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일에 만난 사람]‘투혼’ 두 글자 써줬더니… 태극전사들이 펄펄

양종구기자

입력 2015-03-21 03:00:00 수정 2015-03-21 03:00:00

‘기부왕 서예가’ 열암 송정희 선생의 축구 사랑

서예가 열암 송정희 선생은 고 정주영 현대그룹 회장과의 인연을 시작으로 한국축구의 영원한 후원자가 됐다. 그가 2006년 독일 월드컵을 앞두고 쓴 ‘투혼’ 두 글자는 대표팀 유니폼에 새겨져 태극전사들에게 용기를 불어넣었다. 송 선생이 17일 서울 종로구 당주동 개인 사무소에서 다시 투혼을 써 보이고 있다. 최혁중 기자 sajinman@donga.com
3
2006년 독일 월드컵을 앞두고 있을 때다. 당시 조중연 대한축구협회 부회장이 찾아와 ‘투혼(鬪魂)’이란 두 글자를 써달라고 했다. 한국 선수들이 강력한 정신력을 발휘하도록 하기 위해 유니폼에 새기겠다고 했다. 흔쾌히 써줬다. 당시 한 자당 기백만 원을 받는 유명 서예가였지만 한국 축구를 위해 기부했다. 이때 쓴 투혼은 독일 월드컵 당시 박지성의 슈팅 모습과 함께 동아미디어센터 건물에 걸개그림으로 걸려 축구팬들의 큰 관심을 끌기도 했다.

열암(洌菴) 송정희 (사)한민족문화협회 이사장(70)은 한국 축구의 영원한 후원자다. 그때 써준 투혼은 대표팀 유니폼에 새겨져 그야말로 ‘투혼’을 불어넣고 있다. 1월 끝난 호주 아시안컵 축구대회에서 태극전사들은 끝까지 포기하지 않는 자세로 국민들을 열광시켰다. 아쉽게 준우승했지만 국민들은 태극전사들의 투혼에 아낌없는 박수를 보냈다.

투혼은 물러서지 않고 끝까지 싸우는 용기를 의미한다. 한국 축구의 강인함과 고유의 정신을 가장 잘 표현한 단어다. 독일 월드컵 때 유니폼 상의 오른쪽 뒷면 하단에 새겨졌고 2010년 남아공 월드컵 때는 협회 문양이 새겨진 부분의 바로 왼쪽 선수들의 심장이 닿는 안감에 자리했다. 2014 브라질 월드컵 대표팀 유니폼에는 상의 목덜미 안쪽에 새겼다.

“이순신 장군께서 임진왜란 때 한 ‘사즉생(死則生) 생즉사(生則死)’은 정말 공감이 가는 말이다. 전쟁에서 너도나도 살려고 한다는 것 자체가 말이 안 된다. 죽을 각오를 해야 이길 수 있다. 축구가 뭔가. 총성 없는 전쟁 아닌가. 총을 들지 않았을 뿐 국가 대 국가, 팀 대 팀이 전쟁을 벌이는 것과 같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게 정신력이다. 대한민국은 투혼의 역사다.”

송 이사장은 태극마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국가를 대표해 뛴다는 게 얼마나 큰 영광인가. 대표팀 유니폼을 입었다면 죽을 각오로 뛰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2002년 한일 월드컵을 잊지 못한다. 대한민국 태극전사들의 지칠 줄 모르는 투혼이 한국 4강 신화의 원동력이라고 생각한다. 그때 보여준 선수들의 열정이 4000만 국민들을 열광시켰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