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들이 세운 ‘증오비’를 아십니까
2000년 참전군인 단체 지원으로 세운 하미학살 위령비. 희생자 135명 명단 중엔 당시 돌도 지나지 않은 1967년생과 1968년생이 적지 않다. 사진가 이재갑 |
[토요판] 커버스토리
베트남전 민간인 학살의 업보
1930년대엔 만주에서1950년대엔 지리산에서
1960년대엔 베트남에서…
게릴라 접촉 기회 없앤다며
마을 깡그리 태우는 경우 많아 위안부 할머니 성금으로 세운
평화박물관이 장학사업 앞장
베트남평화의료연대는 진료활동
페이스북에서 자발적으로 모인
시민모임도 적극적 후원활동 “우리는 적에게 용감하고 무서운 한국군이 되자, 우리는 월남인에게 예의 바르고 친절한 따이한이 되자…”(주월한국군 참전 3훈5계 중) 실상은 그렇지 못했다. 한국군은 낯선 행성에 착륙한 우주비행사 같았다. 정글에선 희미한 길을 찾다 방향을 잃고, 마을에선 비밀 보급품 저장소를 찾기 위해 쌀항아리와 솥단지를 더듬어야 했다. 땅속에 미로처럼 파놓은 땅굴을 발견한 건 한참이 지나서였다.
1965년 한국군이 첫 전투부대를 파견했을 때부터 이미 남베트남에 거점을 둔 게릴라단체인 ‘베트남민족해방전선’(베트콩)은 주민들을 정치적으로 장악하고 있었다. 미군처럼 한국군 또한 적군과 민간인을 구분하기란 힘들었다. 경계는 때론 모호했고 주민들은 표변했다.
민간인 학살이 집중된 시기 중 하나는 1968년 1~2월 이른바 ‘구정 대공세’ 직후다. 지난 6월16일 세상을 떠난 팜티호아 할머니가 한국군의 공격으로 두 다리가 잘린 시점도 이때다. 1월31일 북베트남(월맹)과 베트남민족해방전선 쪽은 ‘휴전 기간’인 구정 때 14개 성의 주요 도시에서 대공세를 벌였다. 미군과 한국군은 곧바로 반격했지만 많은 희생자가 나면서 미국에서는 반전 여론이 커지고 전쟁의 주도권은 북베트남으로 넘어간다. 베트남민족해방전선에 대해서는 게릴라의 활동무대를 없애는 방식으로 전술이 바뀐다. 게릴라와 접촉할 기회를 차단하고자 주민들을 자연취락에서 소개해 재정착촌으로 이동시킨다.
이런 방침은 이미 1966년 주월한국군사령부가 펴낸 전훈집에 드러나 있었다. 부락은 “모든 적 활동의 근거지”이며 “게릴라의 보급, 인적자원 및 정보수집의 근원은 부락이며, 베트콩 하부구조의 기반은 부락과 주민”이라고 규정했다.
민간인 학살이 벌어진 마을 주민의 증언을 들어보면 그 방식은 무참했다. 과연 그럴 수 있었을까? 한홍구 성공회대 교수는 근현대사를 통과한 우리 국민에게 ‘극우반공주의’가 자리잡았다고 말한다. 한국전쟁 전후 형성된 분단체제와 내외부의 격한 대립 속에서 ‘빨갱이 처단’의 심리적 기제가 싹텄다. 잔혹한 일을 벌이면서도 죄의식은 중화될 수 있었다. 한 교수는 “특히 한국군이 공격당할 경우 보복심리가 크게 작용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살육의 역사를 기억하리라”는 등의 내용이 담겼던 위령비 뒤쪽 비문 자리. 참전군인 단체와 한국 정부가 비문 내용을 문제 삼고 베트남 정부가 압력을 가하자 연꽃 그림으로 가렸다. 사진가 이재갑 |
'역사관 > sun & mo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잠수함에 받혀 우현으로 활처럼 휘고 울퉁불퉁 튀어나온 세월호 (0) | 2014.08.24 |
---|---|
< 긴급 > 난리 났습니다 --큰 일 급히 알려주세요 [53] (0) | 2014.08.24 |
[단독] 세월호 CCTV 일시에 꺼졌다..영상 화면 입수 (0) | 2014.08.23 |
[미디어오늘] 천주교사제단 단식 미사 선언 [22] (0) | 2014.08.22 |
남경필의 사과가 '악어의 눈물'로 보이는 이유 (0) | 2014.08.19 |
[고승우 칼럼] 7.30 야권 참패와 종편의 숨은 역할 (0) | 2014.08.03 |
예수에게 부인이 있었다...4세기 문서 공개 파장 (0) | 2014.08.03 |
정청래 '안철수 얼룩' 삭제 주장/김어준 파파이스 [23] (0) | 2014.08.03 |
7.30 재보궐 선거도 확실한 개표조작입니다...( 수정본 ) [53 (0) | 2014.08.03 |
또 JTBC만 집중보도... 언론들이 이럴 순 없다!!! [41] (0) | 2014.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