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풍의 허와 실] ‘장풍 도사’ 오묘한 기운, 기자가 직접 체험해 보니…

최종수정 2018.09.11 10:23 기사입력 2018.09.11 09:37

무술에서 말하는 ‘장풍’ 아닌, 치유 위한 ‘운기방사’ 목적 강해
실제 온몸 관통하는 뜨거운 기운은 있으나, 신체 좌지우지할 만큼의 강력함은 없어 

[장풍의 허와 실] ‘장풍 도사’ 오묘한 기운, 기자가 직접 체험해 보니…




[아시아경제 김희윤 기자] 무협을 영어로 번역하면 ‘오리엔탈 판타지(oriental fantasy)’가 된다. 길쭉 뻗은 두 손에서 장풍이 나가고, 건물과 나무 위를 자유롭게 날아다니며, 손가락 몇 번 짚어내면 사람을 죽이고 살리는 무림고수의 모습은 서방세계엔 판타지로 알려졌지만 정작 그들이 발 딛고 사는 곳은 우리 생활 속 풍경이었다. 그런데 중국이 아닌 한국에도 오랜 수련을 통해 장풍을 날리는 도사가 있다. 그는 한사코 무술이 아니라 기공이며 장풍이 아니라 운기방사라 역설하지만, 세상은 그를 ‘장풍도사’라 부른다. 한국 토속기공을 주창하고 지금도 수련을 계속하고 있는 양운하 한국토속기공학회 회장을 직접 만나 장풍의 실체를 직접 확인해봤다. 

일본 아사히TV 출연 당시 동물원을 찾은 양 씨는 사자를 자신의 기(氣)를 통해 주저 앉히는 시연을 보여 화제가 된 바 있다. 사진 = TV 아사히 방송 화면 캡쳐
일본 아사히TV 출연 당시 동물원을 찾은 양 씨는 사자를 자신의 기(氣)를 통해 주저 앉히는 시연을 보여 화제가 된 바 있다. 사진 = TV 아사히 방송 화면 캡쳐


사자도 주저앉게 만드는 ‘기공’?
한때 일본으로 건너갈지 모른다던 기사를 마지막으로 한 그의 근황은 뜻밖에 강원도 춘천에서 멈춰있었다. 직접 그가 수련과 치료, 기공 지도를 한다는 수련원 건물을 찾아가 보니 생각보다 소박한 규모의 공간에 그의 수련장면을 촬영한 사진들과 인체 해부도가 벽면을 가득 메우고 있었다.

수련원 중앙에 걸려있는 그의 젊은 시절 사진은 머리 뒤로 하얗게 연기가 피어오른 다소 기묘한 장면의 포착이었다. “진짜 후광이 찍힌 거야. 사진사가 이상하다고 전화를 걸어왔더라고. 다른 사진은 안 그런데 이 사진에만 찍힌 거지.” 양 회장은 자신은 본래 무술을 해온 사람이며, 태권도, 활기도, 합기도, 쿵후 등 단수만 합쳐도 족히 수십 단이 넘는 지도자였지만, 22살 때 우연히 만난 스님의 조언을 듣고 기공에 입문해 오늘에 이르렀다고 이력을 설명한다.

1999년 일본 아사히TV는 그를 직접 찾아 한강을 사이에 두고 장풍을 쏘며 건너편 사람을 잇달아 쓰러트리는가 하면, 동물원 사자에게 기를 쏘아 말 그대로 ‘기선제압’ 시키는 광경을 방송에 내보내 큰 반향을 일으킨 바 있다. 하지만 그를 둘러싼 명성과 찬탄은 모두 과거형. 지금, 이 순간의 실증이 간절해졌다.

그는 운기방사를 시연할 때 몸에 힘을 빼라고 거듭 주문한다. 기는 태풍과 같은 바람이 아니라는 것. 일각에서는 그의 이런 반복적 주문과 암시가 실제 기의 방사가 아닌 최면의 일종이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한 바 있다. 사진 = 최종화 PD
그는 운기방사를 시연할 때 몸에 힘을 빼라고 거듭 주문한다. 기는 태풍과 같은 바람이 아니라는 것. 일각에서는 그의 이런 반복적 주문과 암시가 실제 기의 방사가 아닌 최면의 일종이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한 바 있다. 사진 = 최종화 PD


일종의 최면? 기운의 전이? 

먼저 양 회장은 현재 기 상태를 확인시켜주겠다며 지폐를 필자의 손바닥 위에 올려놓고 종이의 미세한 움직임을 감지하기 시작했다. 지폐 끝이 들려 올라가는 듯 보이자 그는 “상기(上氣)됐다”고 진단한다. 현대인이라면 누구나 갖고 있는 과중한 스트레스로 인해 기가 위로 몰려있어 마치 흥분해 얼굴이 달아오른 것처럼 그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는 것. 그는 이 같은 ‘상기’는 기를 적절히 자신의 상태에 맞게 운용하는 기공을 통해 풀어줘야 한다고 지적한다.

이윽고 그는 불신에 가득 찬 필자를 일으켜 세워 ‘흡기(기를 빨아들여 상대를 뒷걸음질 치게 함)’를 보여주겠다고 했다. 필자를 세워두고 연신 손짓을 반복하던 그가 수십 초간 같은 동작을 반복하자 신기하게도 몸이 뒤로 당겨지는 느낌과 함께 자연스럽게 뒤로 걸음을 내딛기 시작했다.

그래도 못 믿는 기색이 보이자 그는 전면에 필자를 세워두고 ‘운기방사(運氣放射, 세칭 장풍)’를 시연해 보였다. “버티지 마세요. 힘을 빼세요. 기는 태풍이 아닙니다.” 연신 힘을 빼라고 종용하는 그의 말소리에 되레 힘이 빠지나 싶었지만 분명 전신을 향해 느껴지는 자기장과 같은 미묘한 기운은 어느새 필자를 뒤로 고꾸라지게 만들었다. 

촬영 중인 PD까지 가세해 이번엔 치료를 위한 기공 동작을 선보이겠다고 나선 양 회장. 평소 허리가 좋지 않던 PD는 그가 기운을 주는 듯한 동작을 반복할수록 몸이 한쪽으로 서서히 기울기 시작했다. 필자 역시 치료를 위한 기공에서 오른쪽 팔이 들려 올라가는 기운을 경험한바, 이 미묘한 ‘기(氣)’의 세계에 할 말을 잃고 주저앉았다. 

양 씨는 기공은 무슬이 아닌 정신과 육체를 수련하는 하나의 운동에 가깝다고 강조한다. 다만 거듭된 수련을 통해 운기가 자유로운 사람이 타인에게 기를 불어 넣어줌으로 인한 기 치료는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사진 = 최종화 PD
양 씨는 기공은 무슬이 아닌 정신과 육체를 수련하는 하나의 운동에 가깝다고 강조한다. 다만 거듭된 수련을 통해 운기가 자유로운 사람이 타인에게 기를 불어 넣어줌으로 인한 기 치료는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사진 = 최종화 PD

무술 아닌 정신과 육체를 수련하는 운동일 뿐

뜨거운 듯한 기운이 몸을 감싸고돌며 신체의 한 부위가 저절로 움직이는 광경은 하나의 자연치유라고 설명하는 양 회장. 그렇다면 누구나 수련만 게을리하지 않으면 운기방사가 가능할까? 그는 단전이 열리며 기를 자유롭게 쓸 수 있어야 치료를 위한 방사도 가능한데, 수십 년째 제자를 양성해왔지만 운기방사가 가능한 사람은 손에 꼽기도 어려울 정도라며 손을 내저었다.

아울러 기공을 무술 또는 무도 수련의 한 분야로 오인하는 시각에 대해 기공은 무술이라기보다, 자기수양, 정신과 육체를 수련하는 하나의 운동임을 거듭 강조했다. “동작이 느리고 천천히 진행되다 보니 많은 분들이 기공수련이 쉬운 운동이라고 생각하지만, 30분만 동작을 따라 해 본다면 생각이 달라질 겁니다.” 그가 나서서 한 가지 동작을 시연하며 따라 해볼 것을 주문했다. 한눈에 봐도 어렵지 않은 다리 자세와 팔 동작이었지만, 따라한지 수 분 내에 땀이 나며 얼굴과 온 몸에 흐르기 시작했다. 필자와 PD를 넘어트리기 위해 가만히 서서 휘젓던 그의 상체 역시 이미 옷이 젖을 만큼 땀이 많이 나 있는 상태였다.

그는 기공을 통해 불치병 환자를 치료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필자와 촬영을 맡은 PD는 그로부터 ‘장풍’을 맞고, 치유를 위한 기 또한 받았으나, 실제 ‘치료’를 요할 만큼의 위중한 상태는 아니었으므로 기공으로 인한 치료적 효험을 입증할 수는 없었다. 

다만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언론을 통해 알려진 ‘장풍’의 과장된 묘기 대신, 사람이 느낄 수 있는 미묘한 주파수와 같은 기운은 분명 존재한다는 사실이었다. 양 회장은 연신 웃으며 말한다. “기는 눈에 보이지 않으니까 시각적으로 증명할 방법이 없어요. 다만 당사자가 느끼고 믿는 수밖에.” 그는 오늘도 자신의 수련원에서 느릿하지만 깊은 내공이 숨어있다는 토속기공 수련에 여념이 없다.



김희윤 기자 film4h@asiae.co.kr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