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와 탄저병의 증상 ,,, 차이는 ? [3]

속쿠라테스 (mm***)

주소복사 조회 133 15.06.02 19:47 신고신고

언론보도를 보면

 

메르스는 초기 감기증상이다가

고열, 호흡곤란, 폐렴증상 ,,,또는 구토 메스꺼움...

 

탄저병은

 

1. 피부탄저병 ㅡ 가려움, 피부궤양 ,

2. 장탄저병   ㅡ 복통,설사, 구토

3. 호흡기탄저병 ㅡ 초기 감기증상, 호흡곤란, 폐령, 패혈증 ,,, 사망

탄저병은 피부, 장, 호흡기에 병행하여 나타나기도.

 

히히히

 

이정도면 메르스와 탄저는 사촌지간인가 ?

 

 

 

리우스

호흡기 탄저병은 감기증상과 비슷하다고 나오네요 그런데 왜 메르스가 유독 한국에서만 이렇게 전염성이 강한 걸까요? 시기도 묘하게 미군 탄저병 배달사고와 비슷하고 초기 환자 발생지점도 비슷하고 하여튼 지금 이정부가 하는 짓거리들을 보고 있노라니 화병이 날 지경이네요 20:02 리플달기 신고하기

 

 

 

 

 
평택성모병원은 왜 자진 폐쇄를 선언했나
[기자의 눈] 메르스 병원을 공개하자
강양구 기자2015.06.02 15:41:58
"저희 병원은 지난 5월 29일부터 임시 휴원 중입니다. 평택 시민들이 믿고 찾을 수 있는 의료 기관으로 조속한 시일 내에 다시 개원하겠습니다. 환자들을 위해 언제나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지난 29일부터 경기도 평택 소재 평택성모병원은 임시 휴원을 선언했다. 그럴 수밖에 없다. 이 병원에서만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확진 환자 스물다섯 명 가운데 스물 한 명이 나왔기 때문이다. 여섯 번째 환자와 스물다섯 번째 환자는 안타깝게 목숨도 잃었다. 현재 이 병원은 자진 휴원 형식으로 사실상 폐쇄되었고, 환자 직원 등은 곳곳으로 격리됐다.

익명 뒤에 숨은 평택성모병원 

그 동안 언론은 평택성모병원을 "ⓑ 병원" "P 병원" "평택 소재 병원" 등의 익명으로 표현해 왔다. 대다수 언론은 이 병원이 평택성모병원인줄 알고 있었지만, 보건복지부 등 정부가 환자 발생 병원을 비공개하는 걸 존중해 왔다. 하지만 사망자에 이어서 3차 감염자가 나온 지금 시점에도 이런 병원 비공개 원칙을 견지하는 것이 맞는지 의문이다. 

복지부가 병원 비공개 원칙을 유지하는 이유가 납득이 안 되는 것은 아니다. 병원 이름 공개와 함께 해당 병원은 시민에게 기피 병원으로 낙인찍힐 것이고, 이는 병원의 막대한 피해로 이어질 것이다. 공공의 이익을 위해서 전염병(감염병) 환자 진료에 나섰는데, 그 대가가 기피 병원이라는 낙인이라면 이는 옳지 않다.

더구나 이 과정에서 해당 병원의 환자, 또 병원이 위치한 지역 사회의 혼란까지 염두에 두면 복지부의 조치는 십분 이해가 된다. <프레시안>을 비롯한 대다수 언론이 애초 복지부의 병원 비공개 원칙에 협조했던 것도 바로 이런 대목에 공감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금은 상황이 달라졌다.

▲ 평택성모병원은 5월 29일부터 임시 휴원 중이다. ⓒptsm.co.kr


상황이 달라졌다
 

애초 많아봤자 서너 명의 감염자에서 그칠 것이라던 초기 예상은 보기 좋게 빗나갔다. 초기 대응에 예상치 못한 구멍이 한두 개가 아니었다는 사실이 여기저기서 드러나고 있다. 심지어 1일 사망한 환자의 경우에는 죽기 직전에야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는 어처구니없는 일까지 있었다. 이 환자 역시 평택성모병원에서 입원 치료를 받는 중에 최초 환자와 접촉했었다. 

더구나 장관까지 나서서 "개미" 운운하며 막겠다던 3차 감염도 막지 못했다. 정부는 현재까지는 병원 내에서 접촉한 환자라며 '지역 사회' 전염은 아니라고 자위하는 분위기다. 하지만 지금과 같은 상황이라면 병원 외에서 불특정 다수가 감염되는 지역 사회 전염이 나타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그렇다면, 이런 상황에서 병원 비공개가 과연 공익을 위해서 맞는가? 차라리 그간 확진 환자들이 진료를 받은 병원을 모조리 공개하고서, 지역 사회 감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시민의 협조를 구하는 게 더욱더 합리적인 처사가 아닐까? 정부가 시민을 '보호'하지 못한다면, 시민이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야말로 정부의 역할이다. 

당장 처음부터 환자가 발생한 병원이 평택성모병원이라는 사실을 시민들에게 알리고, 해당 병원에서 진료를 받았던 적이 있었던 환자와 그 가족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더라면 훨씬 더 일사불란한 초기 대응이 이뤄지지 않았을까? 최소한 죽기 직전에 메르스 환자로 판정되는 어처구니없는 환자가 나타나는 일만은 막을 수 있었을 것이다. 

지역 사회 감염만은 막자 

물론 앞에서 언급했듯이 병원 실명 공개로 인한 부작용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정부가 병원 공개를 미루는 상황에서 평택성모병원을 비롯한 경기도 및 서울 소재 병원 이름 여럿이 사회 연결망 서비스(SNS)를 통해서 급속히 퍼지는 상황이다. 이 가운데는 실제로 메르스 환자를 진료한 병원도 있지만, 전혀 엉뚱한 병원도 있다.

그렇다면, 차라리 정부가 병원 이름을 정확히 공개하는 것이야말로 이런 혼란을 없애는 방법이다. 더 나아가 이런 병원 공개를 통해서 해당 병원이 입을 피해를 사태 해결과 동시에 정부가 어떤 식으로든지 간에 보상을 해주는 방법도 모색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지금 당장은 그렇게 계산기를 두드릴 때가 아니라 우선 메르스 확산부터 막아야 한다. 

"3차 감염만은 막겠다"던 1차 방어선은 이미 뚫렸다. 이제 지역 사회 감염을 막는 2차 방어선을 사생결단의 각오로 지켜야 한다. 

2차 방어선이 뚫리는 일만은 막자. 그리고 그 방어는 병원 이름을 포함한 메르스 관련 모든 정보를 공개함으로써, 시민 스스로가 자신을 보호하는 것부터 시작하자. 이것이야말로 박근혜 정부가 현 시점에서 메르스 사태를 수습하려는 책임 있는 자세를 보이는 출발점이다. 

 

평택성모병원은 2일 <프레시안>에 이렇게 해명해 왔다.

평택성모병원 관계자는 전화 통화에서 "우리 병원을 찾은 환자가 메르스에 걸린 탓에 이런 상황에 처한 것이 유감스럽다"며 "방역 당국에 최선을 다해 협조했는데도 환자 발생을 막지 못해서 아쉽다"고 지적했다. 그는 "방역 당국이 초기 대응을 좀 더 잘했더라면 상황이 나았을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관계자는 "방역 당국에 두 차례 정도 병원 공개 여부를 미리 질의했고 부정적인 답변을 받았다"며 "29일부터 임시 휴원을 한 것도 추가 감염을 막기 위해서 병원에서 자진해서 한 조치지 방역 당국은 아무런 권고를 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예상치 못한 이번 메르스 사태를 극복하고자 병원이 최선을 다한 것을 평택 시민들이 알아줬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 메르스 사망자 2명과 3차 감염 사실이 발표된 2일 박근혜 대통령은 전남 여수시 전남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농식품 벤처 창업자 손모아 씨로부터 농식품 벤처 창업에 대해 설명을 들었다. ⓒ연합뉴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