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로 암치료 실험

KBS방영 중국전기다이어트&전기치료

뇌를 재부팅한다? 식물인간 깨우는 전기경련요법



심한 뇌손상으로 6년동안 준식물상태에 있던 38세의 남자가 뇌심부전기자극술(deep-brain stimulation)로 일부 뇌기능을 회복해 식물인간 치료에 새로운 전기를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뇌심부 전기자극술은 파킨슨병 환자들에게 실험적으로 사용된 일은 있으나 식물인간에게 사용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영화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를 기억하는 사람들은, 환자의 입에 재갈을 물린 채 머리에 전극을 들이대고 전류를 흘리는 이것을 치료라기보다는 고문이라 여길지 모른다.

우울증 등 美선 연 10만명 시술

하지만 영국의 과학전문지 네이처 최신호는 식물인간과 다름없는 상태로 6년간 병상에 누워 지내던 환자가 전기자극을 받은 후 깨어났다는 연구 결과를 실었다. 강도의 공격을 받아 두개골이 파열되는 큰 부상을 입고 눈과 손가락만 가끔 움직일 뿐 24시간 누워지내던 남성 환자는 현재 TV를 보거나 가족들과 카드놀이까지 하게 됐다는 것.

이 환자를 치료한 미국 클리블랜드 클리닉 신경회복센터 알리 레자이 박사는 논문을 통해 “환자는 뇌심부 전기자극술을 받고 뇌 기능 일부를 회복했다”고 소개했다.

워싱턴 포스트지도 최근 2개 면을 할애해 ‘전기 충격’으로 더 잘 알려져 있는 ‘전기경련요법’을 소개했다.

▲ ▲ 잭 니콜슨이 주연한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의 한 장면. 정신병원에 실려간 주인공은 입에 재갈이 물린 채 머리에 전극을 들이대고 전류를 흘리는 '전기 치료'를 받는다. /조선일보 DB

1995년 1만 7000명의 미국 정신과의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매년 10만 명의 미국인들이 자발적으로 ‘전기 고문’(?) 시술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경련요법 시술 건수를 보건 당국에 의무적으로 보고하게 돼 있는 캘리포니아주에서는 1994년 1만3000건이었던 것이 2004년에는 2만 건으로 늘었다.

“중증 환자엔 약보다 효과적”

전기경련요법은 주로 약이 듣지 않는 극심한 우울증 치료에 쓰인다. 아직은 어떻게 전기 자극이 우울증을 없애는지 아무도 속 시원하게 설명하지 못 한다. 다만, 뇌에 전기 자극을 줘 인위적으로 환자에게 발작을 일으키면 마치 뇌가 ‘재부팅’ 된 것처럼 우울증이 사라진다고 의사들은 믿고 있다.

전기경련요법의 실제 치료과정은 책이나 영화에서 본 것과 같은 충격적인 장면과는 거리가 멀다. 침대에 누워 마취주사를 맞은 환자가 잠에 빠지면 전신으로 근육이완제가 투여된다. 근육이완제를 쓰는 것은 전기 자극을 받은 후 근육이 뻣뻣하게 굳으면서 일어나는 심한 발작과 이로 인한 부상을 막기 위해서다.

다만, 한쪽 발은 지혈대로 묶어 근육이완제가 들어가지 못하게 해 놓고 발작을 감지하는 데 이용한다. 환자의 기억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산소를 공급한 상태에서 전극을 관자놀이에 갖다 대고 미리 계산된 적당량의 전류를 흘려준다.

그러면 전기 자극을 받은 환자의 얼굴이 다소 찌푸려지고, 지혈대를 묶어 둔 발이 다소 떨리지만 격렬한 움직임은 없다. 소요 시간 20분. 전기경련요법 한 코스는 8∼12회로 이뤄지며 매주 두세 번 시술을 받아야 한다.

문제는 상당수의 환자들을 괴롭히는 ‘기억 상실’이라는 부작용이다. 어떤 환자들은 깨어났을 때 다소 혼란스러워한다. 또 어떤 환자는 과거의 특정한 일을 기억할 수 없다고 불평한다.

1968년부터 전기경련요법을 실시해 왔으며 충격치료협회 이사인 프랑크 모스카릴로씨는 “이런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수많은 연구들이 있었지만 환자들이 겪는 기억 손상이란 너무 다양하다. 그래서 각 환자가 어떤 형태의 기억력 문제를 겪을지 예상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콜럼비아대 정신방사선과 헤럴드 사케임 교수는 “전기경련요법은 단기적으로는 가장 효과적인 우울증 치료법”이라며 “환자가 일단 극심한 우울증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부터 건강보험 적용

전기 치료가 남의 나라 얘기만은 아니다. 서울대병원 정신과 권준수 교수는 “1990년대 초까지는 국내 주요 정신과병원에서도 매주 수십 건씩 시행됐으나 최근 좋은 약이 많이 개발되면서 주춤하다”며 “약물의 부작용을 견디지 못하는 노인이나 약물치료가 아예 듣지 않는 심각한 우울증, 정신분열증 환자에게는 약보다 오히려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라고 말했다.

뇌심부자극술은 연간 200건 가까이 시행되고 있으며 지난해부터 건강보험 적용도 받게 됐다. 파킨슨 환자의 손 떨림이나 이상운동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Neuron Activator
신비한 전기치료기
2007/10/26 오후 6:43 | ◆Neuron Activator

이 글을 쓴는데 상당히 조심스럽다. 내가 전문적으로 의학을 공부한것도 아니고 또 그 효과를
설명하는데 상식적으로 믿기 힘든 부분들이 있기 때문이다. 다만 내가 전기공학을 공부했고
다음과 같은 치료기가 있어서 신비함을 서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놀라지 말자! 사람 잡는다고 하겠지만 신비의 방법은 일상에서 쓰는 교류전원 220V 이다.
220V 전원을 한가닦은 환자,다른 한가닦은 치료사가 접촉하면 -이때 민감한 사람을 깜짝 놀랄
수 있다- 전류가 살살 통하게 되는데 치료사의 손의 접촉면적이 전류의 양을 조절 하면서 그
느끼는 감도를 조절하게 된다.

환자의 과한 운동후 근육통이 있을때 물질러 주면 3~4일 정도 회복시간이 필요 하다면전기치
료기로 한번만 문지르면 하루면 없어지게 되고 (직접 내가 경험함) -통증부분에서는 전류가 잘
안통함을 치료사 및 환자는 느낌- 또 손가락의 끝을 뾰족히 세워 환자의 삔부분에 대면 바늘침
과 똑같이 찌르는 느낌을 받게 되는데 한방 침보다 효과가 뛰어나다. 못 걷던 중풍환자를 하루
에 30분씩 약1~2개월 정도 치료를 받으면 곧 걷거나 완치도 가능 하다고 한다. 머리 아픈데,
얼굴 피부의 주름살 펴기등 수없이 많은 종류를 개선 또는 치료 할 수 있는데 이 모든것의 기본
원리는 맊힌 혈맥을 뚤어주는 기능을 하는것 같다.









380V 전압에도 무덤덤러시아 전기인간 나우뉴스 2007-12-04 15:08:04 업데이트

최근 러시아에서 380V 고압에도 꿈쩍않는 전기인간이 나타나 화제가 되고 있다. 77세의 알렉산더
이그나토프(Alexander
Ignatov)할아버지는 16세 때부터 전기에 감전되도 아무 이상이 없을 뿐 아니라
스스로가 전도체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
할아버지는 220V 아니라 380V 고전압도 무섭
않다. 두 개의 쇠못을 220V 콘센트에 하나씩 끼우고 손가락으로 못을 잡으면 전구에 불이 들어
온다
.고 말했다. 특히 할아버지는 자신의 특별한 능력으로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했다고 주장 했다.

“‘전도체 능력을 이용해 전기가 흐르는 전선을 손으로 잡고 물에 넣으면 열이 발생해 물이 데워
진다
. 설명한 이렇게 만들어진 물에는 치유력 있다. 암환자도 물을 오래 마시고는 호전
되었다
. 설명했다.할아버지를 진찰한 의사는 전체,특히 손이 전도체 역할을 하고 있다
고전압을 두려워하지 않는 이와같은 체질은 100만분의 1의 확률을 가지고 태어나 한다. 신기해
했다. 이어 그가 주장하는 새로운 치료법에 대해서는 정밀한 검사가 필요할 이라고 덧붙였다.

이것이 전기치료기의 한 예에 포함되며, 설명하고 있는 물은 내 블로그 Folder "물의 구조" 에서와
같이결합구조가 변하면서 일반물과 다른 성질을 가지고 있다는 론리이다.


자료는 계속해서 진행중...!
http://kr.blog.yahoo.com/gskims2001

http://www.sejinmt.com/


Microstim Inc.,USA

본 기기는 미국의 Dr. Joel Rossen에 의해 개발된 동양의학과
서양의학에 기초한 최고의 의공학과 최신의 컴퓨터 시스템의
만남을 이룩한 진단 및 치료기의 결정체로써 미국 F.D.A에서
그 치료효과와 안전도를 공인한 최첨단 통증치료기입니다.

본 기기는 노벨 의학상 수상에 빛나는 (세포통신이론)
에 기초를 두어 신경.근육. 골조직의 재생.회복을 이룰 수 있으며,
이는 세포조직의 염증성 질환과 통증질환을 치유할 수 있는
기기입니다.

또한 Microstim 400-Ⅲ는 인간이 갖고 있는 인체내의 미약한
전류의 단위인 ㎂ (1㎂=1/1,000 ㎃)를 이용하여 자연 치유력을
촉진하는 생체내의 미약 전류를 공급하여 질환부위의 세포조직을
빠른 시간내에 복원시켜 주며 염증 및 통증을 짧은 시간내에
치유시켜 주는 새로운 메카니즘의 미세전류통증 치료기입니다.

본 치료기는 종래의 치료 목적만을 위한 System에서 나아가
기초적 진단까지 파악할 수 있는 진단과 치료의 새로운
접근방식입니다.

Microstim 400-Ⅲ은 세계 각국에서 통증재활센터
(P.R.N:Pain Rehabilitation Network), 재활의학과, 한방
통증치료과 등에서 치료의 기본 필수장비로 널리 활용
되고 있습니다.

중국전기다이어트&전기치료

[Why] 뇌를 재부팅한다? 식물인간 깨우는 전기경련 요법
이지혜 기자 wise@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심한 뇌손상으로 6년동안 준식물상태에 있던 38세의 남자가 뇌심부전기자극술(deep-brain stimulation)로 일부 뇌기능을 회복해 식물인간 치료에 새로운 전기를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뇌심부 전기자극술은 파킨슨병 환자들에게 실험적으로 사용된 일은 있으나 식물인간에게 사용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영화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를 기억하는 사람들은, 환자의 입에 재갈을 물린 채 머리에 전극을 들이대고 전류를 흘리는 이것을 치료라기보다는 고문이라 여길지 모른다.

우울증 등 美선 연 10만명 시술

하지만 영국의 과학전문지 네이처 최신호는 식물인간과 다름없는 상태로 6년간 병상에 누워 지내던 환자가 전기자극을 받은 후 깨어났다는 연구 결과를 실었다. 강도의 공격을 받아 두개골이 파열되는 큰 부상을 입고 눈과 손가락만 가끔 움직일 뿐 24시간 누워지내던 남성 환자는 현재 TV를 보거나 가족들과 카드놀이까지 하게 됐다는 것.

이 환자를 치료한 미국 클리블랜드 클리닉 신경회복센터 알리 레자이 박사는 논문을 통해 “환자는 뇌심부 전기자극술을 받고 뇌 기능 일부를 회복했다”고 소개했다.

워싱턴 포스트지도 최근 2개 면을 할애해 ‘전기 충격’으로 더 잘 알려져 있는 ‘전기경련요법’을 소개했다.

▲ ▲ 잭 니콜슨이 주연한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의 한 장면. 정신병원에 실려간 주인공은 입에 재갈이 물린 채 머리에 전극을 들이대고 전류를 흘리는 '전기 치료'를 받는다. /조선일보 DB

1995년 1만 7000명의 미국 정신과의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매년 10만 명의 미국인들이 자발적으로 ‘전기 고문’(?) 시술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경련요법 시술 건수를 보건 당국에 의무적으로 보고하게 돼 있는 캘리포니아주에서는 1994년 1만3000건이었던 것이 2004년에는 2만 건으로 늘었다.

“중증 환자엔 약보다 효과적”

전기경련요법은 주로 약이 듣지 않는 극심한 우울증 치료에 쓰인다. 아직은 어떻게 전기 자극이 우울증을 없애는지 아무도 속 시원하게 설명하지 못 한다. 다만, 뇌에 전기 자극을 줘 인위적으로 환자에게 발작을 일으키면 마치 뇌가 ‘재부팅’ 된 것처럼 우울증이 사라진다고 의사들은 믿고 있다.

전기경련요법의 실제 치료과정은 책이나 영화에서 본 것과 같은 충격적인 장면과는 거리가 멀다. 침대에 누워 마취주사를 맞은 환자가 잠에 빠지면 전신으로 근육이완제가 투여된다. 근육이완제를 쓰는 것은 전기 자극을 받은 후 근육이 뻣뻣하게 굳으면서 일어나는 심한 발작과 이로 인한 부상을 막기 위해서다.

다만, 한쪽 발은 지혈대로 묶어 근육이완제가 들어가지 못하게 해 놓고 발작을 감지하는 데 이용한다. 환자의 기억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산소를 공급한 상태에서 전극을 관자놀이에 갖다 대고 미리 계산된 적당량의 전류를 흘려준다.

그러면 전기 자극을 받은 환자의 얼굴이 다소 찌푸려지고, 지혈대를 묶어 둔 발이 다소 떨리지만 격렬한 움직임은 없다. 소요 시간 20분. 전기경련요법 한 코스는 8∼12회로 이뤄지며 매주 두세 번 시술을 받아야 한다.

문제는 상당수의 환자들을 괴롭히는 ‘기억 상실’이라는 부작용이다. 어떤 환자들은 깨어났을 때 다소 혼란스러워한다. 또 어떤 환자는 과거의 특정한 일을 기억할 수 없다고 불평한다.

1968년부터 전기경련요법을 실시해 왔으며 충격치료협회 이사인 프랑크 모스카릴로씨는 “이런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수많은 연구들이 있었지만 환자들이 겪는 기억 손상이란 너무 다양하다. 그래서 각 환자가 어떤 형태의 기억력 문제를 겪을지 예상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콜럼비아대 정신방사선과 헤럴드 사케임 교수는 “전기경련요법은 단기적으로는 가장 효과적인 우울증 치료법”이라며 “환자가 일단 극심한 우울증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부터 건강보험 적용

전기 치료가 남의 나라 얘기만은 아니다. 서울대병원 정신과 권준수 교수는 “1990년대 초까지는 국내 주요 정신과병원에서도 매주 수십 건씩 시행됐으나 최근 좋은 약이 많이 개발되면서 주춤하다”며 “약물의 부작용을 견디지 못하는 노인이나 약물치료가 아예 듣지 않는 심각한 우울증, 정신분열증 환자에게는 약보다 오히려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라고 말했다.

뇌심부자극술은 연간 200건 가까이 시행되고 있으며 지난해부터 건강보험 적용도 받게 됐다. 파킨슨 환자의 손 떨림이나 이상운동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1. 전기치료의 역사?

① 전기란 용어를 처음 사용한 사람?

길 버 트

② 전기를 처음 발견한 사람?

탈 레 스

③ 변압기의 원리인 전자유도법칙을 발견한 사람?

페 러 데 이

④ 어! 전기가 근육을 수축시키네!

갈 바 니

⑤ 고주파전류의 이론적 배경을 정립한 사람은 톰슨이다.

그럼 고주파를 처음 발생 시킨 사람은?

다 르 손 발

⑥ 간섭파 치료를 처음 소개한 사람은?

네 맥

2. 물질의 성질을 가지고 있는 기본 구조는 분자이며, 이 분자를 구성하는 물질은 원자이다. 원자의 구성은?

․원자핵 - 양성자

- 중성자

․전 자 - 전자궤도를 돔

3. 전류, 전압 및 저항과의 관계를 나타낸 법칙은?

․옴의 법칙(Ohm`s law) I = ---

⇒ 전류(I)는 전압(V)에 비례하고, 저항(R)에 반비례 함

4. 유전체란?

- 절연체, 또는 부도체라고도 함.

- 유전체는 전자가 약간만 움직일 수 있어 전하가 흐르지 못하게 하거나 금속에 비하면 거의 무시해버릴 정도로 매우 적은 양의 전류를 흘러보 냄

- 절연체 물질: 호박, 유리, 파라핀, 딱딱한 고무, 건조한 공기, 증류수 등

5. 쿨롱의 법칙?

- 두 전하 사이의 전기력은 두 전하에 비례하고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 함

6. 전류전도의 형태를 3가지로 나누고 각각의 특성을 기술하라.

1) 전도전류 - 도체를 따라 흐르는 전류

고체금속의 도체 내에서는 전자가 분리되어 도체 내에서 자유롭게 움직 일 수 있음

2) 이온화전류 - 이온에 의해 흐르는 전류

3) 변위전류 - 반도체나 절연체내에서 흐르는 전류

축전기의 판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류와 모든 반도체 부품의 동작이 변위 전류에 의해 이루어짐

7. 도체의 저항에 영향을 주는 세가지 요인은?

1) 도체의 구성물질

2) 도체의 단면적

3) 도체의 길이

8. 전류의 3대 효과를 설명하라.

1) 열효과 - 전자가 마찰력을 받아서 에너지를 소모하게 되고 이 에너지가 열로 전화 되어 온도 상승 일으킴

즉, 전류가 도체를 흐를 때 저항을 받아 전기에너지가 열에너지로 전환

※ 주울법칙 H= I RT(cal)

→ 전류의 제곱에 비례하고, 저항에 비례하며, 통전시간에 비례

2) 화학적 효과 - 직류에서만 나타남

① 일차적 효과 : 전해질 용액에서 흐르게 하면 일차반응으로 이온화 재분포 현상이 나타남

② 이차적 효과 :전해질 용액에 전류를 흐르게 하면 일차반응에 따라 음, 양 이온이 각각 양, 음극에 도달하여 새로운 화학물질이 생성됨

3) 전자기 효과 - 철 또는 강철 등의 크고 작은 입자를 흡입하는 성질을 자기라 하고 이러한 성질을 가진 물질을 자석이라고 함

9. 정전용량과 인덕턴스에 대해 배운 대로 설명하라.

1) 정전용량 - 콘덴서가 전하를 축적하는 크기 (건전지)

2)인덕턴스-코일에 전류가 흐를 때 전류 흐름의 어떤 변화에 반항하는 회로의 요소 (전기담요)

10. 그리스문자에 대해 공부하시오.

대문자

소문자

이 름

대문자

소문자

이 름

A

α

alpha

N

ν

nu

B

β

beta

Γ

γ

gamma

Δ

δ

delta

Κ

κ

kappa

Λ

λ

lamda

Μ

μ

mu

Ρ

ρ

rho

Ε

ε

epsilon

Π

π

pi

Σ

σ

sigma

11. 주파수와 파장의 관계를 설명하고, 주파수의 정의는 무엇인가?

1) 주파수의 정의 - 교류전류의 위상이 양과 음으로 완전히 한 쌍을 반복한 사이클이 1초 동안에 나타나는 수

- 단위는 Hz, cps, pps 이다.

2) 파장- 파상에서 동일 위상에 있는 서로 인접한 두 점간의 거리 즉 완전한 파형에서 능과 능사이를 말하며 단위는 m이다.

3) 주파수와 파장의 관계 - 주파수가 클수록 파장은 짧다.

12. 전류의 정의?

- 전하의 흐름이 변하지 않고 계속 한 방향으로 흐르며 전류의 크기도 항상 일정한 전 류

※ 직류적류는 1초 또는 그이상 한 방향으로 일정하게 흐르는데, 만약 1초 이하 특히 ms 이하일 때에는 직류전류라 하지 않고 대신 맥동전류라 함

13. 맥동간 간격?

1) 맥동간간격 - 맥동과 맥동 사이의 간격

단상파와 이상파에서의 맥동간간격은 한 맥동이 끝난 기간부터 다음 맥동이 시작되기까지의 간격임

2)돌반간간격 -다상파(변조 정현파)의 연속되는 맥동 사이에서는 맥동간 간격이 없고 다상 맥동이 시작되기까지의 간격을 말함

3)맥놀이간격-간섭전류에서는 효과 맥동인 한 맥놀이의 중심부에서 다음 맥놀이의 중심부까지가 맥동 간간격에 해당되며 이를 맥놀이 간격이라 함

14. 맥동전류와 단속전류의 차이점?

1) 단속 직류 - 순간적으로 정점강도에 일정기간 유지하다가 순간적으로 강도가 떨어짐

2) 맥동 전류 - 한 방향으로 흐르거나 또는 방향이 전환되는 전류가 주기적으로 단절되 는 전류로 개개의 맥동기간이 몇 ms 또는 몇 μ 정도로 매우 짧게 단 속되는 전류

15. 위상기간과 맥동기간의 차이점?

1) 위상기간 - 맥동전류와 교류전류에서 전류가 0선을 떠나서 0선으로 되돌아오기까지 의 기간

2) 맥동기간 - 한 개의 맥동이 시작하여 끝날 때까지의 기간

16. 불균형 비대칭성 이상파의 대표적인 전류는?

- 불균형 비대칭 이상파는 두 위상의 형태와 위상의 전하량이 서로 다른 파형

- 감응전류 : 0.1~1ms 의 짧은 맥동기간과 50~100Hz의 주파수를 가진 교류전류

17. 중주파수를 이용한 전기치료 전류 두가지?

- IFC(간섭전류), RC(러시안 전류)

18. 단속 시간비에 대해 설명하시오.

- 일정시간 동안 전류를 통전 시켰다가 일정시간 동안 전류를 통전 시키지 않는 변조 방법

- 절류의 통전시간과 비통전시간의 관계를 단속시간비라 함

※ 단속변조는 근 재교육, 관절운동범위 증진, 정맥순환증진 등에 중요

19. 치료목적에 따른 전기자극의 종류에 대해 설명하시오.

통 증 완 화

TEN (경피신경전기 자극)

ICT (간섭전류 자극)

HVPS (고전압 맥동전류 자극)

LIDC (저강도 직류전류 자극)

근 력 증 진

EMS (근육전기 자극)

NMES (신경 전기자극)

FES (기능적 전기자극)

LESS (측부전기 자극)

RC (러시아 전류자극)

ICT (간섭전류 자극)

HVPS (고전압 맥동전류 자극)

조 직 치 유

LIDC (저강도 직류전류 자극)

HVPS (고전압 맥동전류 자극)

EF (전기장 자극)

PEMF (맥동전자장 자극)

20. 일반적인 전기치료기구의 구성은?

1) 전원공급회로 - 직류, 교류 변환, 전압, 파형 변환

2) 발 진 회 로 - 지속적으로 반복해서 교류진동을 발생시키는 작용

3) 출력증폭회로-발진회로에서 만들어진 운반파의 전류, 전압, 주파수 등의 강도를 최종 적으로 조절, 증폭하는 장치

※ 전원공급회로 : 변압기→ 정류기→ 여과기→ 조정기→ 발진회로→ 출력증폭회로

21. 정류기의 역할?

- 전원으로부터 공급된 대칭 이상 교류전류를 직류 전류 또는 단상맥동전류로 전환

시키는 장치

22. 발진회로의 역할?

- 여러개의 발진기가 서로 작용하여 주파수, 맥동기간, 맥동열의 강도, 맥동열의 주기등 을 변화시켜 여러 가지 형태의 전류를 발생시킴 (직류→ 교류)

․제1발진기 - 기본적인 주파수, 맥동기간 등 조절

․제2발진기 - 경사증가, 경사감소 등과 같은 맥동열의 강도를 변조

․제3발진기 - 순환주기 조절

→ 발진회로를 거쳐 최종적으로 만들어진 전류를 운반파라 함

23. 동축케이블이 쓰이는 전기치료기구는?

- 극초단파 심부투열기, 초음파치료기

24. 피부저항을 줄이는 방법은?

1) 피부탈락세포, 기름 등이 묻어있지 않도록 비눗물로 깨끗이 닦아 전기자극부위의

피부를 청결하게 함

2) 온습포, 적외선 등으로 5-10분간 열을 가해 피부를 습하게 하고 전해질 량을

증가시킴

3) 전극을 습하게 하거나 전극 풀 등을 사용

4) 전극의 크기를 크게 하거나 전극과 전극의 거리를 좁혀줌

25. 세포막의 구조 및 기능?

- 구조 : 세포막은 세포질을 둘러싸고 있는 원형질 막으로 인지질 이중층으로 구성

(인질층인 외층과 지질층인 내층으로 구분)

- 구성성분 : 단백질 55%, 인지질 25%, 콜레스테롤 13%, 기타지질 4%, 탄수화물 3%등

- 기능 : 1)세포구조 유지 2)세포내 환경 유지 3)세포대사 조절 4)대사활동 5)전기적 활동 6)내포 및 외포작용 7)항원작용

26. 세포막의 물질수송의 종류?

1) 확산(diffusion)- 농도가 높은 곳에서 농도가 낮은 곳으로 물질이 세포막을 통과하는 현상

① 세포막을 통한 단순확산 : 농도 경사에 의해 농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물질 이 세포막을 통과하는 현상( 전하를 띠지 않는 작은 극성분자는 단순확산을 통해 인 지질 이중층을 쉽게 통과 할 수 있다)

② 막공을 통한 단순확산 : 세포막에는 친수성 단백분자로 구성된 0.7~0.8nm의 막공이 있어 이온통로 역할을 한다 (Na,K등 친수성 극성분자는 막공을 통해 세포막을 확산)

③ 촉진확산 : 극성분자가 세포막에 있는 운반 단백과 결합하여 인지질 이중층을 가로 질러 수송하는 것, 농도 경사에 의해 일어나는 수동수송

2) 능동 수송(active transport=펌프) - 농도가 낮은 쪽에서 높은쪽으로 분자가 이온을 수 송하는 기전

① 소디움-포타슘펌프(Na-K pump) : Na을 세포 안쪽으로부터 농도가 높은 바깥쪽으 로 퍼내고 K을 세포 바깥쪽으로부터 농도가 높 은 안쪽으로 운반 ⇒E필요

※ Na펌프에서는 3개의 Na과 2개의 K을 교환운반 함

② 칼슘펌프(calcium pump) : - 세포막 안에 있는 칼슘을 세포 밖으로 퍼냄

- 근세포의 근형질세망 및 모든 세포의 미토콘드리아와 같은 소포성 기관에 펌프질 함

- 에너지원으로는 ATP 사용

③ 내포작용과 외포작용 - 다량의 분자나 거대분자는 세포막을 변형시켜 세포막 안팎 으로 운반

- 세포막의 일부가 물질을 둘러싼 후 세포막의 양끝이 융합 되는 함입에 의해 물질을 세포 안으로 받아 들이는 현상을 내포작용이라 하고, 반대로 세포 밖으로 내보내는 현상을 외포작용이라 함

27. 세포막의 전기적 3대 특성?

1) 극성유지

2) 전기의 저항체 (막공)

3) 축전지 역할 (신호를 전달하고 물질이동을 조절)

28. 전기긴장전위가 일어나는 이유와 정의는?

1) 정의 : 수동적으로 지수함수적으로 변화하는 막전압

2) 이유 : 세포막에 전류를 통전시키면 전압은 콘덴서와 저항에 의해서 전류를 작용시킨 곳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비례해서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함

※ 저항은 막공 (이동통로), 콘덴서 역할은 지방 이중층

29. 평형전위?

- 실제로 존재하는 전위가 아니고 세포막이 한 종류의 이온만을 투과시킨다고 가정했을 때 생길 수 있는 가상적인 전위.

ex) 만약 K이 전하를 띠지 않은 물질이라면 세포막 안팎의 농도가 같아질 때까지 계속 이동하겠지만, K이 전하를 갖는 물질이므로 세포막 밖에 양 전위가 발생하여 K의 확산이 점점 제약을 받게 될 것이고 어느 정도의 전위에 도달하면 농도경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K는 더 이상 확산할 수 없을 것이다.

⇒ K을 더 이상 확산시킬 수 없을 정도의 전위를 K의 평형전위라 함

30. 안정막 전위는 무엇이고, 안정막 전위 동안에 발생하는 이온들의 이동현상은?

1) 안정막 전위란 - 안정상태에 있는 세포막 안과 밖의 전위 차이

2) 이온들의 이동현상 - 안정상태에서 Na은 세포막 안으로, K은 세포막 밖으로 확산 됨. 그러나 Na펌프에 의해 이온의 수동운반이 상쇄되고 세포막 안팎의 K과 Na의 농도경사와 막전위가 일정하게 유지 됨

※ 신경 세포막의 안정막 전위는 -60~-100mV

근육 세포막의 안정막 전위는 -70~-100mV 이며,

평균 안정막 전위는 -85mV 정도

31. 활동전위의 기전?

안정막 전위 → 활동 전위 발생

자극

; Na이 세포막 안으로 확산→ 음전위를 띠고 있던 안정막 전위가 역치 전위로 감소 →Na투과성이 증가하여 상당량의 Na이 세포막 안으로 유입

*지나치기 - Na가 계속 세포막 안으로 확산되어 세포막 안의 전위가 30-60mV의 양성 전위를 띠게 되는 것

*재분극 - 원래의 안정막전위에 도달할 때까지 막전위가 감소되는것

*과분극 - 원래의 안정막전위보다 더 낮은 전위를 갖게 된 상태

32. 실무율, 가중, 순응 및 불응기에 대해 설명하시오.

1) 실무율 - 역치전위 이상에서는 아무리 큰 자극을 주어도 같은 크기의 활동전위가 유발되는 현상

2) 가중(=중화) - 흥분성 조직을 역치하 강도로 자극하면 그 자체로부터는 흥분을 일으 키지 못하더라도 짧은 시간에 여러번 자극을 하면 반응이 누적되어 활 동전압이 유발될 수 있다.

- 시간적 가중 : 빈도

- 공간적 가중 : voita치료 방법으로 많이 사용

3) 순응 - 원래 갖고 있는 역치를 상승시키는 것

4) 불응기 - 두 개의 활동전위가 융합되는 것을 방지하여 독립된 활동전위로 전도되게 해줌

①절대적불응기 - 활동전위가 발생하고 있는 어느 시기에서는 아무리 큰 자극을 반복 해서 주더라도 전혀 반응을 하지 않는 시기

②상대불응기 - 활동전위 기간이 지난 다음 시기에서는 보통 크기의 강도로는 반응을 하지 않으나 매우 큰 강도로 자극하면 반응하는 시기

33. 손상전위?

- 근육 및 신경조직에서 발생하는 생물전기 현상

신경이나 근육조직이 손상을 받게 되면 손상부위에서 막이 파괴되어, 세포막 밖의 K농도가 상승되어 세포막 안과 밖에 형성되는 전위차가 상실되어 정상부위에 형성되어 있는전위차가 손상부위를 통하여 외부로 유도됨에 따라 전위차의 크기가 감소 됨

*골격근의 손상전위는 40~80mV, 척수신경 손상전위는 10~50mV, 평균 50mV의 전위차를 나타냄

34. 신경 세포의 구조?

- 신경세포는 흔히 신경원이라 하며 신경계의 구조적, 기능적 단위

35. 국소전류와 도약전도에 대해 설명하시오

1) 국소전류(무수신경) - 전류가 국소부위로 흘러 들어가면 그 부위에서 양전하가 감소되어 막의 탈분극이 일어나고 양전하가 인접부위로 이동하여 국소전류가 형성

*작은 무수신경섬유의 축삭에서는 세포막의 저항(R )과 세포막의 정전용량(C )에 따라 탈분극 되어 있는 부위와 정상 안정부 사이에 국소전류 회로가 형성되어 흥분이 전도 됨

2) 도약전도(유수신경) - 각 랑비에마디에서 하나씩 불연속적인 활동전위가 나타나 다 음 마디로 건너 뜀

36. 화학적 시냅스에서 전기적 전달이 일어나는 기전을 설명하시오.

1) 자극, 생각에 의해 운동신경이 흥분 (활동전위)

2) 흥분된 전기적 신호가 운동신경 종판까지 전달

3) 시냅스 틈이 크기 때문에 운동신경의 전기적 신호가 근육으로 직접 전달되지 못함

4) 세포밖에 있는 Ca이 자극에 의해 세포안으로 들어와 Ach을 재배열하고 이 Ach이

외포작용에 의해 시냅스 틈으로 확산되어 근육에 있는 Receptor에 착지

⇒ Na,K,Ca의 투과성 증가로 action potential이 발생함

*자극이 멈추면 신경섬유 말단의 세포질에서 다시 아세틸콜린이 합성

① 콜린 중 50%정도 신경섬유 말단에서 능동적으로 재흡수

→미토콘드리아에서 아세틸 -CoA가 합성

② 신경세포체에서 합성된 Cholineacetyltransferase가 신경섬유 말단으로 이동

→아세틸 -CoA의 아세틸군은 콜린으로 이동하여 콜린과 결합, 새로운 아세틸 콜린 분자를 합성

37. 신경 전달물질 중 억제성 물질은?

- 감마 - 아미노부티르산 (GABA), 물질P

38. 근막들의 종유에 대해 설명하시오.

; 하나의 골격근은 수천개의 근섬유들이 무리를 지어 다발을 이룬 근속들이 여러개로 다발을 이룬 구조로 되어 있음

- 근내막 : 근섬유를 싸고 있는 막 (endomysium)

- 근주막 : 근속을 싸고 있는 막 (perimysium)

- 근외막 : 골격근을 싸고 있는 막 (epimysium)

39. 근섬유의 미세구조를 설명하시오.

※ 근섬유 : 골격근의 독립적인 근세포

1) 구조 - 근섬유는 근초, 핵, 세포질로 구성된 길이가 다른 원통형 임

2) 근섬유 직경 - 10~150 정도

3) 평균 길이 - 3cm

① 근초 - 형질막과 바깥막 및 때때로 세망섬유로 구성

② 핵 - 다핵세포인 근섬유의 핵은 타원형이며 희미하게 줄을 지어 근초의 바로 안쪽에 나란히 배열

③ 세포질 - 세포질은 근원섬유와 근형질로 구성

근원섬유 : 근원섬유는 구조 및 수축단백인 액틴, 트로포마이오신, 트로포닌

C단백. 최근에 알려진 타이틴 등으로 구성

근형질 : 근형질은 근형질막, 근형질세망, 지지그물, 수조와 가로소관등 미세소관

골지기관, 미토콘드리아, 리보솜, 당원, 지방소적, 대사에 관여하는 수용성 단백 등의 효소들로 이루어져 있음

※ <근섬유의 구성>

근 초 형질막, 기저관, 세망섬유

핵 다핵

세포질 근원섬유

가는섬유 : 액틴, 트로포마이오신, 트로포닌

굵은섬유 : 마이오신, myomesin, C단백, 타이틴

근형질

근형질막, 근형질세망, 지지그물, 수조, 가로소관, 골지기관

미토콘드리아, 리보솜, 당원, 지방소적, 효소

40. 근형질세망에서 Ca의 역할을 설명하시오.

- Ca이 Actin에 있는 트로포닌 (troponin) C에 부착 → actin의 위치변경 (myosin의 head가 actin에 부착)

41. 근형질세망의 형태를 설명하시오.

→ 근형질세망은 근원섬유 사이와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수조 또는 막성소관의 그물 처럼 보임

- 수조(cistern) : 근원섬유에 주로 평행하게 주행하여 단일한 막통로로 가로소관에 도달

- 가로소관(T tabule) : 외부의 자극을 세포의 심부로 빠르게 전달

- 각각의 가로소관과 매우 가까이에 나란히 있는 두 개의 종말수조가 A-I 연접부에서 삼조체(triad)를 이룸

42. 근수축 기전을 설명하시오.

1) 활주설 - 세사들은 일정한 길이를 유지하면서 가는 액틴세사와 굵은 마이오신세사

간에 발생되는 힘에 의한 미끄러짐에 의해서 세사가 중첩되어 수축한다는 이론

*근수축시 - 세사들은 길이가 변화하지 않지만 밝은띠 (I band)와 투명띠(H band)가

단축되고 마디끝격막(Z disc)이 서로 가까워져 근절이 단축

2) 흥분성 수축연결

※ 골격근의 수축 - 이완 단계

* 근수축 단계

① 신경말단에 활동전위 도달

② 신경근접합부에서 아세틸콜린방출

③ 근세포막에서 아세틸콜린 수용체와 결합

④ Na 및 K 전도 증가

⑤ 종판전위 발생

⑥ 근섬유에서 활동전위발생

⑦ 가로소관을 따라 탈분극 확산

⑧ 근형질세망의 수조에서 근원섬유로 Ca 방출

⑨ 액틴의 노출 부위가 마이오신과 결합

⑩ 마이오신-ATP가 액틴과 결합하여 복합체 형성

⑪ 근세사 활주로 근수축 유발

* 근 이완 단계

① 근형질세망으로 Ca회수

② 트로포닌으로 Ca 방출

③ 액틴과 마이오신 상호관계 멈춤

43. 근수축 에너지원이 생성되는 기전에 대해 설명하시오.

- 근수축의 직접적인 에너지원은 ATP이며, 이 ATP는 액틴 -마이오신 결합의 형성 분해, Ca 의 방출 및 유입등 근수축 활동시 마이오신 세사에 존재하는 Mg 의존성 ATPase에 의해 가수분해되어 인산이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ADP로 변화

ATP=ADP + Pi + energy

1) 크레아틴인산 복합체의 혐기성대사 과정

- 근수축시에 형성되는 ADP에 크레아틴인산의 고에서지 P band를 전달하여 ATP를 재생하며 이 과정은 혐기성으로 이루어 지므로 산소를 이용하지 않는다

- ATP의 재생기간이 짧아서 빠른 근수축을 필요로 하는 빠른 근육 또는백근이 혐기성

운동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구실을 함

- 크리아틴인산은 이완기동안 혐기성 해당과정에 의해 재생됨

2) 산화적 인산화 반응

- 소화를 거쳐 세포에 저장된 포도당이 일련의 반응을 거쳐 피루브산으로 분해되면서 ATP를 생성하는 해당과정

- 느린 근육 또는 적근은 미토콘드리아가 풍부하여 에너지의대부분을 산소에 의한

연료의 산화로 얻기 때문에 장시간에 걸쳐 지속적인 근육활동을 할 수 있음

44. 근육의 길이-장력의 관계성에 대해 설명하시오.

- 근육의 활동시 장력이 발생하며 이는 근섬유 또는 근절의 길이에 따라 변화함

- 길이-장력 관계는 세포내액의 전해질 조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 특히 Ca 농도 변화가 길이-장력곡선의 모양과 크기를 변화시킴

1)활성장력 (active tension 수동장력)

- 근절의 길이에 따라 변화

①최대 장력은 액틴과 마이오신 사이에 형성된 가교의 수가 최대로 많아진 안정 시의 길이에서 발생

②근절이 안정시의 길이보다 짧아짐에 따라 액틴이 더 중첩되어 장력이 감소되기 시작, 안정시 길이의 70%정도로 더욱 더 짧아지면 액틴이 Z반의 판에 접촉되 어 휘어지므로 장력은 더욱 더 감소

③근절이 안정시 길이보다 길어지면 액틴의 중첩이 적어지므로 연결팔의 수가 줄 어들어 장력이 감소

2)안정장력 (resting tension 수동장력)

- 근섬유가 안정상태에서 신전될 때 발생

①근절이 안정시 길이의 125%로 신장 될 때

안정장력은 활동장력의 3%수준에 지나지 않음

②130%이상 신전 되면

평행탄성 요소가 커져서 신장을 방해하게 됨

③165%에 도달 하면

세사의 연결이 거의 완전히 해체되어 신장의 한계에 이름

45. 전기자극의 3대 조건에 대해 설명하시오.

1)전류강도 (current intensity)

2)통전시간 (duration of current flow)

3)최대강도에 도달하는 속도

46. 강시곡선에 대해 설명하시오.

※강시곡선 - 흥분성 조직의 전기자극 조건에서 전류의 강도와 전류의 통전시간은 대략 역상관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을 말함

- 기전류(rheobase): 흥분성 조직의 흥분을 일으킬 수 있는 최소의 전류강도

- 시치(chronaxie): 기전류 두배(2I )의 강도로 자극하여 흥분이 일어나는데 걸리 는 시간

http://my.netian.com/~eun2121 물치사랑

"사제는 성인이 아니면 마귀입니다."

-피에트렐치나의 성 비오-



"내 아버지께서 나를 보내 주신 것처럼 나도 너희를 보낸다."(요한 20,21). 그것은 깊이 생각해 보면 사랑으로 머리가 돌고 미쳐 버리게 하는 사명이다. 사제는 '하느님의 아들을 닮은"(히브7,3)존재이다.

그리고 아르스의 비안네 신부는 "우리가 천국에 가서야만 사제직의 위대함을 깨달을 수 있을 것이다. 만약 그가 이것을 지상에서 깨닫는다면 죽을 것이다. 놀라움 때문이 아니라, 바로 사랑으로 인하여.... 하느님 다음에는 사제가 전부이다." 라고 자주 말했다.

그러나 이러한 숭고함과 위대함은 크나큰 책임감을 동반하며, 그것이 다른 이들과 똑같은, 사제의 약한 인간성 위에 무겁게 놓이게 된다.

성 베르나르드는 "사제는 본성으로는 다른 사람들과 같은데, 존엄성으로는 지상의 다른 어떤 이보다도 뛰어나다. 그의 행동은 천사를 닮아야 한다." 라고 말했다.

하느님께로부터의 소명, 고귀한 사명, 천사적인 삶, 지극히 높으신 존엄성... 나약한 한 인간의 본성에게 주어진 이 얼마나 엄청난 짐이란 말인가!

훌륭한 사제였고 하느님의 종이었던 에드워드 포프 신부는 이렇게 사제직을 묘사하였다. "사제직은 십자가이며 순교이다."


    사제에게 맡겨진 영혼들을 구원하기 위한 무거운 책임을 생각해 보자. 그의 사명은 불신자들에게 신앙을 가져가는 것이며, 죄인을 회개시키고 신앙이 미온한 자를 뜨겁게 하며, 좋은 것을 자극하여 더 좋게 하고, 거룩한 이들을 격려하여 더욱 완덕에로 매진하게 하는 것이다.

    그런데 그가 참으로 예수님과 일치되어 있지 않으면 이 모든 것들을 어떻게 해낼 수 있겠는가? 그래서 피에트렐치나의 비오 신부는 이렇게 말하곤 하였다. "사제는 성인 아니면 마귀입니다."

    사제는 영혼들을 거룩함에로 이끌어가든지, 아니면 멸망에로 이끌어간다. 자신의 성소를 합당하지 못한 행동으로 더럽히며, 주님께로부터 선택받은 봉헌된 지위를 저버리면서 성소를 짓밟는 사제는 얼마나 엄청난 파멸을 초해하는가?

    성 요한 보스코는 이렇게 말했다. "사제는 천국에 가든, 지옥에 가든 혼자 가지 않습니다. 그는 항상 대단히 많은 영혼들을 함께 데리고 갑니다. 그들은 사제의 좋은 사목과 표양으로 구원되든가, 아니면 그의 사목상의 태만과 나쁜 표양으로 인하여 멸망합니다."

    성 요한 마리아 비안네의 시성 조사록에서 우리는 이 거룩한 신부가 성소의 거룩함에 맞지 않게 살아가는 신부들로 인한 파멸을 생각하면서 많는 눈물을 흘렸음을 읽을 수 있다.

    피에트렐치나의 비오 신부는 합당치 않고 불충한 사제들의 죄로 인하여 예수님께서 무서운 고통을 받으시는 환시를 보고서 가슴이 찢어지는 듯 했다.


출처 :예수님 성모님 메세지와 영성 | 글쓴이 : 십자가의 벗 원글보기

비오 신부의 새로운 기적

로마 신문 Il 메사게로紙는 꿈속에서 비오 신부를 보았다는 어린이의 과학적으로 설명이 불가한 치유에 관한 조사가 진행중에 있다고 보고했다. 만약 이 기적이 사실로 여겨지면, 그것은 비오 신부의 시성에 필요한 세 번째이자 마지막 기적이 될 것이다, 그리고 시성식은 내년쯤에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보고된 그 기적은 비오 신부가 50년동안 살았던 도시인 산 지오반니 로툰도 출신인 8살난 소년에 관한 이야기이다.

마테오 비오(Matteo Pio) 소년은 (그의 성은 사생활을 이유로 밝히지 않는다) 2001년 1월 20일 뇌막염을 앓게 되었다. 의사인 그의 아버지는 그를 즉시 비오 신부에 의해서 설립된 병원인, '고통을 덜어주는 집'에 입원시켰다. 그 소년의 병세는 매우 심각해서 의사의 초기 진단은 그에게 아무런 가망이 없었다. 그 소년은 죽어가고 있었다.

그러나, 12일이 지난 후에 마테오는 아무 일이 없었던 것처럼 그의 병상에서 일어났다. 의사들은 이 현상을 설명할 수가 없었다. 그 소년은 자기가 혼수상태에 있었을 때 비오 신부가 꿈속에서 자기를 쳐다보며 미소짓는 것을 보았다고 말했다.

그 사건은 현재 바티칸 시성성에 속하는 5인의 의사로 구성된 의학위원회에 의해서 조사중에 있다. 현재까지 그 치유는 설명이 불가하다.

만약 그 위원회의 최종 심사가 긍정적일 경우에는, 그 사건은 신학위원회에서 조사될 것이며, 그리고 후에 그 성성의 추기경과 주교들로 구성된 위원회에서 조사될 것이다.

만약 두 위원회에서 치유와 비오 신부 사이의 직접적인 관련이 확증된다면, 기적으로 판명이 될 것이다.

비오 신부의 시성을 위한 청원자는 시성을 요구하기 위하여 제시될 수 있는 치유기적으로 여겨지는 또 다른 두 가지 사건을 접수했었다.

그 첫 번째는 이탈리아 모디카 출신인 22세의 죠르지오 린지빌로(Giorgio Rinzivilo)에 관한 것으로, 그는 1999년 4월의 교통 사고로 인하여 회복이 불가능한 혼수상태로부터 깨어났다.

두 번째는 나폴리에 사는 퇴역한 사람인 안토니오 트라부꼬(Antonio Trabucco)에 관한 일이다. 그는 1999년 6월에 부분적 마비로부터 치유되었다.

복자 비오신부는 1887년부터 1968년까지 사셨다. 그는 일생중에도 많은 기적들과, 악마와의 (전설적인) 싸움, 동시에 두 장소에서의 존재, 그리고 미래를 예언하는 능력으로 인하여 명성이 높았다.

그는 또한 고백소에서 영혼을 읽는 능력을 가졌으며, 그리고 사람들이 고백하지 못했던 비밀스러운 죄들도 정확히 고백자들에게 말해주곤 하였다.

50년동안, 비오 신부는, 그리스도의 피흘리는 상처인, 신비스런 성흔을 그의 손과 발과 그리고 옆구리에 지녔다. 그는 이 고통을 영혼들의 구원을 위하여 바쳤다. 그의 거룩한 수도자로서의 일생동안, 수만 명의 가톨릭 신자들이 그가 집전하는 미사나 고백성사를 받기 위하여 전세계로부터 몰려들었다.

비오 신부는 1999년 5월 2일에 바티칸에서 시복되었다. 그 사건은 약 20만 명의 사람들이 참석한 가운데 치루어졌으며, "역사적으로 가장 많은 관심을 끌었던 시복식"이었다고 불린다.

다음 읽기
지옥이 얼어붙을 때

"뇌졸중 후 실어증치료에 전기자극 효과"
연합뉴스
뇌졸중 후 언어능력을 상실한 환자들에게 언어치료와 함께 전기자극요법을 병행하면 좋은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분당서울대병원 재활의학과 백남종 교수팀은 뇌졸중 이후 실어증을 호소하는 47-71세 환자 13명을 대상으로 표준화된 언어치료와 함께 전기자극요법을 실시한 결과 치료효과가 두 배 정도로 향상됐다고 5일 밝혔다.

실어증은 뇌졸중, 뇌종양, 뇌염, 교통사고 등으로 뇌손상이 있은 후에 상대방의 말을 이해하지 못하거나 자신의 의사를 말로 표현하지 못하게 되는 언어장애를 뜻하며 뇌졸중 후 약 20-30%의 환자에서 실어증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의료진은 실어증 환자들에게 언어치료를 실시하면서 진짜 전기자극 또는 가짜 전기자극을 환자에게 가하고 치료 5일 후 그림 속 물체의 이름을 맞추는 ’보스턴 이름대기 검사’ 성적과 답변에 걸리는 반응시간을 비교했다.

비교 결과 가짜 전기자극을 가했을 때 언어치료 후 맞춘 그림의 개수는 언어치료 전에 비해 2.7개 증가한 반면 전기자극을 가했을 때에는 언어치료 후에 5개가 증가해, 전기자극이 주어진 경우에 2배 가까운 효과를 나타냈다.

또 그림에 대한 반응시간도 가짜 전기자극 전후엔 0.9초가 단축된 반면 진짜 전기자극의 경우 1.9초가 단축돼 역시 2배 정도 회복을 보였다.

뇌졸중이 발병하면 대뇌의 특정 부위가 비정상적으로 항진되는데 전기자극이 대뇌피질의 비정상적인 흥분도를 정상화시켜 언어능력을 향상시킨 것으로 연구진은 분석했다.

분당서울대병원 재활의학과 백남종 교수는 “뇌졸중 후 실어증이 생긴 환자들에게 언어치료와 함께 전기자극 치료를 병행하면 보다 더 좋은 치료효과를 거둘 수 있음을 확인했다”며 “앞으로 뇌졸중 후 실어증 환자에게 전기자극 치료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백 교수팀은 이번 연구로 미국 워싱턴DC에서 최근 개최된 미국재활의학회-미국뇌신경재활의학회 합동 학회에서 최우수 임상연구 포스터 전시물에 주어지는 플레처맥도웰상(Fletcher H. McDowell Award)을 수상했다.
입력 : 2007.12.05 14:49
전기자극 비만 치료 도중 기억 되살아나

"전기 자극 높이면 기억 더 선명해져"

한 남성이 비만 치료 도중 갑자기 30년 전 기억을 되살려 화제다.

30일 영국 일간 인디펜던트 인터넷판에 따르면 캐나다 온타리오 주 토론토웨스턴병원 신경외과 안드레스 로사노 교수는 뇌에 전극을 삽입, 식욕과 관계 있는 시상하부에 전류를 흘려 비만을 치료하는 의술에 대해 연구하다 놀라운 경험을 했다.

체중이 190kg에 이르던 한 남성이 치료중 "기억이 되살아났다"면서 오래 전 이야기를 늘어놓기 시작한 것.

로사노 교수는 "머리 속에 전극 물질을 삽입해 비만 치료를 받던 이들 가운데 기억이 되살아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라면서 "이 남성은 20세 때 친구와 공원에 갔던 일과 옛 여자친구 등에 대한 기억이 떠올려진다고 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이 남성 머리에 삽입된 전극의 전류를 세게 할 수록 더 많은 기억이 즉각 떠오른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전류를 세게 할 수록 이 남성이 떠올린 기억은 자세해졌지만 전류를 끊었을 때에는 기억이 즉시 사라졌다"고 말했다.

이 사례에 대해 로사노 교수는 "뇌 구조가 기억과 어떻게 연관돼 있는지 살펴볼 좋은 계기"라면서 "기억력 감퇴 등을 앓고 있는 많은 사람들에게 앞으로 좋은 치료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뇌 자극 분야의 국제적 권위자인 로사노 교수는 현재까지 400건의 파킨슨병 환자 수술을 집도했다. 이 사례는 이날 발간된 의학전문지 '신경학회보(Annals of Neurology)'를 통해 소개됐다.

(서울=연합뉴스)

Pavlov Institute of Physiology(http://www.infran.ru/index-engl.htm)의 연구진이 뇌에 전기 자극을 가하여 여러 질병을 치유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치료법은 약물 치료에 비해 치료 효과가 높고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이 치료법은 2004년 과학기술 분야의 러시아 연방 정부상을 수상했다. 치료법의 핵심은 뇌의 피질 하의 특정 구역에 특정 변수의 전류를 흘려 보내는 것이다. 두피에 부착한 전극을 통해 전류를 흘려 보내면 인체의 보호 기제가 활성화되는데 이를 통해 약물을 사용하지 않아도 원하는 치료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인체의 방어기제에 대한 여러 사실은 이미 1970년대부터 밝혀져 왔다고 이 연구의 책임자인 발레리 레베제프 교수는 말한다. 각국에서 이루어진 연구 결과에 의하면, 뇌줄기(brainstem)에는 전극을 이용하여 자극하면 통증을 없애고 손상 조직을 재생하는 과정을 촉진하며 다른 효과를 거둘 수도 있는 구조가 있다. 뇌의 방어기제를 활성화함으로써 인체의 손상된 기능을 정상화할 수 있다. 즉, ‘항상성’에 도달하는 것이다. 그 당시 영국 과학자들이 밝힌 바에 의하면, 이는 뇌의 신경 조직에 의해 엔도르핀이 생산되어 뇌와 혈액 속으로 분비되기 때문이다.

Pavlov Institute of Physiology(상크트 페테르부르그 소재)의 연구진은 ‘선택적인 방어기제 활성화’를 개발하려는 목표를 세웠다. 특히 이 과정에서 두피에 전기 자극을 가하는 방법을 이용하기로 했다. 다시 말해 ‘경두개적’(transcranial)인 치료법을 개발하기로 했다(바로 여기에서 “뇌의 방어기제에 경두개 전기 자극을 주는 학술적 방법과 장치 및 광범위한 치료 도입”이라는 연구명이 나왔다).

이 연구는 1981년부터 캐나다의 토론토 대학의 생물물리학자들과 MRI를 이용하여 공동으로 진행되었다. 일단계에서 연구진은 전극을 어떤 방식으로 어디에 부착해야 필요한 위치에 전기 자극을 줄 수 있을지 철저하게 밝혀 내었다. 이단계에서는 최적의 전류값을 정했다. 밝힌 바에 의하면, 방어기제는 진폭과 주파수가 협소한 대역에만 민감하게 반응한다. 최종 단계에서는 방사능 사진과 면역세포 방법으로 방어기제의 세포가 실제로 선별적으로 활성화되며 혈액과 뇌척수에 엔도르핀을 분비하기 시작하는 것을 증명했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진은 ‘경두개 전기 자극’을 치료법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연구 방향을 설정했다. 실험 결과 치료 효과가 매우 높았으며 특히 약물치료 효과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두개 전기 자극 치료법은 통증 치료, 신경유전적 긴장항진 증세, 심각한 심근경색, 위와 십이지장의 궤양, 광범위한 산부인과 질환, 감각신경성난청, 각종 피부 질환 및 알코올 중독과 금단현상의 약물중독자 등의 치료에 매우 효과적이다. 현재 Pavlov Institute of Physiology의 “경두개 전기 자극 치료 센터”에서는 러시아의 병원에서 사용 중에 있으며 해외에서도 높은 관심을 얻고 있는 “트란사이르” 타입의 장치를 생산하고 있다.


출판날짜 2005/03/24

정보출처 : http://nauka.relis.ru/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