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8]정상유방을 찍은 사진이다. 유선 등의 유방 조직이 잘 관찰된다.
[사진9]유방암으로 유두 상단에 종양이 발생했다.
[사진10]유방석회화 사진으로 유방 중심에 점점이 보이는 불투명한 점들이 미세석회화 모습이다.
◆ 초음파검사
초음파검사는 인체에 무해한 음파를 몸에 가하여 인체의 각 조직을 통과하는 속도에 차이가 있는 점을 이용하여 되돌아오는 반향파를 영상으로 만드는 기법이다. 따라서 방사선과는 달리 인체에 무해하고 손쉽게 여러 장기를 즉시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요즘은 초음파가 제 2의 청진기로 불리울 정도로 인체 여러 장기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초음파의 단점은 공기와 뼈를 통과할 수 없어서 공기가 차 있는 장기, 즉 폐와 위, 장과 뼈 등은 볼 수 없으며 이러한 장기의 뒤쪽은 초음파검사의 어려움이 따른다.
초음파검사를 할 때 젤리와 같은 액체물질을 피부에 바르는 이유에 대해 궁금해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초음파 탐촉자와 피부 사이의 공기를 없애기 위함이다. 초음파 검사가 가장 유용하게 사용되는 장기는 유방, 갑상선, 임신 중 태아초음파, 소아의 검사, 간, 담낭, 신장 등의 복부장기, 자궁, 난소, 전립선, 방광 등의 골반장기, 관절, 경부동맥, 복부대동맥, 심장 등이다. 초음파검사를 이용하면 각 장기의 형태적 변화를 볼 수 있고 종양발생 여부와 종양이 물혹인지 고형종괴인지도 구별이 가능하다. 필요할 때는 초음파를 보면서 조직검사를 시행할 수도 있다.
[사진11]간 초음파 - 지방간이 관찰된다. 정상 간은 신장과 비교해 비슷하게 검게 보여야 하는데 지방간이 되면 하얗게 변한다. 차이가 심할수록 지방간의 정도가 심한 것이다.
[사진12]간 초음파 ? 간의 중앙부에 원형의 검은 혹이 보인다. 간암으로 진단되었다.
[사진13]유방 초음파 ? 물혹 모습이다. 물혹은 경계가 선명하고 내부가 까맣게 보이며 혹의 뒷면(화살표)이 하얗게 보인다.
[사진14]유방 초음파 ? 유방암이다. 물혹과 달리 경계가 불규칙하여 선명하지 않고 주변으로 파고 들어가는 모습이 관찰된다. 내부도 깨끗하게 보이지 않는다
'天醫healing > 초음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의 기능적 해부학 (0) | 2017.04.02 |
---|---|
초음파검사로 간우엽 구역 찾기 II (0) | 2017.04.02 |
초음파에서 간좌엽 종양의 위치 파악 (0) | 2017.04.02 |
초음파에서 간우엽 종양의 위치 파악 (0) | 2017.04.02 |
간 해부학 (0) | 2017.04.02 |
2016.8.20 김일봉 초음파 개인교습 (0) | 2017.04.02 |
복부초음파 (0) | 2017.04.02 |
알피니온 부산지사 주최 간, 담낭, 담도 초음파 강의 (1) (0) | 2017.04.02 |
간초음파 쉽게 배우는 정상 간초음파 검사와 놓치기 쉬운 간구역 (0) | 2017.04.02 |
초음파검사에서 보였던 자궁경부암 (0) | 2017.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