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포의가성비 드론…초강대국들도 떤다

 

인쇄기사 보관함(스크랩)

[SPECIAL REPORT] 중동 유전 테러, 드론의 공포

드론은 이제 전략무기다. 군사력 게임체인저가 됐다. 지난 14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석유 기지에 대한 드론 공격으로 원유 생산량이 하루 570만 배럴 줄었다. 중동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인 예멘의 후티 반군은 자신들의 소행이라고 주장했다. 미국과 사우디는 이란의 개입을 의심하고 있다. 드론이 강대국과 약소국 간 군사 비대칭 전력을 해소할 수단으로 떠오른 셈이다.
 

사우디 석유기지 공격 충격파
미국 본토 공격도 배제 못 해
레이더·대공포 등 활용해 방어
단거리 방공 시스템 개발 관심

‘21세기 전쟁이론가’인 피터 싱어 새로운미국재단(NAF) 펠로우는 중앙SUNDAY에 보낸 e-메일에서 “드론같이 값싸고 효과적인 공격 수단을 마련하는 데 진입장벽이 낮아졌다”며 “첨단 무기는 미국 등 소수 강대국만의 것이었는데, 이제는 가난한 나라도 공중을 통해 보복 공격을 할 수 있게 됐다”라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는 상대가 드론이나 해킹을 통해 미국 본토를 공격할 수 있다”며 “미국 같은 강대국조차 자국 이익을 관철하기 위해 전쟁을 하기는 갈수록 어려워질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유엔 등에 따르면 현재 20개가 넘는 나라와 테러 조직이 군사용 드론을 보유하고 있다.
 
현대전에서 군사용 드론을 가장 먼저 도입한 나라는 미국이다. 미국은 2001년 아프가니스탄 전쟁을 계기로 정찰용으로 활용하던 MQ-1 프레데터에 헬파이어 미사일을 달고 알카에다를 공격했다. 그 후속인 MQ-9 리퍼는 2011년 이후 리비아 내전, 이슬람국가(IS)와의 전쟁 등에서 맹활약했다. 리퍼는 헬파이어 미사일 4방을 달고 14시간 이상 하늘을 날 수 있는 전폭 18m의 대형 드론이다.
 
미국은 영국 등 몇몇 동맹국을 제외하고 다른 나라에 무장 드론을 판매하지 않는다. 이 틈새를 중국이 파고들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에 따르면 이라크와 요르단은 중국 국영기업인 중국항공우주과기집단공사(CASC)가 개발한 ‘CH-4B 레인보우’를, UAE는 중국 청두항공기공업그룹이 개발한 ‘윙룽(翼龍)’을 사들였다. 미사일을 최대 480㎏까지 실을 수 있는 윙룽2는 리퍼와 맞먹는 크기다.
 
이란과 예멘 반군 등은 자체 개발에 나섰다. 후티 반군은 자체 개발한 콰세프(Qasef) 드론으로 사우디를 공격했다고 주장했다. 유엔 예멘전문가패널은 지난해 보고서에서 “후티 반군이 외부에서 조달한 부품을 조립해 드론을 만들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전폭 3m인 신형 아바빌-T 드론은 최고 40kg의 폭탄을 탑재하고 수백㎞를 날아 공격할 수 있다.
 
이렇게 드론 전쟁이 격화하자 ‘안티드론’ 기술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민간 분야에서는 드론에 방해 전파를 발사해 조종할 수 없게 하는 소프트킬 방식이 주로 쓰인다. 산탄총이나 레이저 등으로 드론을 격추하거나 그물을 쏘아 포획하는 하드킬 방식도 있다. 인천공항과 김포공항에는 안티드론 시스템을 내년까지 갖출 예정이다. 시장조사업체 마켓앤마켓은 지난해 5억 달러이던 안티드론 시장 규모는 연평균 28%씩 성장해 2024년 23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급박한 상황이 이어지는 군사 분야에서는 레이더와 대공포를 활용해 드론을 격추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국산 자주대공포 ‘K-30 비호’가 2017년 드론 격추에 성공하는 동영상이 공개되면서 가장 효율적인 단거리방공시스템(SHORAD)으로 재평가 받고 있다. 비호는 초음속으로 접근하는 제트전투기를 상대하기에 역부족이라는 비판이 많았다. 한화 관계자는 “비호는 3㎞에서 3m 크기, 1㎞에서 1m 크기의 목표를 명중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춰 효과적으로 드론 공격에 대응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방위사업청은 지난 6월 “현재 개발 중인 차세대 국지방공레이더와 연동하면 북한 무인기 등에 대한 저고도 방공능력이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밀리터리 전문가 최현호 씨는 “드론의 위협이 커질수록 현대전에 적합하지 않다는 평을 들었던 대공포 기반의 단거리방공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늘어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김창우·강남규·최윤신 기자 changwoo.kim@joongang.co.kr

관련기사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