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나 인사이트] 중국 가격은 상품 가치뿐 아니라 인간관계도 반영한다
중국은 평등이 아닌 차등의 사회
사람 간 관계는 자신을 기준 삼아
중심서 주변으로 갈수록 멀어져
가족 요구는 무조건 들어주지만
아는 사람과는 주고받기 식 거래
모르는 이에겐 법 따라 처리할 뿐
이런 가격 책정을 불합리하다고 말할 수는 있다. 그러나 가게 주인과 이 동네 사람에겐 지극히 합리적이다. 같은 마을 사람, 아는 사람에겐 당연히 싸게 팔아야 한다. 여기서 가격은 단순히 상품의 가치만을 반영하는 게 아니다. 인간관계까지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의 저명한 인류학자 페이샤오퉁(費孝通)은 중국 사회와 중국 문화의 원형을 설명한 『향토 중국』이란 책에서 중국인의 인간관계를 포함해 중국 사회는 차등적 서열구조에 토대를 두고 있다고 지적했다. 모든 네트워크는 자기를 중심에 두고 차등 원리에 따라 서열을 구분하는 가운데 이뤄지는 것이다.
마치 수면에 돌을 던졌을 때 생긴 동심원(同心圓)의 파문이 점차 밖으로 퍼져나가면서 작아지는 것처럼 인간관계도 중심에서 주변으로 나아갈수록 낮아진다는 설명이다. 이 동심원의 중심은 개인이고, 동심원의 파문이 퍼져나가는 것에 따라 개인의 네트워크가 만들어진다. 이 분석에 따르면 중국인이 그렇게 소중하게 생각하는 ‘관시(關係)’란 것도 결국엔 동심원의 바깥에서 안쪽으로 들어오려는 끊임없는 노력과 다름없다.
친구 다음으로는 ‘아는 사람(熟人)’에서 ‘낯선 사람(陌生人)’의 순서로 동심원의 서열구조가 이루어진다. 『좌전(左傳)』에 ‘하늘에는 10개의 태양이 있고, 사람에게는 열 개의 등급이 있다(天有十日 人有十等)’고 했는데 중국인의 네트워크는 자신을 기준으로 삼아 자기 주위 사람을 등급으로 나누는 데서 출발하는 것이다. 중국인은 모든 사람을 똑같이 동등한 개인으로 대하지 않는다. 순자(荀子)의 말처럼 먼저 차등을 분명히 한 뒤 이를 바탕으로 조직이나 집단을 이루는 ‘명분사군(明分使群)’의 원리가 인간관계의 토대를 이룬다.
이는 차등의 원리다. 사람을 구분하고 차등을 둬 대하는 것이다. 서구 기독교 사회에서는 신 앞에 모두가 동등하고 평등하지만 중국에선 다르다. 모든 사람은 평등하지 않다. 중국인들이 흔히 하는 말에 따르면 ‘나면서부터 서로 연결돼 있지만 평등하지는 않다(生而關聯 非生而平等)’.
이렇게 주변 사람을 구분 지은 뒤에는 각기 다른 원리에 근거해 해당 그룹에 속한 사람을 다르게 대한다. 예를 들어 개인을 중심으로 한 동심원 네트워크의 가장 안쪽에 있는 사람은 가족과 친구다. 이 부류에 속하는 사람에겐 상대가 요구하면 무엇이든 들어줘야 하는 ‘요구 법칙(need rule)’이 적용된다. 가족과 친구 사이에 법이 무시되는 부작용이 생기는 것은 이 때문이다. 이런 인간관계의 원리는 중국인이 자랑하는 인정(人情)이 최고로 빛을 발하는 지점을 만들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론 중국 사회의 고질병과 부패의 원천이 되기도 한다.
이에 비해 동심원의 가장 바깥쪽인 남과의 사이, 즉 모르는 관계에선 ‘공평 법칙(equity rule)’이 움직인다. 이 경우 상대를 비교적 냉담하게 대하면서 철저히 법과 규칙에 따른다. 일방적으로 주지도 않고, 오고 갈 필요도 없는 관계다. 규정과 법이 가장 철저하게 지켜지는 지점이 여기다. 중국 사회의 장단점이 이런 인간관계에 고스란히 들어 있다.
만일 산둥성의 가게 주인이 친구를 외국인과 같이 대했다면 그 사람은 동네에서 인간 이하 취급을 당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외국인이 그 가게 주인에게 친구처럼 대해 달라는 것도 무리한 요구다. 가게 주인을 사기꾼이라고 단정하기 전에 중국인의 인간관계 원리가 중국인의 비즈니스에 얼마나 뿌리 깊이 박혀 있는지를 절감해야 옳다.
중국이 세계의 공장이던 시절엔 중국 문화를 이해하느라 밤을 새울 필요까지는 없었다. 제품을 중국이 아니라 세계 시장에 팔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중국이 이제 세계의 시장으로 변했고 중국인들을 상대로 내수를 개척해야 하는 현 시점에선 중국 문화와 중국인의 생각·행동을 이해하고 이런 것에 접속하는 문화적 현지화 노력이 절실하다.
중국에 진출한 우리 기업 중에서 문화적 현지화에 성공한 기업의 사례가 늘고 있는 건 고무적이다. 오리온 초코파이가 중국 문화의 핵심인 ‘인(仁)’이라는 개념을 이용해 중국인의 마음에 접속하는 데 성공한 게 대표적 예다. 초코파이는 제품 포장에 ‘인’을 한자로 새기고, ‘인이 있는 곳에 친구가 있다(有仁有朋友)’란 광고 문구로 중국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또 신라면은 마오쩌둥(毛澤東)의 ‘장성에 가보지 않으면 대장부가 아니다(不到長城非好漢)’는 말을 빌려 ‘매운 맛을 모르면 대장부가 아니다(吃不了辣味非好漢)’는 광고로 중국인의 감성을 자극했다.
▶차이나 인사이트 더 보기
① 중국에 이웃 나라는 협상이 아닌 관리의 대상이다
② 중국 기업 혁신은 남방 상인의 도가 실용주의가 이끈다
많은 한국인이 같은 유교 문화권인 중국을 잘 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지금의 중국과 중국인에 대해 잘 안다고 말하긴 어렵다. 서로 다른 길을 걸어 왔기 때문이다. 우리는 자유민주주의 체제 속에서 서구 문화를 빠르게 흡수했고, 중국은 전통과 사회주의가 독특하게 결합된 체제에서 살아 왔다. 그만큼 한국과 중국 사이엔 거리가 생겼다. 중국 진출을 꾀하는 우리 기업이 중국 문화가 우리와 다르다는 걸 인식하고 중국인의 마음에 접속하는, 즉 문화적 현지화에 전력을 기울여야 할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욱연=서강대 중국연구소 소장을 겸하며 현대 중국문학과 문화를 연구하고 있다. 현대중국학회 부회장으로 미 하버드대 페어뱅크중국연구소 방문교수를 지냈다.
DA 300
이욱연 서강대 중국문화학과 교수
[출처: 중앙일보] [차이나 인사이트] 중국 가격은 상품 가치뿐 아니라 인간관계도 반영한다
'5대양 6대주& 녹지그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초콜릿-감귤가공품 녹지그룹 손잡고 중국 시장 공략 (0) | 2016.09.30 |
---|---|
아세안 일반 | 중국 녹지그룹, 제주 상품 500억원어치 수입 약속 (0) | 2016.09.30 |
中 녹지그룹, 용산개발사업 인수 추진…코레일 "가능성 없다" (0) | 2016.09.30 |
성남시, 중국 상하이 녹지그룹과 손잡고 중소기업 지원 (0) | 2016.09.30 |
[Weekly BIZ] 혼인신고까지 앱으로… 중국인 삶 서서히 지배하는 위챗의 위력 (0) | 2016.09.15 |
[차이나 인사이트] 중국 기업 혁신은 남방 상인의 도가 실용주의가 이끈다 (0) | 2016.07.01 |
[차이나 인사이트] 중국 상인이 속이는 걸까 아니면 우리가 제 풀에 속나 (0) | 2016.05.27 |
ReDream 의료그룹 미래메디컬센터 김수정 대표 (0) | 2016.05.22 |
제주 '드림타워' 5월 첫삽…시공사 세계1위 중국업체 (0) | 2016.05.22 |
중국 건설사의 '한국 공습'? 제주 드림타워, 세계 1위 중국업체가 시공 (0) | 2016.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