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 서민 주머니만 털렸다

글자크기
광고
[강서구 기자] 담뱃값 인상은 정부가 명분으로 내세운 '국민건강'에 도움을 줬을까. 예상대로 정부의 기대는 보란듯이 무너졌다. 잠시 하락세를 타던 흡연율은 반등에 성공했고, 담배판매량도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 '국민건강을 내세워 증세를 꾀한 게 아니냐'는 일부의 우려가 현실이 된 셈이다. 한마디로 서민 주머니만 또 털렸다.


"담뱃값 인상은 사실상 증세다(흡연자)""국민건강을 위해 가격을 인상했을 뿐이다(정부)" 담뱃값 인상이 결정된 지난해 9월. 흡연자를 비롯한 시민과 정부는 이렇게 갑론을박을 벌였다. 그럴 때마다 정부는 '국민건강'을 내세워 증세논란을 피해갔다. 결과는 어떨까. 담뱃값이 인상된 지 8개월이 흐른 지금, 정부의 주장은 보란 듯이 깨졌다. 담뱃값 인상으로 반짝 감소세를 기록했던 담배 판매율이 다시 상승세로 돌아섰기 때문이다.

윤호중(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한국 담배협회에서 제출받아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올 7월 담배 판매량은 3억5000만갑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2년부터 2014년까지의 월평균 판매량인 3억6200만갑을 거의 회복한 수준이다. 담배 판매량은 담뱃값이 2000원 인상된 1월 1억7000만갑으로 전월인 2014년 12월 3억9000만갑 대비 절반 이상 감소했다. 하지만 이런 감소세는 오래가지 않았다. 3월 2억4000만갑을 기록해 2억갑을 돌파했고 6월엔 3억1000만갑을 찍었다.

CBSi-더스쿠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는 조세재정연구원 자료를 인용해 담뱃값을 올리면 담배 소비량이 34%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지만 이 역시 보기 좋게 빗나갔다. 사실 담뱃값 인상의 효과가 크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정부가 담뱃세 인상을 발표한 지난해부터 제기됐다. 근거는 정부가 주장한 통계의 객관성이 떨어진다는 거였다. 정부는 "성인 남성 흡연율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최고 수준인 43.7%다"며 "이를 30% 미만으로 줄이기 위해서는 강력한 금연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CBSi-더스쿠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난해 OECD의 통계연보에 따르면 한국 성인의 흡연율은 23.2%로 OECD 평균 수준인 20.9%와 비슷했다. 정부가 담뱃값 인상의 명분을 만들기 위해 남성흡연율만 강조했다는 것이다. 또한 담뱃값과 흡연율과의 상관관계에서도 정부는 흡연율 감소를 위해서는 담배가격 인상이 가장 효과적인 정책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담뱃값과 흡연율과의 상관관계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다고 반박했다. 담배 가격 인상에 따라 잠시 흡연율이 줄어들지만 결국 다시 판매량은 회복하고 있기 때문이다.

인상가격을 4500원으로 결정한 것에도 의문을 제기했다. 이는 한국조세재정연구원이 지난해 6월 발표한 '담배과세의 효과와 재정' 보고서에서 찾을 수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담배가격 인상을 통해 최대 세입을 확보할 수 있는 가격이 4500원이다. 그 이상 인상할 경우 거둬들일 수 있는 세금이 오히려 감소하기 때문이다.

다시 늘어나는 담배 판매량

반면 담뱃값 인상으로 정부가 추가로 걷은 세금은 늘어났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담뱃값 인상 후 올해 상반기에 걷힌 세금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1조2100억원 증가했다. 하반기에도 지금과 비슷한 판매량을 유지한다면 올해 담뱃세 수입은 10조원를 웃돌 전망이다. 이는 정부가 예상한 세수효과 2조7800억원의 4배에 달하고 국회예산처가 전망한 5조456억원 보다 2배가량 많은 금액이다.

흡연자의 주머니는 털렸지만 KT&Gㆍ유통업체 등은 수혜를 입었다. 실제로 담뱃값 인상 이후 잠시 하락세를 KT&G의 주가는 얼마 지나지 않아 반등에 성공했고, 지금까지 가파른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해 7만원대를 기록하던 주가는 9월 10일 기준 10만7000원까지 올랐다. 최근 중국 경기둔화와 미국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 등의 영향으로 국내 증시가 출렁였지만 KT&G의 주가는 계속해서 10만원대를 유지하고 있다.

CBSi-더스쿠프
KT&G는 1분기 매출 1조1369억원, 영업이익 4285억3500만원, 당기순이익 3087억7900만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18%, 영업이익은 64.7%, 당기순이익은 55.5% 늘어났다. KT&G는 지난해 생산된 담배를 올해 판매하면서 재고차익이 발생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일회성 요인에 의한 실적 증가라는 얘기다. 하지만 KT&G가 공시한 상반기 제조담배 수익은 1조3355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조1838억원보다 12.81% 증가했다. 전망도 긍정적이다.

홍세종 신한금융투자증권 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담배 수요 감소세가 빠르게 완화되면서 호실적이 지속되고 있다"며 "하반기 담배수요는 전년 동기 대비 8% 감소에 그칠 전망"이라고 말했다. 그는 "담뱃값 인상을 통한 평균 판매가 증가분이 판매량 감소를 상쇄하고도 남는다"며 "2016년 국내 담배시장은 수량 기준 6.1%의 성장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했다.

소매점의 실적도 늘었다. 담뱃값 인상이 판매량 감소가 아닌 마진상승을 견인한 결과다. 담뱃값 인상 전 소매점의 담배마진은 통상 10%로 알려져 있었다. 담뱃값 인상으로 마진율이 7.5%로 하락할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이었지만 실제론 그렇지 않았다. KT&G의 5000원 이상 고가 담배 판매마진율은 인상 전과 같은 10%를 유지했다. 결국 담뱃값은 인상했지만 마진은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돼, 결국 실제 이익은 늘어난 셈이 된 것이다.

저소득층 부담만 커졌나

일례로 4500원 이상~5000원 미만의 마진율은 9.5%, 4500원 미만 저가 담배 판매마진율이 7.5%로 감소했다. 하지만 담배 한갑(4500원짜리 기준)당 남길 수 있는 마진은 기존 250원(2500원×10%)에서 430원(4500×7.5%)으로 오히려 증가했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담뱃값 인상으로 서민의 주머니는 더 얇아졌다"며 "특히 흡연율이 높은 저소득층의 부담이 크게 증가했다"고 말했다. 그는 "결국 서민의 돈으로 정부와 기업의 배만 불린 꼴이 됐다"며 "국민건강증진을 핑계로 추진된 담뱃값 인상은 서민의 고통만 키운 꼴이 됐다"고 꼬집었다.

강서구 더스쿠프 기자 ksg@thescoop.co.kr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