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65) (게송)약이색견아~ / 일념(一念)단속 / 삼요(三要) / 생사가 호흡지간(呼吸之間)에 있다.
〇지금 세계 인구가 56억이라고 하는데 그 많은 인간들이 정말 무상(無常)을 느끼고, 정법을 믿고, '참나'를 깨닫기 위해서 정진하는 사람이 그 몇 분의 일이 되겠습니까?
이 자리에 모이신 여러 도반(道伴)들은 그 56억 가운데에서 정말 선택된 도반들이고, 우리에게는 생사해탈(生死解脫)의 길을 향해서 가는 일 밖에는 없습니다.
〇일체처(一切處) 일체시(一切時)에 자기의 본참공안을 놓치지 않고 알뜰히 단속해 나가면 우리는 이 생사 속에 살면서도 영원을 살아가는 길로 가고 있는 것입니다.
**송담스님(No. 765)—2014(갑오년) 동안거 해제 및 백일기도 회향(02.14) 15분.
약 15분.
약이색견아(若以色見我)하고 이음성구아(以音聲求我)
시인행사도(是人行邪道)니라 불능견여래(不能見如來)니라
나~무~아~미~타~불~
약이색견아(若以色見我) 이음성구아(以音聲求我).
만약 색상(色相)으로써 나를 보거나, 음성(音聲)으로써 나를 구하면,
시인(是人)은 행사도(行邪道)라, 불능견여래(不能見如來)니라.
이 사람은 사도(邪道)를 행함이라, 여래(如來)를 보지 못할 것이다.
금강경(金剛經)에 있는 게송을 읊었습니다.
오늘 갑오년 정월 15일 해제일(解制日)입니다.
석 달 전 10월 15일에 결제(結制)를 해 가지고 오늘 해제 법요식을 갖게 됩니다. 이 자리에는 다 비구∙비구니∙사미∙사미니∙청신사∙청신녀 여러분이 모이셨습니다.
같이 결제 법요식을 갖고 석 달 동안을 조실스님 법문을 들으면서 열심히 정진(精進)을 해왔습니다.
오늘 석 달이 지난 뒤에 해제일을 맞이해서 우리 도반들이 그 동안에 석 달 동안을 어떻게 정진을 했는가. 서로 얼굴을 마주보기 위해서 이 법당에 모였습니다.
우리는 눈을 통해서 모든 것을 보고, 귀를 통해서 모든 말을 듣고, 육근(六根)을 통해서 육진(六塵)을 만나면 거기서 육식(六識)이 발동을 하는데,
남자나 여자나, 노인이나 젊은 사람이나, 부자나 가난한 사람이나, 유식하거나 무식하거나 상관없이 우리는 육근을 통해서—부모 뱃속에서 태어난 이래로 오늘까지—살아오고 있습니다.
‘어떻게 사느냐?’는—각자 그 사람의 신심(信心)과 업(業)에 따라서 살아가겠는데, ‘어떻게 사느냐?’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한 것입니다.
특히 정법(正法)을 믿고 정진을 하는 사람은 한 생각, 한 생각 눈을 통해서 귀를 통해서 모든 것을 접할 때—그리 따라가면 생사(生死)의 길로 가는 것이고—눈으로 무엇을 보자마자 그 찰나(剎那)에 자기로 돌아오는 것입니다.
‘이뭣고~?’ 자기로 돌아오는 사람은 남이 봄에는 똑같이 밥 먹고, 잠자고, 앉고 서고 하지만은 이렇게 정진을 ‘한 생각’한 사람이 깨달음을 향해서 가는 것입니다.
그래서 정진하는 사람은 ‘일념(一念)을 어떻게 단속(團束)하느냐’가 깨달음을 가져 오느냐,
일념단속을 시원치 않게 해 가지고 다시 끝없는 육도(六途)를 윤회(輪廻)하느냐, 거기에 달려있는 것입니다.
사람은 잘나나 못나나 다 생로병사(生老病死)가 있고, 우주 법계는 성주괴공(成住壞空)이 있고, 우리의 마음은 생주이멸(生住異滅)이 있습니다.
그 속에서 우리는 일생을 살아가는데 많이 산 사람은 100살도 살고, 중간쯤 산 사람은 7~80에 가기도 하고, 3~40에 가기도 하고, 어려서 가기도 합니다.
그런데 정법을 믿지 않고 그럭저럭 산 사람은 이 타고나기 어려운 사람 몸을 받아 가지고서도 거의 동물에 가깝게 일생을 살다가 가는 것입니다.
지금 세계 인구가 56억이라고 하는데 그 많은 인간들이 정말 무상(無常)을 느끼고, 정법을 믿고, '참나'를 깨닫기 위해서 정진하는 사람이 그 몇 분의 일이 되겠습니까?
이 자리에 모이신 여러 도반(道伴)들은 그 56억 가운데에서 정말 선택된 도반들이고, 우리에게는 생사해탈(生死解脫)의 길을 향해서 가는 일 밖에는 없습니다.
오늘 이 자리에 모이신 여러 도반들께 내가 와서 무슨 말을 할 말이 있겠습니까?
여러분은 이미 정법을 믿고 수행을 하는 도반들이라,
내가 늙어서 여러분께 할 말은 우리 수행하는 사람에게는 삼요(三要)가 있는데, 신심(信心)과 분심(憤心)과 의단(疑團) 이것이 삼요라 하는데, 무엇을 믿느냐?
‘나도 삼세제불(三世諸佛)과 역대 조사(祖師)와 같은 똑같은 자성(自性)을 가지고 있다’고 하는 것을 철저히 믿어야 하는 것입니다.
그 신심이 철저해야 그 다음에는 ‘내가 왜 여태까지 불조(佛祖)와 같은 자성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오늘날까지 깨닫지 못하고 있는가’ 그것에 대한 분심(憤心)이 가슴에 꽉 차 있어야 합니다.
그 분심이 없으면 공부한다고 해도 앉으면 꾸벅꾸벅 졸면서 시간을 채우는 것인데, 그 분심이 철저해야 저절로 혼침(昏沈)도 달아나고 일 초 일 초를 마음 단속하는데에 철저하게 되는 것입니다.
첫째 신심이 있어야 하고, 그 다음에 분심이 있어야 하고, 세번째는 우리가 닦아가는 본참공안(本參公案)인 것입니다.
본참공안, 대부분 ‘이뭣고~?’를 하시는 분이 많으실 것이고, 여러분 가운데에는 ‘무(無)자’ 화두를 하는 분도 있을 것이고, 또는 ‘만법귀일 일귀하처(萬法歸一 一歸何處)’를 하시는 분도 있을 것입니다만은,
어떠한 공안, 어떠한 화두를 가지고 한다 하더라도 한번 결정을 하고 어떤 선지식(善知識)한테 화두를 탓으면 공부가 잘 되어가거나 잘 안 되거나 그 화두를 자꾸 바꾸면 안 되는 것입니다.
다못 자기의 본참화두에 대한 의단이 투철해야 하는 것입니다.
이 화두는 이론으로 따져 들어가는 것이 아니고 다못 알 수 없는 의심으로 ‘이뭣고~?’
‘이뭣고~?’ 해 갈수록 알 수가 없어야지, 알아 들어가는 것이 있고 이론적으로 더듬어 들어가면 공부를 잘못 해가는 것입니다.
신심과 분심과 의단이 독로(獨露)하도록 잡드리하는 것 밖에는 우리는 할 일이 없는 것입니다.
밥을 먹거나, 옷을 입거나, 화장실에 가거나, 목욕탕에 가거나, 도량 소지(掃地)를 하거나 또는 밭에 나가서 운력(運力)을 하거나,
일체처(一切處) 일체시(一切時)에 자기의 본참공안을 놓치지 않고 알뜰히 단속해 나가면 우리는 이 생사 속에 살면서도 영원을 살아가는 길로 가고 있는 것입니다.
우리는 이 세상에 왔다가 살 만큼 살다가 가는데, 한 사람도 안 죽고 몇백 년 사는 사람은 없습니다.
우리는 살아 있으면서도 생사(生死)가, 죽음이 일 호흡지간(呼吸之間)에 있는 것입니다.
숨 한 번 내쉬었다가 들어마시지 못하면 바로 그것이 내생(來生)인 것입니다.
다행히 우리는 부모한테 이 몸을 받아나가지고 또 좋은 인연이 있어서 불법을 만났고, 불법 가운데서도 최상승법(最上乘法)인 활구참선법(活句參禪法)을 우리는 닦아가고 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여러 가지 다행스런 좋은 여건하에 이 몸을 받아서 오늘날까지 왔으니 앞으로 3년을 살런지 10년을 살런지 한 달을 살런지 그건 살아봐야 알지 모르는 것입니다만은,
일단은 한 생각 눈을 통해서 무엇을 볼 때 ‘이뭣고~?’. 귀를 통해서 무슨 소리를 들어도 ‘이뭣고~?’.
일체처 일체시에 화두 단속을 열심히 하는 것 밖에는 우리가 살아가는 길은 없습니다.
세상이 언제 원자탄이 터져서 잿더미가 될런지, 우리는 우리 스스로 교통 사고로 죽을런지, 병으로 죽을런지 그건 아무도 모르는 것입니다.
그러기 때문에 우리는 이만큼 건강할 때 어쨌든지 화두 단속을 열심히 해 나가는 것 뿐인 것입니다.
오늘 비록 해제일을 맞이해서 해제 법요식을 갖고 있습니다만은 해제는 ‘석 달 동안 정진하느라고 애썼으니까 이제 푹 좀 쉬어야겠다, 잠도 좀 실컷 자야겠다, 가고 싶은데 여행도 좀 해야겠다’ 그럴 겨를이 없습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여행할 일도 있고, 해야 할 일도 있겠으나, 언제 어디서 무엇을 하거나 간에 자기의 본참공안을 놓치지 않으면 누워 있어도 그것이 정진이요, 일을 할 때도 그것이 정진인 것입니다.
우리는 그것 밖에는 ‘이 세상을 어떻게 살아가느냐, 어떻게 알뜰하게 사느냐?’하는 것은 화두 단속을 철저히 하는 그 일 밖에는 없는 것입니다.
오늘 해제일을 맞이해서 조실스님의 그 우렁찬 법문을 우리는 다같이 들었습니다.
산승이 여러분께 더 할 말이 없습니다.
앞으로 결제까지 또 석 달이 남아있습니다마는 지난 석 달 동안 지낸 것보단 해제 동안을 정말 알뜰히 단속을 해서 정진하실 것을 우리 다같이 명심을 하고 다음 여름 결제날 또 만나게 될 것을 기약을 하면서 말씀을 맺고자 합니다.(박수)(처음~14분27초)(끝)
---------------------
*(게송) ‘약이색견아~’ ; [금강경(金剛經)] 법신비상분(法身非相分) 사구게(四句偈).
*색상(色相) ; 육안(肉眼)으로 볼 수 있는 모든 물질의 형상.
*여래(如來) : 부처님 10호의 하나。 범어 Tathagata의 역(譯).
여(如)는 진여(眞如)의 뜻이니 곧 진여로부터 나타나 오신 각자(覺者)의 뜻。 또 여거여래(如去如來)의 뜻으로서 여여부동(如如不動)하게 사바세계에 오셔서 중생의 근기에 응하신 까닭에 여래(如來)라고 함.
금강경에는 좇아온 곳이 없고 또한 돌아갈 곳이 없으므로 여래라고 이름한다 했음.
*금강경(金剛經) ; 금강경의 완전한 이름은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 또는 [능단금강반야바라밀경(能斷金剛般若波羅蜜經)].
금강(金剛)은 단단하고 날카로움을 뜻하는 다이아몬드를 가리키며, 반야(般若)는 지혜를, 바라밀(波羅蜜)은 저편 언덕으로 건너는 것, 즉 열반에 이른다는 바라밀다(波羅蜜多)의 줄임말이다.
풀이하면 ‘금강석처럼 견고한 지혜를 얻어 열반에 이르라는 부처의 말씀’을 뜻하는 것이다.
「금강경」은 부처님과 수보리의 문답으로 전개되어, 공(空)사상에 입각하여 집착 없이 보살행을 실천하는 일을 중심 내용으로 대승불교의 기본 사상을 함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해제(解制 풀 해,만들•법도 제) ; ①(안거)를 마침. ②재계(齋戒)하던 것을 그만두고 풂.
*결제(結制 맺을 결,만들•법도 제) ; 참선 수행하는 안거(安居)에 들어감. 하안거는 음력 4월 15일에 결제하며, 동안거는 음력 10월 15일에 결제한다.
*정진(精進) ; ①정성을 다하여 노력해 나아감. ②잡념을 버리고 불법(佛法)을 깨우치기 위해 수행에 힘씀.
*육근(六根) : 육식(六識)의 소의(所依)가 되어 육식을 일으켜 대상을 인식케 하는 근원이다。곧 눈(眼) • 귀(耳) • 코(鼻) • 혀(舌) • 몸(身) • 뜻(意)의 여섯 가지 기관(器官)을 말한다。
*육진(六塵) ; 색(色), 성(聲), 향(香), 미(味), 촉(觸), 법(法)의 육경(六境)과 같음. 이것은 마음을 더럽히므로 진(塵)이라 함.
*육식(六識) ; 안(眼)·이(耳)·비(鼻)·설(舌)·신(身)·의(意)의 육근(六根)으로 각각 색(色)·성(聲)·향(香)·미(味)·촉(觸)·법(法)의 육경(六境)을 식별하는 안식(眼識)·이식(耳識)·비식(鼻識)·설식(舌識)·
①안식(眼識). 시각 기관〔眼〕으로 시각 대상〔色〕을 식별하는 마음 작용.
②이식(耳識). 청각 기관〔耳〕으로 청각 대상〔聲〕을 식별하는 마음 작용.
③비식(鼻識). 후각 기관〔鼻〕으로 후각 대상〔香〕을 식별하는 마음 작용.
④설식(舌識). 미각 기관〔舌〕으로 미각 대상〔味〕을 식별하는 마음 작용.
⑤신식(身識). 촉각 기관〔身〕으로 촉각 대상〔觸〕을 식별하는 마음 작용.
⑥의식(意識). 의식 기능〔意〕으로 의식 내용〔法〕을 식별·인식하는 마음 작용.
*정법(正法) ; ①올바른 진리. ②올바른 진리의 가르침. 부처님의 가르침. ③부처님의 가르침이 올바르게 세상에 행해지는 기간.
*찰나(剎那 절•짧은시간 찰,어찌 나) ; 어떤 일이나 현상이 이루어지는 바로 그때.
*단속(團束) ; ①주의를 기울여 다그쳐 보살핌. ②규칙, 법령, 명령 등을 어기지 않게 통제함.
*육도(六途, 六道) ; 중생이 선악(善惡)의 업(業:의지에 기초한 행위)에 의하여 생사 윤회하는 여섯 가지의 세계. 지옥도(地獄道), 아귀도(餓鬼道), 축생도(畜生道), 아수라도(阿修羅道), 인간도(人間道), 천상도(天上道)가 있다.
*윤회(輪廻) ; 수레바퀴가 끊임없이 구르는 것과 같이, 중생이 번뇌와 업에 의하여 삼계 육도(三界六道)의 생사 세계를 그치지 아니하고 돌고 도는 일.
*생로병사(生老病死) ; 중생이 반드시 겪어야 하는 네 가지 고통. 곧, 나고, 늙고, 병들고, 죽는 일.
*성주괴공(成住壞空) : 세상의 모든 것은 크나 작으나 다 변화의 과정을 밟게 된다.
곧 성립되어 가는 과정, 안정(安定)하여 진행하는 과정, 쇠퇴하여 가는 과정, 멸망하여 없어지는 과정이 반드시 있게 된다. 모든 물질도, 우리 몸도 사회도, 국가도, 세계 전체도 다 그렇게 된다.
이것을 성주괴공(成住壞空)이니, 생주이멸(生住異滅)이니, 생로병사(生老病死)니 하는데, 그 원인은 우리의 마음 속에 생각이 쉴 새 없이 일어났다 꺼졌다 하기 때문이다.
*생주이멸(生住異滅) ; 모든 사물이 생기고(生), 머물고(住), 변화하고(異), 소멸함(滅). 또는 그런 현상.
*무상(無常) ; 모든 현상은 계속하여 나고 없어지고 변하여 그대로인 것이 없음. 온갖 것들이 변해가며 조금도 머물러 있지 않는 것. 변해감. 덧없음. 영원성이 없는 것.
*도반(道伴) ; 함께 불도(佛道)를 수행하는 벗. 불법(佛法)을 닦으면서 사귄 벗.
*생사해탈(生死解脫) ; 생사(生死)를 떠나 깨달음의 세계에 드는 것.
*삼요(三要) : 참선하는데 갖추어야 할 세 가지 요건. 첫째는 큰 신심(大信心)이요, 둘째는 큰 분심(大憤心)이요, 세째는 큰 의심(大疑心)이다.
*신심(信心) : ‘내가 바로 부처다’ 따라서 부처는 밖에서 구하는 것이 아니요, 일체처 일체시에 언제나 이 몸뚱이 끌고 다니는 주인공, 이 소소영령한 바로 이놈에 즉해서 화두를 거각함으로써 거기에서 자성불(自性佛)을 철견을 해야 한다는 믿음.
*분심(憤心) : 과거에 모든 부처님과 도인들은 진즉 확철대오를 해서 중생 제도를 하고 계시는데, 나는 왜 여태까지 일대사를 해결 못하고 생사윤회를 하고 있는가. 내가 이래 가지고 어찌 방일하게 지낼 수 있겠는가. 속에서부터 넘쳐 흐르는 대분심이 있어야. 분심이 있어야 용기가 나는 것이다.
*의심(疑心) : ‘이 몸뚱이 끌고 다니는 이놈이 무엇인고?’ ‘이뭣고?’ ‘이놈’이 무엇이길래 무량겁을 두고 수 없는 생사를 거듭하면서 오늘 지금 이 자리까지 왔는가? ‘대관절 이놈이 무엇이냐?’ 자기의 본참화두에 대한 의심이, 지어서 드는 것이 아니라 속에서부터 저절로 들려지게 해야.
*의단(疑團 의심할 의, 덩어리 단) ; 공안•화두에 대한 알 수 없는 의심(疑心)의 덩어리(團).
*삼세(三世) : [범] trayo - dhvanah 과거 • 현재 • 미래, 또는 전생 • 금생 • 내생을 말한다.
*자성(自性) ; ①사물 그 자체의 본성. 본성 ②본래부터 저절로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
*혼침(昏沈 어두울 혼,잠길 침) ; 정신이 미혹(迷惑)하고 흐리멍덩함.
*본참공안(本參公案) : 생사(生死)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타파해야 할 자기의 화두(공안)로써 자기가 믿어지는 바른 선지식으로부터 받아서 참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무자(無字) ; 분류 ‘화두(공안)’ 참고.
*만법귀일 일귀하처(萬法歸一 一歸何處) ; 화두(공안)의 하나.
어떤 스님이 조주에게 물었다. “만법(萬法)이 하나로 돌아가는데 그 하나는 어느 곳으로 돌아갑니까?”
조주는 말했다. “내가 청주에 있을 때 베 장삼을 하나 만들었는데, 무게가 일곱 근이었다.”
僧問。萬法歸一一歸何所。師云。老僧在青州作得一領布衫重七斤。
僧問趙州 '萬法歸一一歸何處' 州云 '我在靑州作一領布衫重七斤' [벽암록(碧巖錄)] 제45칙.
*선지식(善知識) ; 부처의 가르침으로 인도하는 덕이 높은 스승. 수행에 도움이 되는 지도자. 좋은 벗.
*독로(獨露 홀로•오로지 독,드러날 로) ; 홀로(獨) 드러나다(露)
*소지(掃地) ; ①마당(땅)을 쓸다. ②청소.
*운력(運力) ; '함께 힘을 기울인다'는 의미. '많은 사람이 구름같이 모여서 일을 한다'는 의미로 운력(雲力)이라고도 하며, '여러 사람들이 힘을 합하여 하는 일'이란 우리말 '울력'과 같다.
의미와 관계없이 운력(運力)은 사찰에서 대중들이 모여 육체적인 노동을 함께 한다는 뜻.
*내생(來生) ; 죽은 후에 다시 맞이한다는 미래의 삶.
*최상승법(最上乘法)=활구참선법(活句參禪法)=간화선(
*활구참선(活句參禪) ; 선지식(스승)으로부터 화두•공안(公案) 하나를 받아서[본참공안] 이론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다못 꽉 막힌 알 수 없는 의심(疑心)으로 화두를 참구(參究)해 나가 화두(공안)을 타파하여 견성성불(見性成佛)하는 참선법(參禪法). 참선을 하려면 활구참선을 해야 한다.
참선의 다른 경향으로 사구참선(死句參禪)이 있는데, 사구참선은 참선을 이론적으로 이리저리 따져서 분석하고, 종합하고, 비교하고, 또 적용해 보고, 이리해서 공안 또는 화두(話頭)를 부처님 경전이나 조사어록에 있는 말씀을 인용하여 이론적으로 따지고 더듬어서 알아 들어가려고 하는 그러한 참선인데, 이것은 죽은 참선입니다. 1700공안을 낱낱이 그런 식으로 따져서 그럴싸한 해답을 얻어놨댔자 중생심이요 사량심이라, 그걸 가지고서는 생사해탈은 못하는 것입니다.
생사윤회가 중생의 사량심(思量心)으로 인해서 일어난 것인데 사량심을 치성하게 해 가지고 어떻게 생사를 면할 수가 있겠습니까?
출처: https://emokko.tistory.com/218 [용화선원 법문듣기]
'氣가 세상을 움직인다 > 명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우주(인간)와 우주에너지】 (0) | 2020.05.12 |
---|---|
태양 명상요가 글 모음 (0) | 2020.05.12 |
NASA | Magnificent Eruption in Full HD (0) | 2020.05.12 |
달마동굴과 초조암 (0) | 2020.05.12 |
『金剛經』 (0) | 2020.05.11 |
응무소주 이생기심 (應無所主 而生其心) 경허선사가 (0) | 2020.05.10 |
응무소주 이생기심(應無所住 而生其心) (0) | 2020.05.10 |
금강반야바라밀경 원문과 해석 금강경 독송 영인스님 (0) | 2020.05.10 |
달마 대사는 왜 소림굴서 9년 면벽했나 (0) | 2020.05.09 |
[불교의 리더십을 말한다] 한국불교대학 대관음사 회주 우학 스님 (0) | 2020.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