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신진동운동이 변비 개선 및 체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mprovement of constipation and body composition of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저자
박노정
발행정보
건국대학교 2015년
피인용횟수
0
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주제분야
사회과학 > 가정학
키워드
하이드로겔패치
초록

본 연구는 전신진동운동이 변비개선과 체성분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20∼30대 직장인을 대상으로 변비사정척도가 4점 이상인자 21명을 선정하여 주 3회, 총 12회, 4주 동안 진행하였으며, 하이드로겔 패치를 사용한 패치군(7명), 음파진동운동기를 사용한 진동군(7명), 하이드로겔 패치와 음파진동운동기를 사용한 복합군(7명), 세군으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연구 전 일반적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변비개선 상태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 전·후 장기능사정척도를 이용하여 배변 시 걸린 시간, 배변 시 느낌, 배변의 모양을 측정하였고, 체성분의 변화는 체성분 측정기를 이용하여 체중, BMI, 체지방률, 체지방량, 복부비만률, 복부두께, 복부둘레 측정하였다.

연구 후에는 실험자들의 주관적 만족도 설문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장기능사정척도의 배변 시 걸린 시간에서 복합군과 진동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고(p<0.05), 배변 시 느낌에서는 복합군(p<0.01)과 진동군(p<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배변의 모양에서 세군 모두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체성분 실험 전·후 비교에서 체중은 복합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p<0.05). BMI 에서 세군모두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체지방률에서 각 그룹의 변화량은 복합군 0.98으로 감소하였으나 진동군 0.27, 패치군 0.03 로 다소 증가하여 세군모두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체지방량과 복부두께, 복부둘레는 복합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p<0.05). 복부지방률에서 복합군, 진동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p<0.05). 실험 후 만족도 조사에서 복합군의 “다른 사람에게도 추천하고 싶으십니까?” 항목에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전신진동운동은 체성분에서 복부지방률을 감소시키고, 배변 시 시간을 줄여주며 배변 시 느낌을 개선하여 변비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좀 더 객관적인 분석을 통해 장기적 연구가 필요해 보이며, 전신진동운동과 하이드로겔 패치의 미용성분간의 시너지 효과에 대해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on constipation improvement and body composition changes. A total of 21 workers in their 20's and 30's with Constipation Assessment Scale scores more than 4 participate in the study.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the hydrogel patch group (n=7); the WBV exercise group (n=7); the hydrogel patch & WBV exercise (combined) group (n=7). The participants performed each intervention at frequency of 3 sessions per week for 4 weeks. At first, the author investigated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before study. All subjects were assessed for the time inquired when they have defecation, the feeling after defecation, and the shape of defecation using Bowel Function Assessment Form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period in order to find out about constipation improvement, and then measured weight, BMI, body fat percentage, body fat, waist-hip ratio, thickness of the abdomen, abdominal girth, using Body composition analyzer to check on body composition changes. Finally, They were conducted a subjective satisfaction questionnaire survey after study. For the length of time of excretion in Bowel Function Assessment For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mbined group and WBV exercise group (p<0.05). The feeling after defeca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mbined group (p<0.01) and WBV exercise group (p<0.05). The shape of defecation improved in all groups, but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not found. Compared to body composition change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the weigh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bined group (p<0.05). BMI is improved in all groups, but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not found. The body fat percentage is decreased 0.98 in combined group, increased 0.27 and 0.03 in WBV exercise group and hydrogel patch group, respectively, but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not found in all groups. The body fa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mbined group (p<0.05). The waist-hip ratio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mbined group and WBV exercise group (p<0.05). The thickness of the abdomen and abdominal girth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mbined group (p<0.05). The combined group showed the highest score for a item "Do you want to recommend to others" in subjective satisfaction questionnaire survey of subjects after experiment.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WBV exercise have very positive effects on constipation improvement, by decreasing the waist-hip ratio in body composition, reducing the length of time of excretion, and improving the feeling after defecation. Future studies should not only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long term studies through more objective analysis, but also studies about synergistic effects of WBV exercise and Hydrogel patch.

목차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이론적 배경 3
  • 2.1 변비 3
  • 2.2 전신진동운동 4
  • 2.3 하이드로겔 패치 6
  • Ⅱ. 실험 재료 및 방법 8
  • 1 연구 대상 및 기간 8
  • 2 실험재료 8
  • 2.1 전신진동운동기계 8
  • 2.2 하이드로겔 패치 9
  • 3 실험 방법 및 측정 방법 9
  • 3.1 실험 모식도 9
  • 3.2 일반적 특성 설문 조사 12
  • 3.3 변비사정척도 12
  • 3.4 장기능사정척도 12
  • 3.5 체성분 측정 12
  • 3.6 실험 후 만족도 조사 13
  • 4 분석 및 통계방법 14
  • Ⅲ. 연구 결과 및 고찰 15
  • 1 그룹 간 동질성 검증 15
  • 1.1 실험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동질성 검증 15
  • 1.2 실험 전 체성분 동질성 검증 17
  • 2 그룹 간 실험 전·후 장기능사정척도 비교 18
  • 2.1 배변 시 걸린 시간 비교 18
  • 2.2 배변 시 느낌 비교 18
  • 2.3 배변의 모양 비교 18
  • 2.4 실험 전·후 장기능사정척도의 변화 21
  • 3 그룹 간 실험 전·후 체성분 비교 22
  • 3.1 체중, BMI 비교 22
  • 3.2 체지방률, 체지방량 비교 23
  • 3.3 복부지방률, 복부두께, 복부둘레 비교 24
  • 3.4 실험 전·후 체성분의 변화 25
  • 4 설문조사를 통한 실험 후 만족도 조사 26
  • Ⅳ. 결론 27
  • 참고문헌 29
  • 부록 33
  • 국문초록 4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