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강원도, 전국 첫 '원격건강관리 서비스' 개시

이메일
- sol2@chosun.com
- 기사
- 100자평(0)
입력 : 2014.10.11 07:10
강원도는 보건진료소를 중심으로 지역 내 153개 모든 보건기관에서 원격건강관리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10일 밝혔다. 보건진료소는 읍·면보다 작은 단위의 마을에 설치되는 보건소 산하기관이다. 원격건강관리는 병의원이나 보건소가 없는 지역에 거주하더라도 보건진료소를 통해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다.
- ▲ 강원도 전역에서 추진하는 원격건강관리 서비스 구조
보건진료소에 등록된 환자는 집에서 혈압과 혈당을 재면 자동으로 수치가 원격시스템에 전송된다. 환자는 웨어러블 기기로 평소 활동량을 측정하고 매일 먹는 식사 사진을 찍어 보낼 수 있다. 주기적으로 보건진료소에 방문하면 간호사가 환자의 건강 상태를 확인해준다. 보건진료소에 구비된 의료장비로 환자의 혈압, 혈당, 당화혈색소, 체성분, 콜레스테롤, 심전도 등도 정확히 측정한다. 필요한 운동량과 부족한 영양소도 알려준다.
면밀한 건강 상태가 궁금할 때는 보건소와 보건지소에 상주하는 공중보건의사와 화상으로 연결해 의료상담을 받는다. 공중보건의사는 원격시스템으로 전송된 환자의 수치를 확인하고 진료한다. 혹시라도 건강 이상이 의심되면 대형병원 의사와 화상으로 연결된다. 의사는 검사결과를 해석하고 의료상담을 해준다. 필요하면 직접 환자를 병원에 예약해준다.
이지연 강원도 보건복지여성국장은 “원격건강관리는 집에서 병원이나 보건소가 멀어 평소 건강관리가 어려운 65세 이상의 고혈압, 당뇨병, 대사증후군 등 만성질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다”며 “형편이 어려워 매번 큰 병원에 가지 못했던 환자들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天醫healing > 양자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족부궤양 - 당뇨병성족부궤양 : 고압산소요법 (0) | 2014.10.30 |
---|---|
구글 “나노 알약으로 암세포 탐지 연구“ (0) | 2014.10.29 |
[취재후] CT·MRI 촬영하다 사망? 무서운 '조영제' 부작용 (0) | 2014.10.28 |
에볼라 감염 확산 속도 무섭다…44일만에 2.5배 (0) | 2014.10.18 |
부부가 함께 자는 이유 (0) | 2014.10.12 |
약보다 순수소금이 혈압을 더 낮춰준다. (0) | 2014.10.12 |
에볼라 감염자 3~4주마다 두 배…사망자 4000명 넘어서 (0) | 2014.10.12 |
에볼라 사망 4천명 넘어…"감염자, 3∼4주마다 두배로"(종합) (0) | 2014.10.12 |
소금의 중요성 (0) | 2014.10.12 |
WHO "에볼라 사망자 4천 명 초과" (0) | 2014.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