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치료사(Motopää) | 의료  (최종수정일시:2013-12-30 18:55:56)

직업의 생성배경

우리 사회는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었고 취학 아동 비율은 줄었으며 평균 수명은 증가했다. 이와 같은 사회 인구구조의 변화는 개인과 사회에 의료비용 증가 및 각종 질병 문제를 가져다주고 있으며 이로 인해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정부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더 악화시키지 않기 위해 건강과 운동, 의료 서비스 제공에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건강 서비스의 중심에는 운동이 있고 그 운동은 바로 운동치료사들이 견인해야 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운동치료사(Motopää) 이미지

수행직무내용

의료기관과 보건소, 스포츠구단, 스포츠재활센터, 직장체육시설 및 체력단련장에서 운동 처방 및 상담, 운동교육 등을 실시한다.

· 대상자별, 생애주기별 운동처방 지침을 개발하고 보급한다.
· 지역사회 생활체육활동을 증진하기 위한 프로그램 환경을 조성하고 건강운동 기반 조성을 위한 정책을 개발한다.
· 고령화 사회에 대비해 노인건강운동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건강증진 도우미의 역할을 수행한다.

해외 교육/훈련/자격 및 종사현황

미국이나 유럽, 일본 등 외국의 경우 체육학이나 운동학을 전공한 사람들이 건강증진 및 임상운동, 스포츠 재활영역의 운동처방 및 운동지도, 상담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운동치료사와 유사한 제도로 일본에서는 건강운동지도사 제도가 운영되고 있다. 건강운동지도사는 호흡·순환기계의 생리기능 유지·향상을 위해 동맥경화, 심장병, 고혈압 등 생활습관병을 예방하고 건강수준을 유지·증진하는 관점에서 개인의 신체상황에 적합한 운동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미국의 경우 스포츠의학회, 미국운동지도자협회 등이 이와 유사한 운동전문가를 배출하고 있다.

국내현황

우리나라의 운동사 유자격자 수는 2009년 10월 현재 총 1,914명으로 점점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보건의료 및 건강증진법의 변화와 함께 건강보험공단의 정책과 사회복지제도의 개선으로 운동사에 대한 신규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현재 운동사는 대학병원 등 전국 100여개 의료기관에 취업해 활동 중이다. 이 밖에 500여명이 스포츠재활센터에서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