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를 보다] 허블망원경, 게 성운 속 '뛰는 심장'을 보다
서울신문 입력 2016.07.08. 14:41 수정 2016.07.08. 14:41
[서울신문 나우뉴스]
천체에 심장이 있어 두근두근 박동이 뛴다면 이같은 모습일까?
지난 7일(현지시간) 미 항공우주국(NASA)은 유럽우주국(ESA)과 공동운영하는 허블우주망원경으로 촬영한 환상적인 성운의 모습을 공개했다.
붉게 빛나고, 빠르게 회전하는 가스에 둘러싸여 있는 이 성운의 이름은 마치 게딱지와 비슷하게 생겼다고 해서 ‘게성운’(Crab Nebula)이라 불린다. 공개된 사진이 게의 모습처럼 보이지 않는 이유는 과거와 달리 허블이 그 중심의 내부를 들여다봤기 때문이다.
![](http://t1.daumcdn.net/news/201607/08/seoul/20160708144104157fvfg.jpg)
지구에서 약 6500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게 성운은 초신성 폭발로 생긴 잔여물이다. 일반적으로 별은 생에 마지막 순간 남은 ‘연료’를 모두 태우며 순간적으로 대폭발을 일으킨다. 이를 초신성 폭발이라고 부르며 이 때 자신의 물질을 우주공간으로 방출하는데 게 모습은 바로 그 흔적인 셈이다.
![](http://t1.daumcdn.net/news/201607/08/seoul/20160708144104463ywmn.jpg)
이번에 공개된 사진이 흥미로운 것은 게 성운의 중심에 존재하는 죽은 별을 담아냈기 때문이다. 흰 가스가 소용돌이치는 지점에는 다소 낯선 이름의 중성자별(neutron star)이 존재한다. 우주에 존재하는 천체 중 가장 고밀도인 중성자별은 초신성 폭발후 남은 중심부가 중력으로 압축돼 생긴다.
곧 초신성 폭발로 별의 바깥 부분은 사방팔방으로 흩어져 게 성운의 모습이 됐고 그 중심부는 압축돼 중성자별이 된 것이다.
NASA 측은 "게 성운 중심에 있는 중성자별은 폭이 몇 마일에 불과할 정도로 작지만 질량은 우리 태양과 비슷하다"면서 "역대 게 성운 사진과 달리 이 사진은 지옥같은 안을 담고있다"고 밝혔다.
박종익 기자pji@seoul.co.kr
'세계로 우주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가보면 압니다, 왜 우리가 망하는지 (0) | 2016.09.24 |
---|---|
[권혁재 사진전문기자의 뒷담화] 어린이 앞에 무릎 꿇은 최재천 국립생태원장 (0) | 2016.07.18 |
[채상우의 스카이토피아]드론 조종 자격증 취득 이렇게 (0) | 2016.07.17 |
[채상우의 스카이토피아]DJI 팬텀4, 여행이 영화가 되다 (0) | 2016.07.17 |
[스크랩] 어느 은밀한 과외의 실체| (0) | 2016.07.13 |
일반석 티켓으로 일등석처럼 여행하는 10가지 방법 (0) | 2016.05.16 |
자전거 세계일주 - 준비물 최종목록 (0) | 2016.05.03 |
[조선일보] 말라위의 '나이팅게일' (0) | 2016.03.07 |
1,600m 높이의 건물 三星에서 시공 추진! (0) | 2016.03.05 |
중력파란? (0) | 2016.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