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정의가 ‘JP’라 부르는 남자, AI·로봇벤처 사냥 나선다

인쇄기사 보관함(스크랩)
이준표 소프트뱅크벤처스 대표는 ‘추진력이 뛰어난 전략가’라는 평을 듣는다. 그는 ’투자할 기업을 고를 때 창업가가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재미있게 일할 사람인지를 중요하게 본다“고 말했다. [김상선 기자]

이준표 소프트뱅크벤처스 대표는 ‘추진력이 뛰어난 전략가’라는 평을 듣는다. 그는 ’투자할 기업을 고를 때 창업가가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재미있게 일할 사람인지를 중요하게 본다“고 말했다. [김상선 기자]

“JP, 인생은 짧은 거야.”

이준표 소프트뱅크벤처스 새 대표
KAIST 다닐 때 만든 SW 팔려고
소프트뱅크에 전화한 게 첫 인연

3년 전 본격 합류해 유망벤처 발굴
네이버 자회사 ‘스노우’ 등에 투자

최근 만난 손 회장 “인생은 짧다”며
글로벌 스타트업 과감한 투자 주문

 
벤처캐피탈 소프트뱅크벤처스의 이준표(36) 신임 대표는 지난주 일본 도쿄에서 손정의(61) 소프트뱅크그룹 회장을 만나 이런 얘길 들었다고 했다. 이 대표는 “손상(손 회장)이 자신이 살아온 이야기를 하며 ‘라이프 이즈 쇼트(Life is short)’라고 한 얘기가 마음에 꽂혔다”며 “겁내지 말고 과감하게 도전하고, 실행하는 게 중요하다는 얘기였다”라고 말했다.

 
지난달 초 소프트뱅크벤처스 대표에 선임된 이준표 대표를 최근 서울 서초동 사무실에서 만났다. 2000년 설립된 소프트뱅크벤처스가 16년만에 새 대표를 맞았다. 20년 가까이 국내 IT산업에서 넥슨·태터앤미디어·썬데이토즈·엔써즈·코빗 같은 주요 기업들을 발굴해온 대표적인 VC에 새 바람이 불고 있단 얘기다.

 
이는 2년 전 ‘60세 은퇴’ 계획을 뒤집고 현역으로 나선 손정의 회장의 행보와 무관치 않다. 그동안 소프트뱅크벤처스를 이끈 문규학(54) 전 대표는 손 회장의 1000억 달러(107조 6600억원)짜리 ‘비전펀드’ 아시아 투자 총괄로 자릴 옮겼고, 100% 자회사인 VC에는 이 대표가 CEO로 선임됐다. 지난달 15일 월스트리트저널 등에 따르면 손정의 회장은 제2의 비전펀드를 곧 출범하겠다고 밝히며 대담한 투자 행보를 예고했다.
 
이준표 대표는“소프트뱅크벤처스는 그룹 내에서 유일하게 초기 단계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조직”이라며 “올해부터는 국내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 벤처 투자, 특히 기술벤처에 대한 투자를 가장 잘하는 VC가 되어야 한다는 계획을 세웠다”고 말했다. 그런 측면에서 이 대표가 이 계획을 실행에 옮길 적임자로 꼽힌다.

 
소프트뱅크벤처스는 어떤 회사
● 설립 : 2000년 2월(누적 230곳 투자)
● 운용펀드 규모 : 6228억원(2018년 5월말 기준)
● 주요 투자회수 기업 : 태터앤미디어(구글 인수), 넥슨(일본증시 상장), 선데이토즈·데브시스터즈(국내증시 상장), 엔써즈(KT 인수), 드라마피버(소프트뱅크 인수), 헬로네이처(SK플래닛 인수), 코빗(넥슨 NXC 인수)
● 현재 주요 투자사 : 스노우차이나(중국), 하이퍼커넥트(한국), 블랭크(한국), 미씩(미국), 아이유노(싱가폴), 플레이사이트(이스라엘), 피쉬브레인(스웨덴) 등 90곳
2015년 소프트뱅크벤처스에 합류한 그는 최근 3년간 주요 글로벌 스타트업 투자를 이끌었다. 특히, 2016년 네이버와 손잡고 결성한 1470억원 규모의 ‘넥스트 미디어 이노베이션 펀드’를 운용하면서 인공지능(AI)·미디어콘텐트 분야의 국내외 스타트업들을 찾아 다녔다. ‘아시아의 스냅챗’으로 불린 네이버 자회사 스노우(Snow)의 중국법인인 스노우차이나에 소프트뱅크와 실리콘밸리의 세쿼이아캐피탈이 올해 초 5000만 달러(약 535억원)를 투자한 데는 이 대표의 역할이 컸다. 그가 스노우를 소프트뱅크 본사에 소개하면서 투자가 이뤄졌다.

 
이외에도 소프트뱅크벤처스는 콘텐트 현지화 전문기업인 ‘아이유노’(싱가포르), AI로 신약을 개발하는 ‘투자아’(미국), AI 기반의 동영상 기술기업 ‘어레이’(미국) 등 해외 스타트업을 왕성하게 발굴하고 있다. 그는 “소프트뱅크그룹과 비전펀드가 찾고 있는 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로보틱스 분야에서 글로벌 수준에서 잘하는 스타트업이 관심 대상”이라고 말했다.

 
그런 점에서 그는 “투자할 스타트업이 소프트뱅크그룹의 기존 투자사나 자회사들과 시너지를 낼 수 있을지 염두에 두고 있다”고 강조했다. 예를 들어, 올해 3월 투자한 미국 AI 반도체 기업 미씩(Mythic)의 이사회에는 반도체 설계기업 ARM의 사장급 임원이 참여하기로 했다. ARM은 소프트뱅크그룹이 2년 전 234억 파운드(약 35조 원)를 들여 인수해 화제가 됐다.

 
이 대표는 “앞으로 이런 사례를 더 많이 만들려고 한다”고 말했다. 비전펀드나 소프트뱅크그룹 본사에서도 스타트업 투자 검토를 소프트뱅크벤처스에 요청하는 경우가 많다.

 
게임 이외에도 글로벌 시장에서 관심을 받고 성공할 만한 한국 스타트업들이 많이 있을까. 이 대표는 “한국에서 출발한 기업도 핵심 기술과 시장을 잘 결합하면 글로벌하게 성장할 수 있다는 사실을 내가 경험으로 깨우쳤다”고 말했다.

 
그 스스로가 창업가 출신이다. 대전 대덕연구단지에서 자란 이 대표는 중학생 때부터 소프트웨어를 개발해 팔았다.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 빌 게이츠가 쓴 책을 보며 창업을 궁리하던 시절이었다. 이 대표는 “그때부터 내가 만든 기술과 제품을 전 세계 사람들이 쓰게 해야겠다는 생각을 줄곧 했다”며 “곰TV·엔써즈 같은 뛰어난 미디어 기술기업에서 일하면서 확신을 얻었다”고 말했다.

 
그는 KAIST 3학년 때 소프트웨어 개발사 ‘에빅사’를 창업했다. 미국 스탠퍼드대 주최 창업가정신 학회(ASES)에서 만난 미국인 친구를 설득해 대전으로 불러 들였다. 그때 만든 소프트웨어를 팔겠다고 무작정 소프트뱅크코리아 자회사에 전화를 걸었다가 첫 투자를 소프트뱅크벤처스에서 받았다. 첫 창업 회사를 매각한 후 동영상 미디어 기업 곰TV 기획본부장을 거쳐 엔써즈를 공동창업했다. 엔써즈는 동영상·음성·이미지 검색기술 기업으로, 2011년 KT에 매각된 후 다시 재매각을 거쳐 현재는 미국 조사업체 닐슨 산하에 있다.

 
그는 기술 벤처를 찾아 다니지만 “기술이 전부는 아니다”고 강조했다. “뛰어난 기술로 아무도 안 쓰는 제품을 만든다면 의미가 없다”는 것이다. 그는 “인공지능을 직접 개발하진 못해도 이미 있는 기술들을 잘 버무려서 요리하는 능력, 사용자가 돈 내서 사고 싶게 만드는 제품을 만드는 능력을 갖춘 ‘크리에이터’ 같은 창업자들을 열심히 만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의 창업 생태계에 대해서도 이 대표는 “예전보다 창업하기 점점 더 좋아지고 있다”며 “뛰어난 인재들이 창업에 더 많이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비전펀드에서 투자한 회사들이 아시아에 올 때 한국을 절대 패스(건너뛰기)하지 않는다”며 “시장 규모는 작지만, 누구보다 빠르게 제품과 사업을 구현하고 흡수하는 한국은 글로벌 시장으로 가는 징검다리로 삼기 좋은 시장”이라고 덧붙였다.

 
◆이준표(36) 소프트뱅크벤처스(SBVK) 대표
유년시절 미국에서 보내고 귀국한 후 줄곧 대전에서 자란 대덕키즈다. 중학생 때부터 창업을 꿈꾸다가 KAIST 전산학과 재학 중이던 2002년 소프트웨어 개발사 ‘에빅사’를 창업했다. 대학은 3학년까지 다니다 중퇴했다. 그는 “즐겁고 도전할 만한 일을 쫓다 보니 대학 졸업장은 별로 신경쓰지 않았다”고 말한다. 곰TV(그레텍) 기획본부장을 거쳐 동영상 검색 기업 ‘엔써즈’를 공동창업했다. 2011년 엔써즈를 KT에 매각한 후 2014년까지 엔써즈 전략담당 부사장으로 일했다.

 

박수련 기자 park.suryon@joongang.co.kr


[출처: 중앙일보] 손정의가 ‘JP’라 부르는 남자, AI·로봇벤처 사냥 나선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