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 심리학과 상담 심리학
[ clinical psychology vs counseling psychology ]
- 임상 심리학과 상담 심리학은 모두 인간의 심리적 문제를 이해하고 심리적 건강과 적응 향상을 위해 개입, 연구, 교육, 자문 등에 관여하는 응용 심리학이다. 상담 심리학은 정상 발달 과정 동안 나타나는 적응 문제, 개인의 성장과 발달에 관한 심리 상담을 주로 다룬다. 임상 심리학은 다양한 정신 장애 및 심한 수준의 적응 문제를 다루며 심리 치료 외에도 심리 평가 및 진단, 예방, 재활 등을 포함한다.
주요용어 | 임상 심리학, 상담 심리학, 임상 심리학자, 상담 심리학자 |
---|---|
분류 | 임상 심리학 |
1. 개요
상담 심리학은 정상 발달 과정 동안 나타나는 적응 문제나 개인의 성장과 발달을 위한 심리 상담에 초점을 맞추며, 임상 심리학은 조현병, 우울, 불안, 중독, 성격 장애 등 정신 장애나 좀 더 심한 수준의 적응 문제를 다루기 위한 심리 치료와 평가 및 진단, 예방, 재활 등을 담당한다. 국내에서는 임상 심리학과 상담 심리학에 대해 별도의 자격 제도가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두 학문은 차이점보다는 개인 또는 집단이 겪는 심리적 문제를 이해하고 심리적 건강과 적응을 증진시키기 위한 개입, 연구, 교육, 자문 등에 관여하는 응용 심리학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이 더 많으며, 임상 심리학자와 상담 심리학자의 역할 및 활동 면에서도 사실상 중복되는 부분이 많다.
2. 서론
일반인들에게 “심리학”, “심리 상담”, “심리 치료”, “심리 검사(평가)”, “정신장애”등의 용어는 친숙할지라도 “임상 심리학과 상담 심리학”, “임상 심리학자와 상담 심리학자”를 명확히 구분하고 자신에게 필요한 심리 서비스를 선택하는 경우는 흔치 않다. 심지어 해당 분야의 전문가들조차 현실적으로 임상 심리학과 상담 심리학의 차이 또는 임상 심리학자와 상담 심리학자의 역할 및 업무 범위 등을 명확히 경계 짓고 구분하기란 어려운 일이다.
“임상(臨床, clinical)”이란 단어에서 알 수 있듯이 전통적으로 임상 심리학자들은 조현병, 우울, 불안, 중독, 성격 장애와 같은 정신 장애 환자들 또는 정신 장애 범주에 해당하지는 않더라도 심한 수준의 적응 문제를 겪는 내담자들을 대상으로 심리 평가와 심리 치료를 시행하고 이와 관련된 연구를 수행해 왔다. 그러나 근래에는 정신 장애 조기 발견, 예방, 재활 등을 평가하고 개입하고 연구하는 영역이 광범위해졌을 뿐만 아니라, 상담 심리학자, 학교 심리학자, 정신보건 간호사, 정신보건 사회복지사 등 다른 정신건강 전문가에 대한 자문, 그리고 법정 장면, 기업체, 국가 정신건강 정책 수립을 비롯한 지역사회 정신건강 분야에 대한 자문가로서의 역할 비중도 높아지고 있다.
또한 병원 장면에서는 정신건강의학과에 한정되지 않고 신경과, 재활의학과, 암 센터, 청소년과 등으로 활동 영역이 확대되었으며, 개인 심리 클리닉뿐만 아니라 정신건강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장면에서 임상 심리학자들을 채용하고 있다.
상담 심리학자들은 초창기에 직업 상담 및 자문가로 출발했으나 정상 발달 과정 동안 나타나는 적응 문제나 개인의 성장과 발달을 위한 심리 상담 등으로 점차 활동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http://www.div17.org). 상담 심리학자들 역시 지역사회 정신건강 전문가들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상담 교육, 기업체 내의 인간관계 자문 및 심리 교육 등 자문가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상담 및 심리 치료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다(http://www.krcpa.or.kr).
오늘날에는 이 두 영역 간의 차이점보다는 개인 또는 집단이 겪는 심리적 문제를 이해하고 심리적 건강과 적응을 증진시키기 위한 개입, 연구, 교육, 자문 등에 관여하는 응용 심리학이라는 공통 분모가 더 크다. 임상 심리학자와 상담 심리학자의 역할 및 활동 면에서도 실상 중복되는 부분이 많다. 특정 활동 영역에서는 임상 심리학자 또는 상담 심리학자가 선호되기도 하지만 이 두 자격 간의 기능이나 역할의 차이보다 더 중요한 점은 어떤 자격을 소지했든지 간에 해당 심리학자의 전문적인 역량, 직업 및 윤리 의식에 따라 제공되는 서비스의 질적 차이가 크다는 것이다.
3. 임상 심리학과 상담 심리학의 일반적인 공통점 및 차이점
일반적으로 임상 심리학과 상담 심리학의 주요 주제 및 활동 영역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권정혜, 2007; Trull, 2005; www.kcp.or.kr; www.krcpa.or.kr).
표 1. 임상 심리학과 상담 심리학의 주요 주제 및 활동 영역
임상 심리학 | 상담 심리학 | |
---|---|---|
주제 |
• 심리 치료 |
• 개인 및 집단을 대상으로 한 심리 상담 |
• 심리 평가 및 진단 |
• 심리 평가 | |
• 임상 심리 관련 연구 |
• 상담 및 심리 치료 관련 연구 | |
• 교육 및 수련 지도 감독 |
• 교육 및 수련 지도 감독 | |
• 임상 심리학적 자문 |
• 기업체 내의 인간관계 자문 및 교육 | |
활동 영역 |
• 병원 |
|
• 사설 치료기관 / 개업 활동 |
• 사설 치료기관 / 개업활동 | |
• 대학교(심리학과, 의과대학, 기타) |
• 대학교(심리학과, 기타) | |
• 대학 부설 연구소 및 학생 상담센터 |
• 대학 부설 연구소 및 학생 상담 센터 | |
• 기업 부설 센터 |
• 기업 부설 센터 | |
• 국공립 기관 |
• 국공립 기관 |
임상 심리학자와 상담 심리학자 모두 심리 치료 또는 심리 상담이 핵심 활동이다. 다만, 앞서 언급했듯이 임상 심리학자들은 심리 장애나 좀 더 심한 수준의 부적응을 겪는 내담자들을 주로 상대하는 반면, 상담 심리학자들은 더 가벼운 수준의 부적응을 겪는 내담자들을 상대할 때가 많다.
심리 평가 역시 두 영역 모두에서 사용되고 있다. 임상 심리학자들의 경우 심리 장애 진단을 목적으로 정신 병리, 인지 기능 및 신경 심리학적 기능, 정서 및 성격 등 심리 상태 전반에 대해 평가하며, 다양한 심리 검사는 물론이고 임상 면담 기법, 행동 평가 기법 등 체계적이고 방대한 심리 평가 기법을 개발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심리 평가는 임상 심리학자들의 고유 역할로 인식되어 왔다. 상담 심리학자들 역시 심리 평가를 사용하지만 면담을 통해 개인의 약점 및 강점에 대한 평가를 주로 하며 교육 평가, 직업 및 적성 평가 등을 더 많이 시행한다.
수련 과정이나 자격 취득 요건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국내에서는 임상심리 전문가(또는 정신보건임상심리사 1급)과 상담심리사 1급의 경우 세부 규정이나 방법에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심리학 석사 학위 이상 취득과 3년 이상의 수련을 거쳐 해당 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 다만, 임상심리 전문가(또는 정신보건임상심리사 1급)는 심리학과 대학원에서 임상 심리를 전공한 경우 자격 취득이 가능하나, 상담 심리사는 심리학과 외에 교육학과, 사회복지학과, 신학과 등에서 상담 심리를 전공한 경우에도 자격 취득이 가능하다. 또한 임상 심리 관련 주요 수련 기관은 정신건강의학과 병원이며 상담 심리 관련 주요 수련 기관은 상담 기관이라는 차이가 있다.
활동 영역 역시 많이 중첩된다. 임상 심리학자는 업무에서 심리 치료(27.3%)가 차지하는 비중만큼 심리 평가와 진단(26.0%)에 많이 관여하고 있으며, 병원 장면에서 근무하는 비율(30.7%)이 사설 치료 기관이나 상담센터에서 근무하는 비율(22%)보다 약간 높았다(권정혜, 2007). 미국에서는 경력 및 직업에 대한 상담과 평가 영역에 상담 심리학자들이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고 한다(Trull, 2005).
4. 국내의 임상 심리 및 상담 심리 관련 자격 제도
국내에서 시행되는 임상 및 상담 심리와 관련한 대표적인 자격 제도로는 임상심리 전문가, 정신보건임상심리사, 임상심리사, 상담심리사, 청소년상담사 등이 있다. 각 자격의 기본적인 특징 및 취득 과정은 다음과 같다. 다만, 해당 자격에 따라 자격 취득 요건(심리학 관련 학위 취득 여부, 인정 과목 이수 여부 등), 지정 수련 기관 조건, 수련 기간 및 시간, 자격 취득에 요구되는 수련 내용, 지도 감독 요건 등이 매우 다양하고 복잡하므로 구체적인 사항은 해당 자격 제도를 시행, 관장하는 기관의 홈페이지를 통해 상세히 확인해야 한다.
4.1 임상심리전문가(www.kcp.or.kr)
•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임상심리학회에서 인정하는 자격으로 임상 심리 관련 자격 제도 중 가장 역사가 오래되었음
• 응시 자격 및 자격 취득 절차
− 임상 심리학을 전공한 석사 학위 이상 소지자(임상심리 전공 인정 과목 이수)
− 석사 과정 이상에서 학회에 수련 등록
− 필수 수련 기관에서의 1년을 포함해 3년간(박사 과정생은 2년, 박사 학위 취득자는 1년) 임상심리전문가의 지도 감독 하에 연간 1000시간 지정된 수련 항목 이수
− 수련 이수 후 자격 심사, 필기 시험, 면접 시험을 거쳐 자격을 취득함
• 주요 수련 항목
− 심리 평가, 심리 치료, 사례 발표, 연구 논문 발표(유관 학술지 주저자로 1회 이상 연구 논문 발표), 윤리 교육, 학회 활동, 대외 협력 지원 사업 등
• 1973년 자격 제도가 시행된 이래 현재 903명의 임상심리전문가가 배출되었으며, 병원 장면은 물론이고 심리 클리닉 개업, 임상심리전문가, 기업체, 국가 공공기관, 연구소 등 광범위한 영역에서 활동하고 있음
• 임상심리 전문가 자격 소지자를 우대 조건으로 적용하는 기관이 다수 있음
4.2 정신보건임상심리사
• 정신보건법 제 7조 등에 근거해 보건복지부 장관이 부여하는 국가 자격 제도
• 급수 구분: 1급 및 2급
• 응시 자격 및 자격 취득 절차
표 2. 정신보건임상심리사 응시 자격과 취득 절차
정신보건임상심리사 1급 | 정신보건임상심리사 2급 |
---|---|
• 응시 자격: 다음 중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
• 응시 자격 다음 중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
• 자격 취득 절차 |
• 자격 취득 절차 |
• 주요 수련 항목
− 실습: 심리 평가, 개인 및 집단 심리 치료, 정신사회재활, 개별 사례 분석(지도감독) 등. 전체 실습 수련의 일부는 병원 장면과 지역사회 정신보건 기관 간에 교환수련으로 진행되어야 함
− 기타 이론 교육 및 학술 활동
• 인정 수련 기관
− 국공립 정신병원
− 전공의 수련기관으로 지정된 정신의료기관
− 정신요양시설, 사회복귀시설, 정신보건센터, 지역사회정신보건사업을 수행하는 보건소
− 위의 기관 중 정신보건임상심리사(1급)가 지도 감독자로 상근하는 기관
• 1997년 자격 제도가 시행된 이래 현재 2013년 현재 정신보건임상심리사 1급 842명 및 정신보건임상심리사 2급 1457명이 배출되었음.
• 최근 국가 공공기관(예: 법무부 산하 가정법원 및 보호관찰소, 병무청, 교통안전공단 등)에서 임상 심리학자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지원 자격에 정신보건임상심리사 자격 소지자를 명시하고 있음
• 자세한 자격 안내는 보건복지부에서 발행한 정신보건제도 운영 안내(2010) 참고
4.3 임상심리(http://www.q-net.or.kr)
• 국가자격기술법 시행 규칙에 의거해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
• 급수 구분: 1급 및 2급
• 응시 자격 및 취득 절차
표 3. 임상심리사 응시 자격 요건 및 시험 과목
급수 | 1급 | 2급 |
---|---|---|
응시 자격 |
다음 중 어느 한 항목에 해당하는 자 |
다음 중 어느 한 항목에 해당하는 자 |
시험 과목 및 합격 기준 |
■ 필기 시험 (5 과목, 시험시간 총 3시간) |
■ 필기 시험 (5 과목,시험시간 총 3시간) |
• 임상심리사 자격제도는 정신보건법의 적용을 받지 않는 지역사회 영역에서 국민의 심리적 적응을 위해 임상 심리학적 지식을 활용하여 심리 검사, 심리 치료 상담, 심리 재활, 심리 자문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자 도입된 자격 제도로 2급은 2003년 시행된 이래 1680명, 1급은 2009년 시행된 이래 31명이 배출되었음(2013년 5월 현재)
• 임상심리사 자격 제도는 다른 임상 심리학 관련 자격(임상심리 전문가, 정신보건임상심리사) 제도와 비교해 임상 심리 관련 실무 능력을 습득할 수 있는 실습 수련 기관 기준, 수련 과목 및 수련 시간, 지도 감독자 요건 등에 대해 체계적인 규정과 지침이 마련되어 있지 않음
4.4 상담심리사(http://www.krcpa.or.kr)
•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상담심리학회에서 인정하는 자격으로 현재 국내에서 가장 널리 인정하고 있는 상담 자격
• 급수 구분: 1급 및 2급
• 응시 자격 및 취득 절차
표 4. 상담심리사 응시 자격과 취득 절차
상담심리사 1급 | 상담심리사 2급 |
---|---|
• 학회 가입: 다음 중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
• 학회 가입: 다음 중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
• 상담 경력 및 과목 이수 충족 |
• 상담 경력 및 과목 이수 충족 |
• 자격 시험 응시 및 합격(필기 시험) |
• 자격 시험 응시 및 합격(필기 시험) |
• 최소 수련 내용 충족 |
• 최소 수련 내용 충족 |
• 자격 심사 청구 및 합격(서류 심사 및 면접 심사) |
• 자격 심사 청구 및 합격(서류 심사 및 면접 심사) |
• 자격 취득 |
• 자격 취득 |
• 주요 수련 항목
− 개인 상담, 집단 상담, 심리 평가, 공개 사례 발표, 상담 사례 연구 활동 및 1급 자격의 경우 학술 및 연구 활동(유관 학술지에 1편 이상 연구 논문 제출)
− 상담 경력은 수퍼바이저 자격을 보유한 1급 전문가의 감독 하에 상담 경력만 인정
− 자격 심사 청구를 위한 최소 수련 내용은 자격 검정 연도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해당 한국상담심리학회 홈페이지(http://www.krcpa.or.kr)를 반드시 참조할 것
• 2011년 3월 현재 상담심리사 1급은 749명, 2급은 2168명이 배출되었음
• 국내 상담기관 채용 시 상담심리사 자격 소지자를 우대하며 채용 시험 응시 자격에 상담심리사 자격증 소지자를 명시하는 경우도 있음
4.5 청소년상담사(http://www.youthcounselor.or.kr)
• 청소년기본법 제 22조 1항 등을 근거로 여성가족부 장관이 부여하는 국가자격제도
− 청소년 상담 관련 분야의 상담 실무 경력 및 기타 자격을 갖춘 자로서 청소년상담사 자격 시험에 합격하고, 자격 연수 100시간을 이수한 자
• 급수 구분: 1급, 2급 및 3급
• 응시 자격 및 급수별 역할
표 5. 청소년상담사 응시자격 및 급수 별 역할
급수 | 응시 자격 | 역할 |
---|---|---|
청소년상담사 1급 |
1. 대학원에서 청소년(지도)학·교육학·심리학·사회사업(복지)학·정신의학·아동(복지)학 분야 또는 그 밖에 여성가족부령으로 정하는 상담 관련 분야(이하 “상담 관련 분야”라 한다)의 박사 학위를 취득한 사람 |
• 청소년 상담을 주도하는 전문가(지도인력) |
청소년상담사 2급 |
1. 대학원에서 상담 관련 분야의 석사 학위를 취득한 사람 |
• 청소년 정신을 육성하는 청소년 상담사 (기간 인력) |
청소년상담사 3급 |
1. 대학 및 「평생교육법」에 따른 학력이 인정되는 평생교육시설의 상담 관련 분야 졸업(예정)자 |
• 유능한 청소년 상담사 (실행 인력) |
• 취득 절차
− 1단계: 청소년 상담사 시험 공고
− 2단계: 인터넷 교부 및 접수(www.q-net.or.kr)
− 3단계: 필기 시험
− 4단계: 서류 심사 - 졸업증명서, 상담 관련 학과 및 상담실무경력 증빙서류(해당자에 한함)
− 5 단계: 면접 시험 - 개별면접 또는 집단면접
− 6단계: 자격검정 합격자 발표
− 7단계: 자격검정 합격자 발표
− 8단계: 자격연수 – 합격자에 한해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에서 실시하는 100시간 연수
− 9단계: 자격증 교부
− 자세한 사항은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홈페이지 (https://www.kyci.or.kr/) 참고
• 청소년상담사 자격 제도는 청소년 상담 활동의 체계를 확립하고 청소년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전문적인 상담 인력을 확보하고 양질의 청소년 상담 서비스를 제공할 목적에서 3003년 제정된 이래, 2012년 12월 현재 1급 304명, 2급 2108명, 3급 3685 명이 배출되었음
• 청소년상담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복지시설, 청소년 쉼터, 청소년 문화관, 청소년 수련관 등에서 주로 활동하고 있으며 초, 중, 고등학교 상담교사들도 이 자격을 많이 취득하고 있음
5. 미국의 전문 심리학자 자격 제도
미국은 각 주의 법에 따라 업무의 범위와 역할에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각 주의 심리학 면허증 위원회에서 발급하는 전문심리학자(professional psychologist)라는 명칭으로 면허 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며, 이 면허를 취득한 사람만이 심리 치료 및 심리 평가 등의 심리학적 서비스를 독립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규정해 놓았다(http://www.kspope.com/licensing/index.php, 한국정신보건전문요원협회, 2011).
전문심리학자 면허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각 주의 심리학 면허증 위원회(Board)가 인정하는 교육 기관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거나 또는 박사 후 과정(postdoctoral course)을 이수하고 수련 기관에서의 임상 수련이 필요하며, 대개는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이하 APA)의 인준위원회(Committee on Accreditation)에서 인준을 받은 기관을 기준으로 정한다. 일반적으로 임상 심리학, 상담 심리학, 학교 심리학 전공의 대학원 과정 및 이러한 배경의 수련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인증이 이루어진다(표 6 참고).
또한 전문심리학자 면허 취득에 요구되는 공통 필기 시험[Examination for Professional Practice in Psychology(EPPP) sponsored by the Association of State and Provincial Psychology Board(ASPPB) (http://www.asppb.org/)] 과목 역시 임상 심리학 또는 상담 심리학으로 구분되기보다는 인간 행동에 대한 이해 및 개입 전반에 요구되는 광범위한 심리학적 주제와 전문가 윤리를 포함하고 있다(표 7 참고).
표 6. 미국의 전문심리학자 인증 수련 기관의 예
기관 | 예 |
---|---|
정신건강의학과 |
• Ancora Psychiatric Hospital Department of Psychological Services |
재활의학과 |
• University of Wisconsin Center for the Health Sciences Departments of Psychiatry and Rehabilitation Medicine |
일반 병원 |
• Veterans Affairs Puget Sound Health Care System-Seattle Division(formerly listed as Veterans Affairs Medical Center) |
학교 상담센터 |
• Center Washington University Student Counseling Services |
지역사회 정신보건센터 |
• Spokane Mental Health (formerly listed as Spokane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
학교 내 프로그램 |
• Nebraska Internship Consortium in Professional Psychology/Educational Psychology Department |
기타 기관 |
• Jewish Child Care Association of New York Residential Treatment Centers |
표 7. EPPP의 시험 내용 및 시험 비중(%)
- 행동의 생물학적 기초(Biological bases of behavior: 11%)
- 행동의 인지 및 정서적 기초(Cognitive & Affective bases of behavior: 13%)
- 행동의 사회 및 다문화적 기초(Social & Multicultural bases of behavior: 12%)
- 전생애 발달 및 성장(Growth & Lifespan development: 13%)
- 평가 및 진단(Assessment & Diagnosis: 14%)
- 치료, 개입 및 예방(Treatment, Intervention & Prevention: 15%)
- 연구 방법 및 통계(Research Methods & Statistics: 7%)
- 윤리, 법적, 전문가 관련 문제(Ethical/Legal/Professional Issues: 15%)
다만, 미국의 임상 심리학과 상담 심리학 박사 과정 프로그램 간에는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Trull, 2005).
• 인준받은 박사 과정 프로그램이 임상 심리학 분야(200개 이상)가 상담 심리학 분야(70개 이상)보다 3배 가량 많다.
• 대학원 입학 허가율은 비슷하지만 상담 심리학 프로그램보다 임상 심리학 프로그램에 2배 정도 많은 사람이 지원하며 대학원생 수도 임상 심리학 프로그램이 4배 가량 더 많다.
• 입학 허가된 학생들의 평균 GRE 점수를 보면, 임상 심리 분야가 상담 심리 분야보다 약간 더 높다.
• 소수 인종 및 다문화 관련 주제, 직업 검사 등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상담 심리 박사 과정 프로그램 교수들에 의해 더 많이 수행된다.
• 심리 장애, 임상 건강 심리 관련 주제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임상 심리 박사 과정 프로그램 교수들에 의해 더 많이 수행된다.
집필 : 이원혜(경희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참고문헌
- 권정혜(2007년). 한국 임상 심리학자들의 역할과 활동: 2007년 조사보고서. 한국심리학회지:임상, 27(3), 571-579.
- 보건복지부(2010년). 정신보건전문요원제도 운영 안내. 보건복지부. 정신건강정책과.
- 정신보건전문요원협회(2011년). 정신보건전문요원 수련기관 평가인증 및 보수교육 지침 개발 연구.
-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division 17. Society of Counseling Psychology
- 한국임상 심리학회
- 한국상담 심리학회
- 한국산업인력공단
-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 Trull, T. J. (2008년). Clinical Psychology, 7th edition. Cengage Learning (임상 심리학 제 7판) (권정혜, 강연욱, 이훈진, 김은정, 정경미 옮김).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전은 2005년에 출판).
- 출처
- 심리학용어사전, 2014. 4. 표제어 전체보기
- 제공처
- 한국심리학회 http://www.koreanpsychology.or.kr
- 심리학용어사전은 네이버와 한국심리학회가 공동기획하고 제작하는 콘텐츠입니다. 한국심리학회는 1946년 설립돼 현재 14개 분과에 17,000여 명의 회원이 속해 있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심리학 연구를 위한 학술 단체입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임상 심리학과 상담 심리학 [clinical psychology vs counseling psychology] (심리학용어사전, 2014. 4., 한국심리학회)
'天醫healing >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2부 언어가 나를 바꾼다 언어발달의 수수께끼 (0) | 2017.05.09 |
---|---|
무너진 영혼의 돌이킬 수 없는 선택 (0) | 2017.04.06 |
시간을 지배하는 사람이 되는 법 (0) | 2017.04.06 |
성격 심리학 (0) | 2017.04.06 |
대상 관계 이론 (0) | 2017.04.06 |
사랑이 28% 커지는 마법의 한 마디 (0) | 2017.01.06 |
[그림상담] '나무' 그림으로 알아보는 심리테스트 (0) | 2017.01.06 |
이것’을 공유하는 커플이 진짜 행복하다연인에게 나의 '이것'을 잘 알려줘야 하는 이유를 알아보자 (0) | 2017.01.06 |
프로이드 (0) | 2016.12.31 |
[CEO 심리학] 리더는 실현 불가능해도 `통큰` 미래가치 제시해야 (0) | 2016.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