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재난 응급의료체계, 한국은 몇 점?
[메디컬투데이] 2007-03-08 07:32

대구지하철 화재 참사 등 잇단 대형 국가재난 경험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국내 응급의료체계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나라당 신상진 의원(환경노동위)은 8일 국회 헌정기념관 회의실에서 '국가재난 응급의료체계, 한국의 대책은?'이라는 주제로 토론회를 주최한다고 밝혔다.

이날 토론회에 앞서 공개한 토론자료에 따르면 홍은석 울산대병원 응급의학과 과장은 ‘재난의료대응팀의 필요성 및 문제점’이란 주제발표를 통해 대형재난에 대비한 응급의료체계가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홍 교수는 “1993년 서해패리호 화재와 성수대교 붕괴 등 대형재난이 끊이지 않고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형재난 응급의료가 체계화되지 못해 2003년에 발생했던 대구지하철 화재사건에서도 현장응급의료소의 장비와 인력이 부족 문제와 현장의 재난관련 지휘기관 사이의 통신체계가 달라 재난대책 기관사이의 협조체계가 미흡한 문제가 발생했다”고 꼬집었다.

이어 홍 교수는 그 대책의 일환으로 “대형재난별 재난대책 마련과 정부투자를 통한 인프라 구축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임경수 대한응급의학학회 이사장은 국내 재난의료대책이 행정편의주의적이라 실효성이 의심된다고 지적했다.

임 이사장은 “각 병원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재난시의 대책은 전혀 없으며, 법적으로도 재난발생시 인근 응급의료기관의 의료진이 현장을 출동하도록 규정돼 있어 책임소재가 불분명하다”고 비판했다.

이와 더불어 생물테러 감시체계는 있지만 생물테러가 발생할 경우 이에 대비할 구급차나 구급대원의 특수장비와 같은 반응체계와 화학물(독극물)의 전문정보시스템, 재난의료대응팀 등도 부재해 신속한 응급의료가 이루어질 수 없다고 지적했다.

서길준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장은 “재난응급의료는 인위재난이 발생할 경우 화상, 중독 환자를 위한 특수시설과 고립지역 지원을 위한 수송용 헬기 등의 재난응급의료시설 및 장비가 필요해,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재난기금이 설치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번 토론회를 주최한 신상진 의원은 “우리나라는 자연재해나 대형참사로 인해 매년 수많은 인명과 재산피해를 입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재난에 대한 응급의료체계가 확립돼 있지 못한 상황”이라고 지적하며, “학술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각계각층의 참여를 통한 범정부적 대응체계가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메디컬투데이(www.mdtoday.co.kr) 김태형 기자 [kth@mdtoday.co.kr]

<건강이 보이는 대한민국 대표 의료, 건강 신문 ⓒ 메디컬투데이(www.mdtoday.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