green technology)이란 온실가스 감축기술, 에너지 이용 효율화 기술,

청정생산기술, 청정에너지 기술, 자원순환 및 친환경 기술(관련 융합기술을 포함한다) 등

사회. 경제 활동의 전 과정에 걸쳐 에너지와 자원을 절약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온실가스 및 오염물질의 배출을 최소화하는 기술을 말한다.(美 technet)

저탄소 녹색성장이란?

'저탄소'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도 낮추고 청정에너지의 사용 및 보급을 확대하며 온실가스 적정수준 이하로 줄이는 것.

'녹색성장' 이란 에너지 자원 절약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기후변화 환경훼손 줄이고 청정에너지와 녹색기술의 연구개발을 통하여 경제와 환경이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성장.

저탄소 녹색성장이 필요한 이유

1) 지구온난화로 인한 환경위기 심화.

- 지구 온난화가 인류생존 위협요인으로 작용.

- 100년 간 세계 평균기온 0.74℃ 상승, 금세기말 최고 6.4℃ 상승 예상

- 가뭄ㆍ홍수ㆍ폭염, 생태계 파괴 등의 형태로 표출.

- 기후변화로 인한 경제손실 매년 세계에서 엄청난 비중을 차지함.

- 현재 한국 지구 온난화 취약하며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음.

2) 에너지·자원 고갈 위기 심화.

- 화석연료 중심의 에너지 소비구조는 자원고갈을 가속화.

- 전 세계 에너지원의 85%를 화석연료에 의존.

- 화석연료 과다사용으로 온실가스 배출량 역시 급격히 증가

- 우리나라는 화석연료에 대한 수입의존도가 높은 편임.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

※저탄소 = 탄소 배출을 줄임 = 일상에서의 물건, 전기 등을 아끼자.

1) 전기 아끼기

- 우리가 사용하는 전기의 대부분은 화력발전소에서 만들어지는데, 전기를 만들 때 많은 양의 탄소가 배출되기 때문

- 사용하지 않는 전기 코드는 뽑아놓기

- 사람이 없는 방, 혹은 어둡지 않을 때는 방의 불끄기 등

2) 물건 아끼기

- 모든 재화는 공장에서 생산된 것이라 직접 석유가 들어가지 않는다고 해도 전기를 이용하여 생산되기 때문.

- 학용품 아끼기

- 물건은 오랫동안 사용하기

- 자신의 것은 되도록이면 잃어버리지 않도록 노력하기

3) 나무를 심기

- 나무는 광합성을 하는데, 이 때 이산화탄소를 사용하여 산소를 만들어 내기 때문에 이산화탄소의 함유량을 줄일 수 있음.

녹색성장 국가전략

<내용 시작>

수립근거
녹색성장국가전략 다운로드

법적근거(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안) * 제9조)

  • 국가의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책목표ㆍ추진전략ㆍ중점추진과제 등을 포함하는 국가전략을 수립ㆍ시행
    *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안) 국회 심의 중
국가전략의 의의
  • 저탄소 녹색성장과 관련한 최상위 국가계획중
  •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국가 정책의 기본방향 제시
  • 연도별 달성목표, 투자계획, 수행주체 등 실행방안 구체화
  • 범부처, 시민단체, 민간전문가 등 국민참여형 국가계획
비전체계
비전체계
비전
  • 2020년까지 세계 7대, 2050년까지 세계 5대 녹색강국 진입
    • 3대전략, 10대 정책방향
      기후변화 적응 및 에너지 자립
      1. 효율적 온실가스 감축
      2. 탈석유?에너지자립 강화
      3. 기후변화 적응역량 강화
      신성장 동력 창출
      4. 녹색기술개발 및 성장동력화
      5. 산업의 녹색화 및 녹색산업 육성
      6. 산업구조의 고도화
      7. 녹색경제 기반 조성
      삶의 질 개선과 국가위상 강화
      8. 녹색국토?교통의 조성
      9. 생활의 녹색혁명
      10. 세계적인>
10대 정책방향별 추진방안
01. 효율적 온실가스 감축
  • 국가 중장기 온실가스 감축목표 설정 및 관리, 탄소정보공개 확대, 국가온실가스 관리시스템구축
    * (’09년) 국가 중장기 온실가스 감축목표 설정 이후 부문별 비용효율적인 감축 전략 추진
  • 탄소 순환 운동(Carbon-3R*) 전개, 산림 등의 탄소 흡수원 확대, 남북 그린협력 강화
    * Carbon-3R : Reduce, Reuse, Recycle
    ** 산림 탄소저장량 : (’09)1,452 → (’20)1,854 → (’50)2,465백만 tCO2
02. 탈석유ㆍ에너지 자립 강화

글로벌 에너지·자원 고갈 위기 심화

  • 에너지효율화 기술혁신 및 부문별 에너지 수요관리
    * 에너지원단위 : (’09)0.317 → (’20)0.233 → (’50)0.101toe/천$
  • 신재생에너지 산업화 촉진 및 청정에너지 보급 확대
    * 신재생에너지 보급률 : (’09)2.7 → (’20)6.08 → (’50)30%
  • 원자력 신뢰성 제고 및 원전비중 확대
    * 원자력 발전설비 비중 : (’09)24 → (’20)32 → (’50)41% 이상 (적정비중 유지)
  • 자원개발 전문기업 육성
    * 석유가스 자주개발률 : (’09)7.4 → (’20)31 → (’50)100%
03. 기후변화 적응역량 강화

효과적 기후변화 적응정책 수립 지원

  • 기후감시·예측능력 향상, 기후변화 취약성 분석 등
    * 기후변화 감시·예측역량 선진화 : (’09)40 → (’20)90 → (’50)100%

기후변화에 따른 위기대응능력 강화

  • 기후변화대응 식량안보 확보
    * 친환경농산물생산비율 : (’09)4.5 → (’20)18 → (’50)20%
  • 4대강 살리기 등 안정적 수자원 확보 관리
    * 수자원확보 : (’09)186 → (’20)214 → (’50)222억㎥
  • 녹색공간 확충 등 지속가능한 산림 경영* 국가산림자원총량 : (’09)862 → (’20)1,087 → (’50)1,431백만㎥

저탄소 그린 한반도 구현

04. 녹색기술개발 및 성장동력화

녹색기술 기술력 제고 및 사업화 촉진

  • 녹색기술 세계시장 점유율 확대
    * 녹색기술 세계시장 점유율 : (’09)2 → (’20)10 → (’50)18%

녹색 R&D 투자의 전략적 확대

  • 기술·시장변화를 반영, 능동적(Moving Target) 전략 수립
    * 녹색기술투자비중 : (’09)16 → (’20)25 → (’50)30%

녹색기술개발 체계 강화

  • 녹색 R&D 조정체계 구축, 녹색R&D 거점(Green Core) 조성

녹색기술이전·사업화 촉진, 녹색기술산업 인프라 구축

  • 녹색 신기술 실용화, 녹색기술 시험·인증시스템 구축
05. 산업의 녹색화 및 녹색산업 육성

자원순환형 경제·산업구조 구축

  • 자원순환·생산성 제고 및 자원순환산업 성장동력화
    * 자원순환율 : (’09)15 → (’20)17.6 → (’50)19.8%

『저탄소 고효율(Doing more with less)』산업구조 구축

  • 주력산업 녹색전환 촉진 및 녹색경영체제 확산
    * 주력산업 녹색제품 수출비중 : (’09)10 → (’20)22 → (’50)35%

녹색중소기업 육성

  • 녹색중소·벤처기업 창업, 컨설팅 지원
    * 대·중소기업 파트너십 참여기업 : (’09)685 → (’20)2,900 → (’50)9,000개

친환경 녹색클러스터 육성 및 그린 산업단지 확대

  • 그린산업단지 : (’09)5 → (’20)20 → (’50)45개
06. 산업구조의 고도화

첨단융합산업 육성

  • 방송통신 융합, IT융합기술, 신소재, 바이오 산업 등 첨단융합으로 신성장동력 영역 확대* IT융합산업수출액 : (’09)755
    → (’20)1,443 → (’50)3,489억불

고부가 서비스산업 육성

  • 식품, 의료, 교육, 관광 산업 등 지원, 고부가 서비스산업 강국으로 도약
    * U-헬스이용자비율 : (’09)0.02 → (’20)40.0 → (’50)80.0%
    * 소프트웨어수출액 : (’09)58 → (’20)100 → (’50)200억$* MICE관광객유치 : (’09)58 → (’20)320 → (’50)450만명
07. 녹색경제 기반 조성

탄소시장 활성화 및 녹색금융 인프라 구축

  • 배출권거래제 도입, 녹색주가지수 개발 등
    * 국내 탄소시장 : (’09)준비 → (’20)2 → (’50)5조원
  • 녹색기술·산업에 대한 정책자금 지원 확대

친환경적 세제 개편

  • 에너지·자동차세제 개편, 환경친화적 자동차(Green Car) 및 친환경 상품에 대한 세제혜택 등

녹색 일자리 창출 및 핵심녹색기술·산업인력

  • 녹색기술자격 인증제, 종합정보DB 등 고용인프라 구축 및 그린 사회적기업 육성
    * Green 사회적 기업 : (’09)40 → (’20)500 → (’50)800개
  • 녹색기술선도 연구센터, 기후변화대응 대학원 등 육성
08. 녹색국토ㆍ교통의 조성

개개인의 定住공간 녹색화

  • 자원순환형 지역개발, 녹색도시 모델개발 및 조성, 녹색건축물 확대 등
    * UN 녹색우수도시 조성 : ('09)-→ ('20)5→ ('50)10개

생활 속에서 체감 가능한 생태공간 확대

  • 보호지역 체계적 관리, 생태하천·녹색림·도시공원 확대
    * 보호지역면적 : (’09)10만 → (’20)15만 → (’50)25만ha

그린카ㆍ철도ㆍ자전거 등 녹색교통수단을 활성화하고, 대중교통 중심의 녹색교통ㆍ물류체계구축

  • 철도 여객수송 분담률 : (’09)18 → (’20)26 → (’50)30%
  • 자전거 교통수단 분담률 : (’09)1.5 → (’20)10 → (’50)20%
09. 생활의 녹색혁명

녹색성장 교육 확대 및 국민인식 제고

  • 녹색성장 교육자료 및 프로그램 개발ㆍ보급* 초ㆍ중ㆍ고교 녹색성장 관련 교과 선택 비율 : (’09)10 → (’20)30 → (’50)80%

녹색생활의 실천, 녹색소비 활성화에 앞장서는 녹색시민 및 녹색가정 육성ㆍ지원

  •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약 10%를 녹색가구로 육성
    * 녹색가구 : (’09)16만 → (’20)150만 → (’50)400만
  • 탄소라벨링 인증 제품 및 녹색구매 협약기업 확대
    * 탄소라벨링 인증품목 : (’09)50 → (’20)1,000 → (’50)4,000개

우리동네 녹색마을 만들기, 생태관광 활성화

  • 녹색마을센터 : (’09)- → (’20)500 → (’50)1,000개
10. 세계적인 녹색성장 모범국가 구현

국제사회 기여 및 모범국가 이미지 정립

  • 온실가스 감축 노력 추진 및 녹색 ODA 비중 확대
    * 녹색 ODA 비중 : (’09)14(e) → (’20)30 → (’50)40%
  • 녹색성장 관련 국제지수 개선
    * 환경성과지수 순위 : (’09)51위 → (’20)20위 → (’50)8위

녹색성장 허브 구축 및 개도국 기후변화대응 지원

  • 동아시아 녹색성장 거점 국제기구 가동
    * APEC 기후센터 육성, 아시아 산림협력기구(AFoCO) 창설 등
  • 기술과 시스템이 집약된 녹색성장 쇼케이스 구축

개도국 기후변화대응 지원

  • 기후재난 대응역량 배양 및 녹색성장 인프라 구축

<내용 끝>

1290475951_2010-11-23 10;32;11.jpg
1290475951_창원시.jpg

'미스테리X파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탄소 녹색성장  (0) 2010.11.23
2010년 자전거 개막식  (0) 2010.11.23
창원시 자전거 추진계획  (0) 2010.11.23
독일 일본 자전거 선진국  (0) 2010.11.23
프랑스 자전거 밸리브 시스템  (0) 2010.11.23
서귀포 자전거 거점도시  (0) 2010.11.23
자전거 수신호  (0) 2010.11.22
자전거 운동 효과  (0) 2010.11.22
`국방부 시료`로 분석…천안함 진실 새국면  (0) 2010.11.20
자전거 연예인  (0) 2010.11.1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