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CPR봉사단 새로운 지도자 탄생을 祝賀합니다.

제 10차 CPR ITC

지난 2월부터 4월 20일 사이 울산과 강원도에서 CPR지도자 과정 세미나가 있었다.

이번 세미나에서 CPR의 중요성을 깊이 인식한 대부분의 신청자들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지도자

로서 충분한 시간들을 할애 할 것으로 보여 CPR 보급이 한발 한발 앞서는 계기가 되어 만족 할 수

있었다. 한편 한국 CPR 봉사단에서는 지금까지 지도자 과정 교육 일정을 지정하여 교육을 하였으나

신청자의 욕구를 만족 시키며 CPR의 빠른 보급을 위하여 신청자가 원하는 장소와 날짜, 그리고 인

원에 관계없이 언제 어디서나 실시하는 새로운 서비스를 도입하여 더 많은 CPR 지도자가 탄생할

것을 기대한다.

제 10차 CPR ITC 수료자 명단

INSTRUCTOR no 111번

성명: 조인식

지역: 강원도 횡성

직업: 특전동지회

중앙구조대장

전화: 011-363-9503

INSTRUCTOR no 112번

성명: 김영곤

지역: 울산광역시

직업: 특전동지회

울산광역시 지부장

전화: 011-589-7485

INSTRUCTOR no 113번

성명: 채완식

지역: 울산광역시

직업: 개인택시(운수업)

전화: 011-569-2015

INSTRUCTOR no 114번

성명: 이 호

지역: 서울특별시

직업: 학생

(5월 9일 입대 예정)

전화: 011-9886-6550

INSTRUCTOR no 115번

성명: 이용운

지역: 경기도 시흥

직업: 건강지도자

전화: 011-369-4549

INSTRUCTOR no 116번

성명: 김남필

지역: 강원도 원주

직업: 스쿠버다이빙 숍

운영(강원토탈레져)

전화: 011-369-0689

내가 살기 위해 가족이나 직장 동료에게

CPR(심폐소생술)을 배울 것을 강요해라!

급격히 늘어만 가는 突然死(돌연사)!

그대로 보고만 있을 것인가? 지난 2000년 4월 18일 서울 잠실 운동장 야구장에서경기 중에 쓰러진

임수혁 선수 이야기. 벌써 잊어 버리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딱 2년. 지난 2002년 4월 17일 강원

도 속초에서 똑같은 사고가 발생했다. 왜 우리는 주기적으로 이런 시련을 겪어야 하는가? 그뿐인가

거의 비슷한 내용의 목포에서 여객기 추락사건, 그리고 김해에서의 중국 국적의 항공기 추락 사건.

이 모든 사건들을 보면 당연히 그럴 수밖에 없었던 당연한 사고라고 평가하고 싶다. 여기서 항공기

추락에 대한 얘기는 하지 않기로 하겠다. 아무래도 전문 분야가 아니기 때문에..... 그렇지만 2000년

잠실 운동장에서 임수혁 선수건과 강원도 속초의 숭실대 축구부 김도연 선수의 돌연사 사건은 한마

디 하고 넘어 가야 속이 풀릴 것 같다. 먼저 임수혁 선수에 대하여 다시 한번 생각해 보기로 하자.

이미 2000년 5월 12일자 SBS 문성근의 다큐세상 「그것이 알고 싶다.」"응급처치 최초 4분"이라는

프로에서 자세히 다룬 이야기라 모두 잘 알고 있겠지만, 그 당시 임선수가 병원에 도착한 시간이 11

분이나 걸렸었다. 어떻게 보면 그렇게 차가 많은 서울에서 병원까지의 도착시간이 11분밖에 안 걸

렸다는 것은 그야말로 날아갔다는 표현도 적당하지 안을까? 라고 생각하고 싶지만 그러나 호흡정지

후 11분이라는 시간은 결코 살아날 수 없는 시간이다. 한편 강원도 속초에서 김도연 선수의 경우를

보자. 이날 사고 발생 후 속초 소방서 구급대원이 연락을 받고 도착한 시간은 20분 뒤라고 했다.

기적이 일어나지 않는 한 숨지는 것은 불을 보듯 뻔한 일이다. 이 두 사건과 같이 보도 되지 않은 많

은 사고들이 없었다고 누가 보장하겠는가? 2000년 당시 통계에 의하면 1년에 돌연사로 숨진 사람이

무려 25,000명이나 된다고 했다. 그것도 집에서 돌아가신 분들을 제외하고 말이다. 우리는 왜 이런

사고가 난 후에야 야단법석들인가? 또 그렇게 법석을 떤 것이 얼마나 오래 가는가? 그럼 여기서 이럴

경우 어떻게 조치해야 되는가 알아 보기로 한다. 먼저 이해를 돕기 위해 드링커 박사생존 곡선

참고하기 바란다.

드링커 박사의 생존 곡선

이 자료를 보면 호흡 정지 후 1분내에 인공호흡을 시도하면 97%가 2분=90%,

3분=75%(의식장애), 4분=50%(심방정지), 5분=25%(비가역성 뇌장애)...(이하 생존곡선 참조) 그리고

마지막 8분이 지나면 거의 절망적이라 했다. 이 자료가 말하듯이 과연 임수혁 11분, 김도연 20분,

도대체 어쩌란 말인가?

그러나 누구를 탓 할 일이 아니다. 사전에 조금만 아주 조금만 관심과 시간을 할애 하였다면 결코

눈앞에서 쓰러져 가는 사랑스런 가족, 친지, 그리고 동료들 다를 살릴 수 있다고 감히 壯談(장담)하

겠다. 호흡정지후 심장정지까지는 4분이 걸린다. 이 4분이라는 시간은 정말 중요한 시간이다. 심장

정지 이전에 바로 누군가에 의해 구급대를 기다리는 동안 CPR(심폐소생술)을 해 준다면 정상으로의

복귀가 가능하다. 4분이라는 시간을 기준으로 1분이 빠른 3분이면 생존률이 75%, 1분이 늦은 5분이

면 사망률이 75%이다. 이 자료를 보고도 아무런 조치 없이 구급대만을 기다릴 것인가? 스스로 반성

하기 바란다. 최근 어느때보다 다이어트 열풍이 불어 수십만원씩 하는 약품들은 잘 사먹으면서 말

이다.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은말.

내가 살기 위해 가족이나 직장 동료에게 CPR(심폐소생술)을 배울 것을 강요해라!

글: 한국 CPR 봉사단 본부장.

蘇生法의 A,B,C

심폐뇌소생법란? 일반적으로

아래A(기도 의 확보) I(집중치료)까지 의 치료순서를 말한다.

이 중에 A(기도의 확보)서

C(심장의 맛사지)까지를 입과

손만으로 하는 것을 BLS(Basic

Life Support: 일차구명처치)고, A(기도의 확보)에서 I(집중치료)

까지를 의료기구와 의 약품을

구비하고 해야하 는 것을 ALS

(Advanced Life Support:이차

구명처치)라 한다.

▲위 내용은 2002년 4월 19일자

신문에 실린 내용을 그대로

옮긴 것임.

CPR(심폐소생술)관심 높아지고 있다!

한국CPR봉사단

부회장 김 진 영

최근 들어 건강에 많은 관심들을 보이면서 스스로 건강을 체크

하는가 하면 적당한 운동을 한다든지, 담배를 안 피운다든지 어떤 방법이든

자신의 건강을 위하여 무척이나 노력하는 모습들을 볼 수 있다. 물론 신문과

방송에서도 연이어 보도하고 있는 등 건강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가하고 있는

이 시점. 때를 같이해 본 협회(한국CPR봉사단)부회장이며 강원일보 사진부장

으로 재직중인 김진영 지도자가(instructor no 021)신문에 심폐소생술에 대한

기사를 썼기에 본 회보를 통하여 다시 한번 강조하는 차원에서 소개하기로 한다. (본 기사는 2002년 4월 18일 목요일 강원일보 10면에 자료사진과 함께 전면

기사로 실렸으나 본 회보의 지면 관계로 사진은 삭제하였음을 알려 드립니다.)

심폐소생술`돌연사의 방패'

한밤중 옆에서 자고 있던 남편의 숨소리가 갑자기 멈출 때, 직장에서 같이 일하던 동료가 의식을 잃고 쓰러졌을 때 어떻게 응급처치해야 할까. 119 구급대에 빨리 전화해 병원으로 옮겨야 한다는 막연한

생각만이 머리에 맴돌 것이다. 하지만 119 구급대만을 기다리기에는 너무나 급박한 상황이 생길 수도

있다. 전문가에 따르면 뇌의 경우 산소공급이 중단된지 4분이 지나면 뇌손상을 일으켜 돌이킬 수 없는

상황에 이른다. 소위 돌연사로 현대의학에서도 가장 난감한 문제다. 그러나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아무 의료기기없이 입과 손만으로 인공호흡과 흉부압박을 해 돌연사를 막을 수 있는데.... 이것이C.P.R(심폐소생술)이다. 심폐소생술은 적절한 방법으로 민첩하고 신속하게 실시하면 환자가 구급

대나 의사의 조치를 기다리는 동안 그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미국의 심장재단인

A.H.A(American Heart Association)의 통계에 따르면 매년 심장발작에 의한 사망자수는 50만명

넘었으며 이중 3분의 2가 병원에 도착하기 전에 사망하고 있다. 이들의 대부분이 조속한 처치를 받

았다면 혹은 구급대나 의사의 처치를 기다리는 동안 심폐소생술 훈련을 받은 사람이 있어 적절한

구명조치를 했으면 구조가 됐을 것이다. 심폐소생술을 하지 않으면 뇌속의 산소가 결핍돼 영구적인

뇌 장해를 일으키게 되나 심장이 정지해도 신속하게 심폐소생술을 실시 한다면 복귀가 가능하기 때

문이다. 최근 전문인 양성을 위한 C.P.R지도자 연수가 수시로 실시되고 지도자들이 일반인들을 대

상으로 교육하고 있어 C.P.R하면 특정인만의 소유물이란 고정관념에서 벗어나고 있는 추세다.

그러나 C.P.R은 교육을 받았다는 것만으로 안된다. 중요한 것은 교육을 끝낸 후 꼭 테스트에 합격

해야 하며 불합격의 교육은 교육을 안 받은 것이나 다름 없다. 그래서 C.P.R의 자격은 유효 기간이

있다. 유효기간은 1년이며 1년 후 연수를 받아야 한다. C.P.R은 머리에 들은것만으로는 안 되고

자기만의 감각으로 하기 때문에 반복 훈련을 통한 손 기술 입(폐)기술이라 할 수 있다. 멀쩡한 사람

에게 연습할 수 없고(정상인에게 흉부 압박을 가하면 무척 아프기 때문이다.) 급박한 상황에서 정확

한 기술을 구사해야 하기 때문에 평소 연습용 인형으로 시간과 횟수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측정수치

그래프를 이용해 자신만의 정확한 감각을 익혀야 한다. 도내의 경우 한국 CPR봉사단의 전문 지도자

과정을 거쳐 자격증을 취득한 강원도C.P.R지도자 협의회가 구성돼 있다. 이들은 각급 학교나 직장을

돌며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연중 교육을 실시하며 강원도민의 1가족 1인 구급요원화에 앞장서고 있다. 일반인 교육은 하루에 끝나며 소정의 교육비를 낸 뒤 테스트에 합격하면 수료증과 인정증을 수여한다. 한국 CPR봉사단 강원도 C.P.R지도자 협의회는 오는 28일 횡성 새말에 위치한 특전동지회 횡성

특수임무구조대 사무실에서 C.P.R 교육을 실시한다. <金晋永 기자>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