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들 '블록체인에 뛰어들다'

송두리 기자 dsk@ekn.kr 2019.05.06 10:00:45

  •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목록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에너지경제신문=송두리 기자] 은행들이 블록체인(blockchain) 기술 도입에 뛰어들고 있다. 지난해 신한은행 등이 블록체인 기술을 본격 적용한 데서 나아가 최근에는 IBK기업은행 또한 블록체인 기술 개발을 위해 핀테크 업체와 손을 잡았다. 은행들이 블록체인 기술 도입에 적극 나서고 있어 ‘은행의 블록체인화’는 더욱 발전될 것으로 전망된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기업은행은 지난 2일 블록체인 핀테크 기업 테라와 ‘블록체인 기술역량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블록체인은 블록에 정보를 담아 체인 형태로 연결한다는 의미다. 수많은 컴퓨터에서 블록에 담긴 정보를 복제해 저장할 수 있으나 위조나 변조는 할 수 없도록 한 기술이다.

이번 협약으로 기업은행과 테라는 블록체인 기술 공동 연구를 위해 상호협력력한다. 테라는 기업은행 핀테크 분야 스마트업 육성 프로그램인 ‘IBK핀테크 드림랩(Dream Lab)’ 5기 선정 글로벌 기업으로, 블록체인 기반의 결제시스템을 전자상거래 플랫폼에 제공한다.  

기업은행의 경우 블록체인 기술이 아직 실무에 적용되지는 않고 있어 본격적인 도입을 위한 준비 차원에서 이번 협약이 이뤄졌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이번 협약은 앞으로의 기술 변화에 대비해 블록체인과 관련한 리서치 또는 기술, 정보 공유를 하기 위한 취지에서 마련된 것이다"고 설명했다.  

기업은행에 앞서 다른 은행들도 블록체인과 관련한 기업, 학계 등과 업무협약을 맺고 기술 도입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KEB하나은행은 지난달 고려대와 블록체인 기술 공동 연구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고려대는 블록체인연구소를 중심으로 블록체인 산업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이번 협약으로 산학 협력을 강화하게 된 하나은행과 고려대는 첫 사업으로 학생증카드 발급에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하기로 했다.

하나은행의 경우 하나금융그룹 차원에서 구축하고 있는 글로벌 디지털 자산 플랫폼 ‘글로벌 로열티 네트워크(GLN)’를 지난달 대만에서 처음 시작하면서 글로벌 차원의 블록체인 기술을 가시화하기 시작했다. GLN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대만, 일본, 중국, 태국, 러시아, 미국, 영국 등 전세계 금융기관·유통·포인트 사업자들이 가진 디지털 플랫폼을 연결해 하나머니와 같은 디지털자산을 휴대폰으로 자유롭게 전환하고 사용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2017년 11월 GLN 컨소시엄을 개최한 후 올해부터 본격적인 가동에 나섰다. 하나금융 관계자는 "전세계에 도입하는 만큼 GLN 구축을 완료하는 시기는 정해지지 않았다"며 "지난달 대만을 시작으로 점차 도입 국가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고 말했다. 이밖에 하나은행은 올 들어서도 세계 블록체인 컨소시엄인 하이퍼레저와 이더리움 기업 연합 가입, 블록체인 비즈니스 모델 40여개 특허출원, 블록체인 기술세미나 개최 등을 통해 블록체인 기술에 적극적인 관심을 보이고 있다.

NH농협은행은 지난달 은행권에서 처음으로 P2P금융 투자자 ‘원리금 수취권 증서’를 ‘NH스마트고지서’로 조회하는 ‘P2P 금융증서 블록체인 서비스’를 지난달 출시했다. NH스마트고지서는 국세, 지방세, 범칙금 등 각종 청구서와 NH농협카드 등의 각종 안내장으로 스마트폰으로 받고 즉시 납부할 수 있는 서비스다. 원리금 수취권 증서는 P2P금융사가 투자자에게 제공하는 투자원금과 약정이자를 회수할 권리가 기록된 서류로, 기존에는 투자자 이메일이나 팩스 등으로 받을 수 있었다. 이 서비스는 P2P업체가 발행하는 원리금 수취권 조작 등을 막기 위해 블록체인 기술로 공유하자는 취지에서 개발됐다. 농협은행 관계자는 "디지털 R&D센터 조직 신설 후 처음으로 도입한 블록체인 기술이다"라며 "블록체인 기반의 융복합 서비스를 확대 적용하겠다"고 말했다.

이밖에 신한은행은 지난해 11월부터 블록체인 기술을 은행 업무 전체에 적용하기 위한 프로젝트트 시작하고 ‘이자율 스왑(IRS) 거래’ 체결 과정에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했다. 신한은행은 수출입금융, 외부기관과 연계한 여신상품 등의 외환·여신·채권·파생상품 등 업무에서 도출한 10여개의 아이디어를 기술검증을 거쳐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거래·인증 등 다양한 은행 서비스는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기에 어떤 분야보다 적합하다"며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해 편리하고 혁신적인 서비스를 더욱 많이 선보일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송두리 기자 dsk@ekn.kr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