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262948560&ptid=6&utm_source=aladin&utm_medium=wizard&utm_campaign=relclick&utm_content=product

 

베트남전쟁 1968년 2월 12일

<베트남전쟁 1968년 2월 12일>은 <1968년 2월 12일>의 전면개정판으로 1968년 2월 12일에 일어난 퐁니ㆍ퐁녓 마을 학살을 이야기의 중심에 놓는다. 1968년 2월 12일을 통과한 세계사의 주요 장면을 파노...

www.aladin.co.kr

 

 

 

출판사 제공 책소개

1968년, 한 사람이 죽은 1만 개의 역사

한겨레신문 기자 고경태가 20여 년 동안 취재한 베트남전쟁 한국군 민간인 학살의 모든 역사. 대한민국은 1964년부터 1972년까지 베트남에 군대를 파병했다. 최대 5만여 명의 군인이 베트남에 머물렀다. 이 기간 동안 한국군은 베트남 130개 마을에서 민간인 1만여 명을 학살했다.
『베트남전쟁 1968년 2월 12일』은 『1968년 2월 12일』의 전면개정판으로 1968년 2월 12일에 일어난 퐁니ㆍ퐁녓 마을 학살을 이야기의 중심에 놓는다. 1968년 2월 12일의 하루 동안 일어난 일을 세밀화처럼 그려내려고 한 저자의 시도는, 피해자의 증언을 꼼꼼히 담는 인터뷰 작업에 그치지 않고 1968년 2월 12일을 통과한 세계사의 주요 장면을 파노라마처럼 펼쳐 보인다. 1968년 1월에는 북한 무장특수부대원 31명이 서울에 침투했고, 일본의 평화운동가들이 도쿄 앞 바다에서 미군 병사들을 향해 탈영을 선동했으며, 2월에 미국 정부의 특사가 방한해 화가 난 한국 대통령을 달랬다.
20여 년의 취재와 조사를 바탕으로 1968년의 세계를 극적으로 재구성한 것은 물론, 생존자의 현재 모습까지 인터뷰를 통해 생생하게 드러낸다. 1968년 2월 12일의 현장 지도, 1960년부터 2020년까지 주요 사건을 기록한 연표, 사진 도판 152점을 수록해 신뢰성과 현장감을 더한다.

“퐁니.퐁녓 사건에 관한 대한민국 군 당국의 공식 결론은 “위장용 군복을 입은 베트콩의 소행”이다. 규모와 최고 책임자의 연루 정도가 다르긴 하지만, 이는 제2차 세계대전 중이던 1940년 4월 폴란드 카틴숲에서 폴란드군 장교 등 2만 5천여 명을 학살하고 이를 나치의 소행으로 몬 소련 비밀경찰을 연상시킨다. (…) 한국군이 개입된 전체 사건들의 규모와 잔인성은 소련의 카틴숲 학살을 못 따라갈 이유가 없다. 대한민국 정부는 과연 영원히 이 문제를 뭉갤 수 있을까.” _개정판 머리말 중에서

그날 퐁니․퐁녓에서는 무슨 일이 벌어졌던 것일까?

이 책은 총 7부로 구성되며 조각조각 흩어진 기억과 사건을 모아 1968년 2월 12일의 사건을 추적한다. ‘1부 두 개의 시선’에서는 베트남전쟁 현장, 남과 북이 삼엄한 경계 태세를 높이던 보이지 않는 전쟁의 현장을 오간다. ‘2부 따이한의 군화’에서는 초판에서 다루지 않은 다른 학살 현장들을 찾아 생존자들의 사연과 목소리를 담았다. ‘3부 야유나무 학살’에서는 1968년 2월 12일의 학살에서 살아남은 응우옌티탄과 쩐지예읍의 이야기를 시작으로 당시의 참혹한 현장을 생존자의 입장에서 투명하게 전한다. ‘4부 복수의 꿈’에서는 서로 죽여야만 하는 운명에 처한 베트남 사람들의 복수에 찬 이야기를 담았고, ‘5부 해병의 나날’에서는 1968년 2월 12일의 학살을 만들어낸 한국군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6부 조작과 특명’에서는 팽팽한 긴장감이 감돌던 미국과 베트남, 한국군의 관계 속에서 1968년 2월 12일 학살의 진실을 말하고 있다. 끝으로 ‘7부 체 게바라처럼’에서는 그날의 학살 이후 변명하는 자와 묻는 자, 도망치는 자와 추적하는 자, 다시 일어서는 자들이 만들어내는 세계의 역사를 이야기한다.

소련의 지도자 스탈린은 이런 말을 남겼다. “한 사람의 죽음은 비극이지만 100만 명의 죽음은 통계다.” 저자는 통계에 가려진 삶의 의미를 다음과 같이 말한다. “한국군이 베트남전에 파병된 8년 동안 베트남 민간인 1만여 명이 목숨을 잃었다는 통계를, 일본 영화감독 기타노 다케시의 문장을 인용해 이렇게 말해본다. ‘1만 명이 죽었다는 걸 1만 명이 죽은 하나의 사건이라고 한데 묶어 말하는 것은 모독이다. 그게 아니라 ‘한 사람이 죽은 사건이 1만 건 일어났다’가 맞다.’” 이 책은 1968년의 한가운데에서 “한 사람이 죽은 1만 개의 역사”를 되살려낸다.

피해자이자 가해자를 위한 지독한 선물

“베트남전 당시 한국군의 발자국이 찍힌 학살지는 중부 다섯 개 성 130개 마을에 이른다. 130건의 학살은 거미줄처럼 연결돼 있다. 그 학살의 그림자는 20세기를 넘어 2021년에도 한국과 베트남에 길게 드리워져 있다.” _프롤로그 중에서

한반도가 아닌 베트남에서 일어난 50년 전의 사건을, 그것도 한국군의 부끄러운 만행으로 드러난 그 사건을 우리가 왜 기억해야 할까? 이 사건이 우리를 피해자이자 가해자의 자리로 데려가기 때문이다. 한국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서 올바르게 사과 받지 못한 피해자의 나라이지만, 민간인을 학살하고 사과조차 하지 않은 가해자의 나라가 된다. 가해자는 피해자가 될 수 있는가? 사과하지 않으면서 사과를 요구할 수 있는가?
이 책은 1968년 2월 12일 베트남에서 일어난 사건이 1968년의 세계와 어떤 방식으로 연결되는지를 탁월하게 그려낸다. 사이공 거리 한복판에서 베트남 포로의 머리에 리볼버 방아쇠를 당긴 응우옌응옥로안, 북한 무장특수부대원 31명이 청와대 코앞까지 진출한 김신조 사건, 보복을 벼르는 박정희를 달래기 위해 방한한 사이런스 밴스 미국 특사, 베트남에서 탈영한 미군의 밀항과 망명을 도왔던 오다 마코토와 다카하시 다케토모, 일본 내 미군 기지에서 탈영한 최초의 미군 김진수, 평양에 나타난 베트남전 실종군인 안학수와 ‘빨갱이 가족’이라는 올가미를 썼던 안용수 등 각기 다른 시공간의 사람과 사건이 퐁니․퐁녓 사건과 촘촘히 엮인다.
역사는 기억하는 자의 것이다. 다르게 말하면, 기록하는 자가 역사를 만든다. 저자는 이 한 권의 책으로 지난 20년간 한국 사회에서 ‘의혹’으로 남아 있던 한국군 민간인 학살을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영원한 진실로 못박아버렸다. 퐁니․퐁녓은 『베트남전쟁 1968년 2월 12일』로 우리 모두가 기억해야 할 역사가 되었다. 
접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