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
發電)-송전·배전-판매'의 단계로 이루어지던 기존의
단방향 전력망에
정보기술을 접목하여 전력 공급자와
소비자가
양방향으로
실시간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하는 '지능형 전력망'을 가리킨다. 발전소와 송전·배전 시설과 전력 소비자를
정보통신망으로 연결하고 양방향으로 공유하는 정보를 통하여 전력시스템 전체가 한몸처럼 효율적으로 작동하는 것이 기본 개념이다.
이를 활용하여 전력 공급자는 전력 사용 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공급량을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전력 소비자는 전력 사용 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함으로써 이에 맞게 요금이 비싼 시간대를 피하여 사용 시간과 사용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태양광 발전이나
연료전지,
전기자동차의
전기에너지 등 가정에서 생산되는 전기를 판매할 수도 있게 된다.
또 자동조정 시스템으로 운영되므로 고장 요인을 사전에 감지하여 정전을
최소화하고, 기존 전력시스템과는 달리 다양한 전력 공급자와 소비자가 직접 연결되는 분산형 전원체제로 전환되면서 풍량과 일조량 등에 따라 전력 생산이 불규칙한 한계를 지닌
신재생에너지 활용도가 증대된다. 신재생에너지 활용도가 높아지면
화력발전소를 대체하여
온실가스와
오염물질을 줄일 수 있게 되어 환경문제를 해소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이처럼 많은 장점을 지니고 있어 세계 여러 나라에서 차세대 전력망으로 구축하기 위한 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 한국도 2004년부터 산학연 기관과 전문가들을 통하여 기초기술을 개발해왔으며, 2008년 그린에너지산업 발전전략의 과제로
스마트 그리드를 선정하고 법적·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하여 지능형전력망구축위원회를 신설하였다.
2009년 6월에는 가전제품과
네트워킹을 통하여 전력사용을 최적화하고 소비자에게 실시간
전기요금 정보를 제공하는 전력관리장치 '어드밴스트
스마트 미터(Advanced Smart
Meter)'와 전기자동차 충전
인프라, 분산형 전원(
배터리), 실시간 전기요금제, 전력망의 자기치유 기능, 신재생에너지
제어 기능, 직류(DC)
전원 공급, 전력 품질 선택 등을 필수요소로 하는 '한국형 스마트 그리드 비전'을 발표하였다. 또
제주특별자치도를 스마트 그리드 실증단지로 선정하고, 2010년부터 본격적으로 기술 실증에 착수한 뒤 2011년부터 시범도시를 중심으로 대규모 보급을 시작하며, 2020년까지 소비자측 지능화를, 2030년까지 전체 전력망 지능화를 완료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