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홀로'지만 '함께' 사는 집 '공유주택'
© MoneyToday '나홀로'지만 '함께' 사는 집 '공유주택' 2016년 공전의 히트를 친 영화 ‘라라랜드’ 주인공 배우 지망생 미아(엠마 스톤)는 친구들과 공유주택에서 함께 산다. 몇 년 전까지만도 낯선 주거 형태였다. 최근 국내에서도 1~2인 가구의 증가, 도심거주 수요 증가, 전월세값 급등 등이 맞물리면서 공유주택이 새로운 주거형태로 떠오르고 있다.
국내 공유주택 1호는 2011년 10월 서대문구 연희동에서 문을 연 ‘연희 마이바움’이다. 2층은 북카페 식당 등 입주자의 교류와 왕래가 잦은 곳, 3층부터는 화장실 에어컨 냉장고 등 풀옵션에 각기 다른 가구 배치로 차별화된 각 실이 존재한다.
공유주택의 가장 큰 매력은 주변 시세보다 저렴하게 입주 가능하다는 점이다. 치안 문제에서도 자유로운 한편 ‘나홀로’ 차단된 삶에서 느끼는 외로움을 공동생활을 통해 떨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사생활 침해, 취미생활 제약 등은 단점으로 꼽힌다. 임대료가 비싼 미국 유럽 일본에선 이미 공유주택이 대중적인 주거방식이다.
© MoneyToday '나홀로'지만 '함께' 사는 집 '공유주택' 공유주택 전문포털 컴앤스테이에 따르면 2019년 상반기까지 전국 공유주택 수는 1000개를 넘어섰다. 통계가 집계된 2013년부터 공유주택은 매년 두 배 넘게 늘었다. 지난해만 약 1.5배 성장했다. 하지만 올 상반기에만 베드수가 1832개 증가, 작년 한 해 동안 증가량(베드수 1988개)과 맞먹으며 탄탄한 성장 기대감을 갖게 했다. 서울 1인실 평균 월세는 45만~50만원선이다.
컴앤스테이 관계자는 “공유주택 시장 규모는 2017년 100억원, 2018년 200억원 규모를 돌파한 이래 성장하고 있다”며 “이번 상반기와 같은 성장 추세라면 올 연말 400억원을 넘어 500억원대 시장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공유주택 시장이 성장하면서 대기업도 진출하고 있다.
코오롱글로벌 자회사 코오롱하우스비전은 지난해 서울 강남구 역삼동에 ‘트리하우스’를 선보였다. 트리하우스는 8층, 총 72가구로 1~2가구를 겨냥했다. 건물 중간에 넓은 라운지를 둬 혼자 사는 집이지만 문밖을 나가면 카페에 온 것처럼 꾸몄다. 월 1회 침구 세탁과 방청소, 토요일 조식 무료 제공 등의 서비스가 제공된다. 지하 주차장에선 카셰어링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요가 러닝 아트클래스 시식시음행사 쿠킹클래스 등 여가활동 프로그램도 진행한다.
코오롱하우스비전 관계자는 “좋아하는 것을 찾아 경험하고 즐기는 삶에 익숙한 밀레니얼 세대의 라이프 스타일과 현재의 주거 형태가 맞지 않는 상황이 많다"며 “도시 내 많은 집들이 다인 가구 형태에 적합하고, 1인 가구를 위한 오피스텔 원룸은 주거 환경이 열악한 경우가 있다"고 말했다.
공유주택 ‘오아시스’를 운영하는 KJ주식회사 문 욱 대표도 “집값이 비싼 파리 런던처럼 임대료가 높은 지역일수록 공유주택 수요가 많아질 것”이라고 했다.
'MAMAA, 미래 ,ICBM'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렌드 분석] 2030이 2020년을 사는 법 (0) | 2020.01.08 |
---|---|
8K TV부터 플라잉 카, OTT까지…CES가 보여줄 미래는 (0) | 2020.01.07 |
[써보니] 애플 16형 맥북프로 “새로운 최고급 맥북” (0) | 2020.01.07 |
“AI와 인간 공존하는 미래” 솔트룩스, CES 2020서 공개 (0) | 2020.01.04 |
인간과 AI가 공존하는 세상 도래했다 (0) | 2020.01.03 |
2020년대를 주도할 비즈니스 트렌드는 ‘IMAGINE’ (0) | 2019.12.31 |
New bionics let us run, climb and dance | Hugh Herr (0) | 2019.12.28 |
Meet Spot, the robot dog that can run, hop and open doors | Marc Raibert (0) | 2019.12.28 |
[인터뷰] 천재 뇌과학자가 말하는 한국 인공지능의 미래 (0) | 2019.12.27 |
천재백수 니콜라 테슬라의 못다 이룬 무한에너지 꿈 (0) | 2019.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