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블루슈머 6가지 잡으면 틈새시장 열린다 |
[한겨레] ‘이동족, 무서워하는 여성, 20대 아침 사양족, 피곤한 직장인, 3050 일하는 엄마, 살찐 한국인.’ 통계청이 각종 사회·경제 통계를 통해 읽어낸 우리 사회 미래의 단면들이다. 통계청은 23일 내놓은 ‘한국의 블루슈머 6’ 자료에서 앞으로 확대될 6개 소비자그룹을 선정했다. 블루슈머란 ‘블루오션+컨슈머’의 합성어로 경쟁자가 아직 많지 않은 시장의 소비자를 뜻한다. 이런 소비자를 찾아내 공략하는 능력이 돈을 버는 지름길이라는 게 통계청의 설명이다. 첫번째 블루슈머는 ‘이동족’이다. ‘2004년 생활시간 조사’를 보면, 10살 이상 국민의 하루 평균 이동시간은 1시간40분으로 99년보다 5분 증가했다. 10살 이상 인구가 4200만명인 점을 감안하면 하루 평균 국민 전체의 이동시간은 5년 새 350만시간이 늘어난 셈이다. 이는 이동 중 즐길 수 있는 엔터테인먼트 상품에 대한 수요 증가로 연결된다. 대표적인 상품이 디엠비(DMB) 텔레비전, 휴대용 게임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에이어(PMP), 무선헤드폰, 지하철 무료 신문 등이다. 두번째는 ‘무서워하는 여성’이다. ‘한국의 사회지표’를 보면 2005년 살인과 강간 발생률이 5년 전보다 각각 13%와 68% 급증했다. 여성 혼자 사는 가구 수도 전체 가구의 11%에 이른다. 무인경비 서비스, 디지털 도어락, 호신용 전기충격기, 휴대전화 호신서비스 등의 수요가 늘고 있는 것도 이런 변화와 맞닿아 있다. 세번째는 아침을 거르는 ‘20대 아침 사양족’이다. ‘2006년 사회통계조사’를 보면 20대 가운데 아침식사를 거르는 비율은 49.7%에 이른다. 20대 370만8천명이 아침을 거르는 셈이다. 아침식사 배달 서비스와 아침식사 대용 건강음료, 즉석죽, 컵스프, 조각 케이크, 생식용 두부, 떡, 커피전문점의 모닝세트 등이 이들을 파고들 수 있는 서비스와 상품들이다. 네번째는 ‘피곤한 직장인’이다. ‘2004년 생활시간 조사’를 보면 취업자의 89.1%가 ‘업무가 끝난 뒤 피곤함을 느낀다’고 응답했는데, 이는 5년 전보다 3.7%포인트 증가한 것이다. 경쟁 심화와 고용 불안정 등은 정신적 스트레스를 가중시켜 쉬거나 스트레스를 풀고자 하는 욕구를 분출시킨다. 차 전문점, 마사지숍, 스파, 요가, 아로마테라피, 펜션 여행, 스트레스 클리닉, UCC(사용자제작콘텐츠), 댄스학원 등이 이와 연관된 사업들이다. 다섯번째는 30~50대의 ‘일하는 엄마’들이다. 지난해 30~50대 여성 취업자는 639만명으로 2000년보다 16.8%나 늘었다. 에듀시터(유아 개인교사), 플레이튜터(유아 개인 놀이교사), 베이비시터, 로봇청소기, 지능형 가전제품 등이 일하는 엄마의 수요를 충족시킬 서비스와 상품이다. 마지막 블루슈머는 ‘살찐 한국인’이다. 2005년 국민 1인당 하루 평균 지방질 섭취량은 88.6g으로 2000년보다 10.6% 증가했다. 무지방 우유, 저칼로리 면류, 무칼로리 차 등이 관련 유망 상품이다. 김선옥 통계청 정책홍보담당관실 과장은 “블루슈머를 찾기 위해서는 국민 생활 방식의 미세한 변화까지 읽어야 한다”며 “각종 사회·경제 통계를 활용하면 새로운 소비자와 시장을 찾는 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이런 통계들은 통계청 홈페이지(nso.go.kr)의 통계정보시스템과 e-나라지표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박현 기자 hyun21@hani.co.kr << 온라인미디어의 새로운 시작. 인터넷한겨레가 바꿔갑니다. >> |
'우주카다로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빌 게이츠MS회장, 나는 이렇게 일한다. (5) | 2007.04.03 |
---|---|
간부들이여"괴짜직원"의 수호자가 돼라 (0) | 2007.04.03 |
국제로타리 첫 한국인 회장 이동건 스토리 (0) | 2007.04.03 |
아시아 최고부자 리카싱 청쿵 그룹회장 (0) | 2007.04.03 |
사람은 회사의 비용이 아니라 자산이다. (0) | 2007.04.03 |
플러스의 힘을 활용하라 (1) | 2007.02.13 |
불행 하세요? 행운을 잡는 모습 (0) | 2007.02.13 |
해저 초호화 리조트 (1) | 2007.02.12 |
두바이 프로젝트 (2) | 2007.02.11 |
부자가 되려면 돈의 법칙을 알아야 한다. (1) | 2007.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