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리뷰] 커넥팅랩 신간 도서, <사물인터넷>

IoT_BOOK


안녕하세요. 모바일 전문포럼 커넥팅랩(www.connectinglab.net)입니다.
커넥팅랩에서 2013년 <모바일 트렌드 2014>에 이이서, 두 번째 책 <사물인터넷>을 출간했습니다.  <모바일 트렌드 2015>도 10월경에 출간될 예정이니, 많은 기대바랍니다.

 

<저자 소개>

저자 : 커넥팅랩 www.connectinglab.net / 이메일 문의 : connectinglab.mobile@gmail.com

주요 IT기업의 실무자들이 참여하는 모바일 전문 포럼으로 통신사, 포털, 커머스, SNS, 증권사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참여하고 있다. 30여 명의 멤버들이 정기적인 세미나를 진행하고 있으며 IT 관련 지식 공유를 위해 칼럼 기고, IT 블로그 운영, 도서 출간 등의 다양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 편석준 / 現 착한텔레콤 Co-Founder, CSO 前 KT Product 및 Marketing 본부
현재 모바일 컨설팅 플랫폼 회사인 ‘착한텔레콤’의 서비스전략이사로 근무 중이며, 모바일 전문 포럼 커넥팅랩에서 칼럼니스트로도 활동 중이다. KT에서 LTE 요금할인 제도 및 위약금, 모바일 결합상품, LTE 요금제를 기획•출시했으며, 모바일 유통 업무도 수행했다. 지은 책으로는 IT경영서적인 《모바일 트렌드 2014》와 《LTE 신세계》, 소설집 《인간의 외로움에 대한 완벽한 분석》이 있다.

* 진현호 / 現 KT 홍보실
이동통신 주파수 전략 및 주파수 경매, WCDMA / LTE 네트워크 기술 등의 모바일 대외전략을 담당했으며 현재는 언론홍보를 담당하고 있다. 모바일 전문 포럼 커넥팅랩에서 편집장 및 칼럼니스트로도 활동 중 이다. 지은 책으로는 IT경영서적인 《모바일 트렌드 2014》가 있다.

* 정영호 / 現 KT 마케팅전략본부
사물인터넷과 미디어를 포함한 초연결시대 상품전략 및 모바일 데이터 신사업 기획 그리고 스마트패드 마케팅을 담당했다. 현재 모바일 요금 기획 업무를 담당하고 있으며, 모바일 전문 포럼 커넥팅랩에서 칼럼니스트로도 활동 중이다. 지은 책으로는 IT경영서적인 《스마트패드 생존전략》이 있다.

* 임정선 / 現 KT 경제경영연구소
3G에서 LTE까지의 진화, 스마트혁명을 영업 현장에서 전략까지 두루 담당하였으며, 현재는 ICT시장분석과 전략 업무를 맡고 있다. ICT시장 트렌드 및 소비자 이용행태 분석에 기반한 국내 사물인터넷 시장에 대한 연구를 꾸준히 수행 중이다. 지은 책으로는 IT경영서적인 《LTE 신세계》가 있다.

 

<리뷰>

“모바일 시대를 지나 사물인터넷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
지금 대처하지 않으면 아무리 잘 나가는 IT기업이라도
20년 후엔 생존하지 못할 수도 있다.” – 존 체임버스, 시스코 회장

 

세상이 변해도 너무 변했다. 20년 전에 인터넷이 대중화되기 시작하면서, 우리의 겉모습은 별로 달라지지 않았지만, 각 사람의 라이프스타일이나 생각, 비즈니스 방식과 관계 맺는 방식 등은 모두 변했다. 1년 동안 변하지 않는 것이 90%이고 변하는 것이 10%라고 하고, 매년 같은 속도로 변해간다고 하면, 20년이 지난 후에 변하지 않은 것은 10%만 남고, 나머지 90%는 모두 달라진 것들이다.

“미래는 이미 와 있다. 단지 널리 퍼져 있지 않을 뿐이다.”(The future is already here. It just has not spread out yet.) 윌리엄 깁슨의 유명한 말이다. 원래 변화는 그렇게 온다. 1년에 10% 정도씩 물갈이가 된다. 그래서 무서운 것이다.

지금까지의 온라인 혁명이 ‘인간’을 중심으로 한 스마트 시대였다면, 앞으로 펼쳐질 세상은 사물이 중심이 된 진정한 스마트 세상이 도래할 것이다. 스마트폰이 인간을 중심으로 하여 언제 어디서든 연결될 수 있는 상태를 만들어 주었다면, 사물인터넷은 인간 주변의 모든 사물을 연결하고, 인간과 상호 소통할 수 있도록 만들 것이다.

한마디로 인간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이 전면적으로 바뀌는 것이다. 그에 따라 인간의 사고방식도 변하고, 비즈니스도 달라질 수밖에 없다. 모바일 시대로 인해 많은 것들이 바뀌었듯이, 사물인터넷 시대에는 더더욱 혁명적인 변화가 일어날 것이다. 그 변화는 서서히 온다. 하루하루는 그냥 지나간다. 민감하지 않으면 1년이 지나도 무덤덤하다. 하지만 기회는 언제나 이 변화의 시기를 먼저 읽고 준비한 사람들에게 돌아갔다.

저자들은 모바일 업계의 최전선에서 뛰는 전문가들로서 현재 전 세계적으로 강력한 성장 동력으로 인정받고 있는 사물인터넷의 현재와 미래를 소개하고, 사물인터넷이 개인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를 구체적으로 다루었다. 특히 현재 출시된 다양한 종류의 사물인터넷 관련 상품들을 소개하면서 이미 그 혁명의 초입에 우리가 있음을 알린다.

아울러 비슷한 주제의 다른 책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차별화된 내용도 눈에 띈다. 저자들은 아이작 아시모프의 “로봇 3원칙”에 착안, 사물인터넷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데에 반드시 해결되어야 할 이슈들을 정리하여 “사물인터넷 4원칙”으로 정리하였다. 이 안에 사물인터넷과 관련된 다양한 포인트들이 잘 정리되어 있다.

현재 사물인터넷 산업을 위한 기본적인 인프라는 거의 완성 단계에 있다. 각종 정보 수집을 위한 센싱 기술도 발달하여 단순히 온도, 습도 등의 환경 정보뿐만 아니라, 심박수, 산소포화도, 얼굴, 홍채 등 생체 정보까지 더욱 다양한 정보를 정교하게 수집할 수 있게 되었으며, 사물인터넷 환경을 구축하는 데 필요한 부품의 원가도 기술의 발전에 따라 상당히 저렴해졌다.

이 책은 현재까지 사물인터넷에 관해 정리된 가장 최신의 정보를 담았으며, 이 분야 전문가뿐만 아니라 다가올 시대에 관한 새로운 아이디어에 목마른 비즈니스맨들에게 간결하고 핵심적인 지식을 제공할 것이다.

이제 인류는 10년 안에, 지난 50년간 겪은 변화보다 더한 변화를 겪게 될 것이며, 그 변화의 중심에는 사물인터넷이 있다. 지금 모든 비즈니스가 ‘인터넷’을 통하지 않으면 안 되듯이, 10년 후에 모든 비즈니스의 중심에는 바로 ‘사물인터넷’이 있을 것이다.

 

<책 속으로>

사물인터넷 시대는 흔히 ‘포스트 스마트폰’ 시대로 불린다. 사물인터넷의 목표는 인간의 개입 없이, 인터넷으로 연결된 사물들이 각자 ‘알아서’ 커뮤니케이션하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다.
구글은 네스트랩스를 인수하는 것으로 스마트폰 이후의 시대인 사물인터넷 시장에서 본격적인 행보를 시작했다. 사물인터넷의 핵심은 인간을 둘러싼 사물들이 서로 연결되면서 인간에게 새로운 편의 혹은 가치를 부여하는 것이다. 그런 측면에서 보자면 구글은 네스트랩스 인수를 통해 사물인터넷을 실현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기술(각종 센서를 이용한 환경 정보와 사용자 이용 패턴을 습득하고, 이를 바탕으로 스스로 움직이는 기술)을 확보하게 된 셈이다.

— “구글이 모토로라를 팔고, 네스트를 사들인 까닭은”(1장)에서 (p.27)

 

사물인터넷 시장이 주목받는 이유는 단순히 단말 수준에서의 경제적인 차원 때문만은 아니다. 각 사물이 연결되면서 주고받는 다양한 정보 자체에도 새롭고 무궁한 비즈니스 기회가 있기 때문이다.
홈에너지관리시스템이 설치된 가정을 예로 들어 보자. 시스템 설치 이전의 가정에서는 집 안의 조명이나 보일러, 가전기구를 켜고 끄는 정보는 수집할 수 없기 때문에 그냥 사라지는 정보였다. 하지만 사물인터넷 기술이 적용되면 이런 행동들까지도 수집이 가능하고 이를 기초로 연결하고 공유할 수 있게 된다. 집 안의 여러 기구를 켜고 끄는 정보를 바탕으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절감할 수 있는 길이 열리는 것이다.

— “구글이 모토로라를 팔고, 네스트를 사들인 까닭은”(1장)에서 (p.30)

 

사실 사물인터넷은 하루아침에 나온 말이 아니다. 이미 우리의 삶 곳곳에 사물인터넷이 포진해 있다. 현재 우리가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서비스는 버스정보시스템 BIS으로 버스를 이용할 때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이나 정류장의 전광판을 통해서 특정 버스가 정류장에 언제 도착하는지 알려 주는 편리한 서비스다. 이러한 버스정보시스템의 근간에는 사물인터넷이 있다. 버스에 GPS수신기와 무선 통신 장치를 설치하여 GPS 위성을 통해 해당 버스의 운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한 뒤, 버스의 위치, 운행 상태, 배차 간격, 도착 예정 시간 등의 정보를 제공해 시민들이 편리하게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 “사물에 입과 귀가 달리다”(3장)에서 (p.59)

 

자기 인식과 관련해서는 전자 문신과 같은 형태의 대체 수단이 나타날 수도 있다. 인체에 삽입 혹은 프린트된 전자 문신이 개인 ID정보나 각종 생체 정보를 수집?보유하면서 각종 사물과 연결 시 필요한 정보들을 교환하여 특정 명령을 행하는 것이다. 가령 전자 문신으로 문을 연다든지 돈을 지불하는 것도 가능하고, 병원에 들어서는 순간 심박수, 체온 등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여 곧바로 진단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영화에 나올 법한 먼 미래의 이야기 같지만, 이미 상당히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 “인간을 이해하는 인터넷: 사물인터넷이 만들 세상”(4장)에서 (p.79)

 

구글은 2013년 8월에 청진기처럼 의사를 보조하는 구글글래스 소프트웨어인 오그메딕스Augmedix를 200명의 의사에게 테스트하도록 했는데, 단 3명만이 구글글래스 착용에 반대했다. 그야말로 전폭적인 지지라 할 수 있다. 2013년 4월에는 구글글래스의 글래스 익스플로어Glass Explorer를 통해 수술 장면을 다른 의사의 집무실로 생중계하는 데 성공했다. 그리고 환자의 정보를 전송받거나 환자의 상태를 스캔해 바로 분석하는 것도 구글글래스를 통해 가능하기 때문에 진료의 효율성과 정확도를 높일 수도 있다.

— “헬스케어: 사물인터넷의 관문을 열다”(5장)에서 (p.91)

 

스마트카에 대한 열정은 자동차 업체뿐만 아니라 IT 기업들 또한 만만치 않게 뜨겁다. 스마트폰 시장을 주도했던 구글, 삼성전자, 애플 등은 이제 앞다투어 스마트카 경쟁에 뛰어들고 있다. 관련 업계와 외신 등이 미국 특허청의 스마트카 관련 특허 보유 현황을 조사한 결과, 2013년 말을 기준으로 구글이 310건, 삼성전자가 234건으로 자동차 업계가 아닌 IT업체가 1, 2위를 차지했다. 전통적으로 ‘기계공업의 꽃’이자 대표적인 제조 산업 중 하나였던 자동차 산업은 이제 더 이상 자동차 업체의 전유물이 아닌 것이다.

— “스마트카: 바퀴 달린 스마트폰”(6장)에서 (p.104)

 

2014년 3월, 페이스북은 오큘러스 VR Oculus VR을 23억 달러(약 2조 4,000억 원)에 인수한다고 밝혔다. 오큘러스는 머리에 쓰는 방식의 가상현실 시뮬레이터 ‘오큘러스 리프트’를 개발중인 회사인데 창업한 지 3년이 채 되지 않았다. 아직 정식 제품이 출시되기도 전이지만 페이스북은 이 분야에 미래가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페이스북은 오큘러스 VR을 인수하면서 “미래를 위한 새로운 플랫폼을 준비하기 위한 것”이라고 언급했다. 페이스북은 또한 “오큘러스로 탁월한 소셜 플랫폼을 만들어 낼 수 있으며 우리가 배우고, 놀고, 공유?소통하는 방식에 변화를 줄 수 있다”고 언급했다. 사물인터넷 시대에 통하는 새로운 플랫폼을 염두에 두고 있다는 의미다.

— “원칙 2 : 모든 사물은 표준어로 소통해야 한다”(11장)에서 (p.182)

 

구글의 전 회장, 에릭 슈미트는 “만약 다른 사람들에게 알려지는 것을 원치 않는다면 어디에도 그 내용을 기록해서는 안 된다”라는 말을 했다. 진정 다른 사람들이 자신의 정보를 알 수 없게 하려면 어떤 내용도 인터넷에 올려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아예 사용하지 말라는 말과도 같다. 이렇다면 자신의 정보가 수집되는 횟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줄어들 것이다. 여기에 버스와 지하철을 현금으로 이용하고 카드를 사용하지 않으면 나에 대한 정보는 거의 사라진다. 하지만 모든 거리마다 존재하는 CCTV는 어쩔 것인가?

— “원칙 3 : 모든 사물에는 자물쇠가 채워져야 한다”(12장)에서 (p.198)

 

스마트폰 시대까지는 상품 기획자가 시장조사를 통해 상품을 기획출시하고 출시 전후에 광고를 했다. 하지만 사물인터넷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리면 ‘조사-기획-출시-광고’의 과정은 모두 하나로 통합된다. 처음부터 그 상품이 어떤 고객군에게 팔릴지 알고 있기 때문이다. 나중에는 우수한 데이터를 많이 가지고 있는 기업은 광고뿐 아니라 제조까지 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보면 구글 나우는 단순히 개인비서에 ‘불과한’ 서비스가 아니라 먼 미래의 비즈니스까지 계산하여 내놓은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 “씽즈 사피엔스 시대의 도래”(14장)에서 (p.211)

 

씽즈 사피언스 시대에는 사람이 언제 불편함을 느끼는지, 또 어떤 것이 개선되면 좋겠다고 생각하는지 정확히 파악한 다음 상품과 서비스가 만들어진다. 그러므로 데이터 과학자는 가장 창조적인 직업 중 하나가 될 것이다. 기존 상품이 추상적으로 트렌드를 파악한 다음 사람들에게 마케팅을 하는 것이라면, 데이터 과학자가 만든 상품은 정확한 시나리오를 토대로 나온 창조적인 작품이다.

— “씽즈 사피언스 시대의 사회상”(15장)에서 (p.221)

 

유엔미래포럼이 내놓은 《유엔미래보고서 2040》을 보면 2015년 이후에는 자동차 보험회사가 아예 사라질 수도 있다는 의견을 내놓는다. 물론, 다소 앞서 나간 전망처럼 보이긴 하지만 그때가 오면 단순히 보험설계사가 직업을 잃는 수준이 아닐 것이다.
가령 무인자동차 보급이 확대되면 보험사의 역할을 제조사가 대신할 수도 있다. 현재는 사고가 나면 보험사에서 블랙박스를 떼어가지만, 향후에는 자동차 자체가 블랙박스가 될 것이다. 자동차에 관한 모든 것이 분석 가능한 데이터로 남으면, 사고수습도 자동화되고 보험 상품마저 자동 기획될 수 있기 때문이다. 자동차에 관한 데이터는 이제 IT기업이 되기로 결심한 자동차 제조사가 가장 많이 보유할 가능성이 있다.
박영숙 유엔미래포럼 대표는 한 잡지와의 인터뷰에서 삼성이 보유한 기술도 80~90%가 사양산업군에 속하는 것이라며 혁신이 없다면 ‘삼성전자, 한국전력, 포스코, 현대기아자동차’도 소멸 후보군에 들어간다고 했다.

— “씽즈 사피언스 시대의 사회상”(15장)에서 (p.225)


<목차>

추천사
프롤로그 : 2035년, 어느 신혼부부의 저녁


1부. 가만있어도 알아서 움직이는 인터넷

1장. 구글이 모토로라를 팔고, 네스트를 사들인 까닭은 25
구글, 포스트 스마트폰 시대를 향해 칼을 뽑다 25
왜 모두가 사물인터넷을 주목하는가? 28
한눈에 보는 사물인터넷의 역사 33
거대 가전?IT 기업들, 사물인터넷에 눈을 뜨다 36
이동통신사들의 움직임 39

2장. 사물이 기저귀를 갈고, 화분에 물을 주는 세상 43
자기 건강은 스스로 지킨다: 헬스케어 분야 44
우리 집과 내 생활이 스마트해진다: 생활 분야 49
이제 열쇠는 옵션: 보안 분야 52
스마트하게 키워라: 육아 분야 55

3장. 사물에 입과 귀가 달리다 59
우리는 이미 사물인터넷 세상에 살고 있다 59
이 세 가지가 빠지면 사물인터넷이 아니다 61
사물인터넷의 기술적 구성 요소 63

4장. 인간을 이해하는 인터넷 : 사물인터넷이 만들 세상 75
사람의 개입이 줄어들면서 편해지는 세계(비개입성) 76
말하지 않아도 나를 알아주는 세계(자기인식) 77
나를 둘러싼 모든 것이 연결되는 세계(연결성) 80


2부. 사물인터넷, 일상이 된다

5장. 헬스케어 : 사물인터넷의 관문을 열다 85
고령화 시대의 또 하나의 가족, 사물인터넷 86
우리 몸의 식스센스가 되기 위한 IT 기업들의 전략 89
숨은 강자들 95
필연적으로 열리는 시장,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97

6장. 스마트카 : 바퀴 달린 스마트폰 103
자동차인가? IT제품인가? 104
스마트카, 무엇이 달라지는가 105
애플과 구글의 Next Big Thing, 스마트카 111
통신 네트워크의 새로운 고객, 자동차 113
스마트카, 애프터마켓을 잡아라 116

7장. 스마트홈 : 우리 집은 로봇이다 119
사물인터넷 세계의 떠오르는 스타, 스마트홈 120
우리의 생활은 어떻게 바뀔까 123
스마트홈 사파리에서 누가 왕이 될 것인가 132
스마트홈의 미래 135

8장. 스마트시티 : 스마트의 마지막 단계 139
왜 도시까지 스마트해야 하는 걸까 140
스마트시티 시장 현황 141
세계 각국의 스마트시티 추진 사례 142
스마트시티는 어떻게 도시를 스마트하게 만드는가 144
미래의 도시 149


3부. 사물인터넷 4원칙

9장. 로봇 3원칙과 사물인터넷 4원칙 155
다시 보는 로봇공학 3원칙 155
사물인터넷 0원칙 157

10장. 원칙 1 : 모든 사물은 지속적으로 호흡 가능해야 한다 161
사물인터넷의 허파와 산소 : 저전력과 무선충전 162
사물인터넷의 오감 : 센서 164
유기적 통합 166
통신 주파수 이슈 167

11장. 원칙 2 : 모든 사물은 표준어로 소통해야 한다 171
사물인터넷에 왜 플랫폼이 중요한가 172
플랫폼을 지배하게 될 자는 누구인가 174
과연 어떤 플랫폼이 성공하게 될까 184

12장. 원칙 3 : 모든 사물에는 자물쇠가 채워져야 한다 189
정보의 본인결정권을 지켜라 189
연결될수록 위험도는 높아진다 192
또 다른 재앙 : 빅데이터와 사물인터넷의 지속적인 융합 194
사물인터넷을 ON하기 위해서는 우선 OFF부터 가능해야 한다 198
데이터에 대한 소유권 vs. 개인정보 소유권 200

13장. 원칙 4 : 사물인터넷이 제공하는 가치가 개인정보보다 뛰어나야 한다 203
왜 사람들은 스스로 자기 정보를 공개하는가 203
사물인터넷 시대, 개인은 국가보다 기업을 더 신뢰한다 205


4부. 호모 사피엔스에서 씽즈 사피언스로

14장. 씽즈 사피엔스 시대의 도래 209
전자 비서가 의사 결정하는 시대 210
클라우드 너머, 새로운 신의 탄생 213
지혜를 가진 사물의 등장 215

15장. 씽즈 사피엔스 시대의 사회상 219
비즈니스의 방식 자체가 바뀐다 219
창의성이란 모든 것을 연결하는 것이다 222
이제 모든 기업이 IT 기업이 될 것이다 224
모라베크의 역설 228
‘직업’은 사라지고 ‘일’만 남는다 230
사회 안전망 확충에 적극 활용되다 233
사물인터넷과 공존하는 길, 인간의 상상 235


에필로그 : 창조경제의 가장 좋은 엔진, 사물인터넷
부록 : 사물인터넷 강국의 길, 전문가에게 묻다

참고문헌

 

<추천사>

이 책은 사물인터넷의 본질을 놓치지 않으면서도 이를 위해 우리가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명쾌하고 심도 있게 담아내고 있다.
유태열 | KT 경제경영연구소 소장

저자들이 아시모프의 ‘로봇공학 3원칙’에 빗대어 설명한 ‘사물인터넷 4원칙’은 앞으로 포스트 스마트폰 시대를 살아가야 할 우리에게 선명한 기준을 제시해준다.
이봉규 | 연세대학교 교수, 한국인터넷정보학회장

빠르면 5년 안에 맞이하게 될 ‘新 접속시대’에 과연 우리 사회의 화두는 무엇이 될 것인가? 이 책은 다가올 시대를 가늠케 하는 나침반이다.
신동흔 | [조선일보] 산업2부 차장

현장에서 발로 뛰는 실무자들이 집필한 만큼 그들의 땀 냄새와 현장감이 행간에 흠뻑 배어 있다.
사물인터넷이 가져올 미래 생활상의 변화가 궁금하다면 이 책을 읽어보라.
손해용 | [중앙일보] 기자

저자들은 이 책에서 단순히 사물인터넷이 무엇인가를 말하려는 것이 아니라 사물인터넷이 바꾸어놓을 세상에 대한 인사이트를 던지고 있다.
김석기 | (주)모폰웨어러블스 대표이사, 前 로아컨설팅 이사

사물인터넷이 불러올 거대한 변화의 물결 속에서 그 본질과 이슈가 무엇이며 개인이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를 알기 쉽게 풀어주는 좋은 지침서가 될 것이다.
김용진 | 모다정보통신 부사장

 

본서는 전국 온프라인 서점에서 만나실 수 있습니다.
-예스24
-인터넷 교보문고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