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연·창의적으로… 틀 깬 ‘관리의 삼성’

자율출퇴근제 전면 시행 안팎

자율출퇴근제 전면 시행에서도 보듯 삼성이 급격히 달라지고 있다. 지난해 이건희 회장이 신경영선언 20주년을 맞아 “모든 것을 바꾸자”며 ‘마하경영’을 화두로 던진 이후 그 결과물이 하나둘씩 나오고 있다.



변화는 ‘글로벌 삼성’이라는 위상에 맞게 삼성의 특장점이자 동시에 단점으로도 꼽히던 ‘관리의 삼성’에서 과감히 탈피하는 것에서 시작되고 있다. 강력한 시스템에 의존하던 경영방식에서 직원의 유연하고 창의적인 사고를 북돋는 방식으로 변모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변화는 후계자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강한 의지가 반영된 결과라는 것이 삼성그룹 안팎의 시각이다.

1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를 보면 삼성전자는 올 1분기 전체 매출의 87.4%(올 1분기)를 해외에서 벌어들였다. 매출 구조만 보면 한국 국적을 붙이기 애매할 정도다. 삼성전자 임직원들이 하나같이 “우리의 경쟁 상대를 국내가 아닌 구글·
애플·인텔 등 국외에서 찾아 달라”고 강조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국내 직원(9만 9794명)에 비해 2배 이상 많은 해외 직원(19만 206명)도 조직문화의 글로벌화를 재촉하는 이유 중 하나다.

지난달 15일부터 해외 출장 시 가족 동반을 허용한 것도, 다음 달부터 전 직원을 대상으로 자율출퇴근제를 전면 시행하는 것도 ‘글로벌 스탠더드’에 부응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이들 제도는 경쟁사인 구글이나
마이크로소프트(MS) 등에선 이미 당연한 것이다.

지난 11일 도입한 ‘
모자이크’ 제도도 구글의 ‘20% 프로젝트’와 닮았다. 모자이크는 직원들로 하여금 상업화 여부와 상관없이 1년간 현업을 떠나 관심 있는 분야를 연구하도록 보장하는 제도다. 구글에선 근무시간의 20%를 원하는 일에 쓰도록 했더니 그 결과물로 지메일과 구글어스가 탄생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최근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를 둘러싼 환경 자체가 하드웨어에서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넘어가고 있는 점도 조직문화 변화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 내부에서조차 수년 전부터 ‘삼성전자는 껍데기(기기)만 만드는 것 아니냐’는 자조 섞인 우려가 나왔다.

총수 일가의 ‘은밀한 자금 뒷거래용’이라는 눈총을 받은 삼성SDS와 삼성에버랜드의 기업공개를 결정한 것도 변화의 징조로 여겨진다.

승계자금 마련을 위한 것이란 비판도 있지만 기업공개는 일반 주주를 참여시키고 공공의 감시를 받겠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또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 직원들의 백혈병 발병 피해에 대해 7년 만에 경영진이 공식 사과한 것 역시 일련의 변화와 맥이 닿는다. 관리보다는 소통으로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제스처’이기 때문이다.

이 같은 변화의 중심에 이 부회장이 있다는 게 그룹 안팎의 중론이다. 삼성 계열사의 한 관계자는 “자율출근제부터 해외출장 가족동반, 모자이크 등 삼성의 변화는 불과 몇년 전만 해도 상상하기 어려울 정도였다. 이 같은 변화에는 JY(이재용)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김양진 기자 ky0295@seoul.co.kr

2014-06-14 13면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