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공명자기장분석기(QRMA) - 이론과 원리

'양자공명자기장분석기'(QRMA)를 통한 건강측정의 효율성은 매우 큽니다.

우선 비용적인 측면에서 보면 기존의 10분의 1수준이고, 시간적인 측면에서도 10분정도면 측정이 끝납니다. 

그리고 제일 중요한 정확성의 측면에서는 원리 자체가 인체가 발생하는 고유의 전자기파를 측정하여 각

기관의 건강상태를 분석하는 것이기 때문에 어느 기기보다 정확합니다.  

다만, 한 가지 단점이라고 한다면 어떤 처방을 받고 처치를 하고 있는 경우 '정상'으로 측정이 된다는 것인데,

이는 처치를 통해 인체 고유의 전자기파가 정상적인 상태로 발생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QRMA를 통한 건강 측정치의 정확한 이해와 이에 대한 활용을 위해서는,  

이와 관련된 '양자의 이론적 사항'과 '기기의 측정 원리'에 대한 이해가 매우 중요합니다. 

다음은 QRMA와 관련한 '양자이론'과 '측정원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양자이론

 

'양자공명자기장분석기'의 이론적 뒷받침을 해주고 있는 '양자'에 대한 각 분야별 연구 자료입니다.

자세한 사항은 <첨부화일>을 참조하십시요.

 

(1) THE CONCEPTUAL BASIS OF QUANTUM FIELD THEORY_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대학교

 

 

 

(2) QUANTUM UNIVERSE_미국 NSF  

 

(3) QUANTUM MECHANICS(양자역학에 대한 강의 컨텐츠)_영국 임페리얼 칼리지_Martin Plenio 

   

(4) 양자역학의 철학적 이해_이상욱 (한양대 철학과)

                                          

 

 

'양자공명자기장분석기'(QRMA)의 원리

 

자기모멘트를 가진 입자의 에너지준위가 정자기장 속에서 분리되어 있을 때, 그 입자는 ‘라머세차운동’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러한 운동의 진동수에 따라 진동자기장(또는 전자기파) 사이에는 ‘공명현상’이

생기게 됩니다.

 

따라서 입자의 이러한 현상을 이용해 원자에 대한 자기모멘트의 크기를 정확하게 알 수 있으며, 나아가

자기모멘트를 이미 알고 있는 원자핵을 이용해 물질의 미시적인 성질을 파악할 수 있는데,

이를 ‘양자공명’ 또는 ‘자기공명’이라고 합니다.

 

‘양자공명자기장분석기’(QRMA)는 이러한 양자공명 또는 자기공명의 원리를 이용하여 인체가 발생하는

고유의 전자기파를 측정하여 건강상태를 분석할 수 있는 기기입니다.

 

<측정 시 주의사항> 

 

QRMA는 인체에서 발생하는 매우 미세한 진동파를 감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측정시 다음과 같은 주의가

필요합니다.  

 

- 자기파를 이용하므로 측정 시 휴대하고 있는 금속물(휴대폰, 목걸이, 반지, 시계 등)은 반드시 제거해

   주십시오. 

 

- 측정 시에는 말씀을 하지 마십시오. 

 

- 몸을 편안하게 하시고 검사봉만 왼손으로 부드럽게 잡으십시오. 

 

- 측정 1시간 전에는 가능하면 음식물을 드시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간혹 예민하신 분들은 파동을 느끼시는 분도 있습니다만 안심하셔도 됩니다.

 

<측정되는 분석항목>  

 

QRMA는 다음과 같이 양성과 음성으로 해당자의 건강을 분석합니다. 음성은 지극히 정상을 의미하는

것이고 양성은 몸에 이상이 있음을 나타냅니다.

그리고 양성의 경우는 3가지로 나타나게 되는데,

+는 경미한 양성, ++는 주의가 필요한 양성, 그리고 +++는 매우 주의가 필요한 양성의 경우입니다.

 

QRMA를 사용하여 측정되는 분석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남성 : 심뇌혈관, 위장, 간장, 담, 췌장, 신장, 폐, 뇌신경, 골병증, 뼈밀도, 풍습성골병증, 혈당, 기본체질,

            인체독소, 미량원소, 전립선, 남성기능, 피부, 내분비기능, 면역기능, 아미노산, 인체요소 분석 및

            종합보고서

 

- 여성 : 심뇌혈관, 위장, 간장, 담, 췌장, 신장, 폐, 뇌신경, 골병증, 뼈밀도, 풍습성골병증, 혈당, 기본체질,

            인체독소, 미량원소, 아미노산, 내분비기능, 면역기능, 산부인과, 피부, 유방, 인체요소 분석 및

            종합보고서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