힉스 입자란 무엇인가? Microcosmos
2008/10/01 12:04
http://nasseau.blog.me/30036205371
![]() 우주 만물을 구성하는 입자는 기본입자 12개와 힘을 전달하는 매개 입자 4개, 기본 입자의 질량을 결정하는 힉스 입자 등 17개다. 힉스 입자는 표준모형의 유일한 스칼라 입자로서 기본입자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다른 모든 입자들에 질량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신의 입자’ 라고 불린다. 이들 중 다른 모든 소립자들은 입자가속기를 통해 그 존재가 확인됐으나 아직도 신의 입자는 발견되지 않았다. |
힉스입자란 무엇인가? 표준모형에 따르면 세계는 쿼크(quark)와 경입자(lepton)로 불리는 입자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광자(photon), 글루온(gluon), W, Z 입자를 주고 받음으로써 입자들끼리 상호작용 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표준 모형에서는 4가지의 상호작용 중 3가지 힘, 즉 광자(photon)에 의해 매개되는 전자기적 상호작용, 글루온(gluon) 입자로 매개되는 강한 상호작용, W와 Z 입자로 매개되는 약한 상호작용 들을 수학적으로 기술할 수 있으며, 약한 상호작용과 전자기적 상호작용은 그 근원이 같다고 본다. “표준모형의 기본입자들” 힉스 입자는 이들 기본입자가 질량을 갖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 페르미온(fermion)은 페르미-디렉 통계를 따르는 스핀이 정수+1/2, 예를들면 1/2, 3/2, 5/2,... 인 입자를 말하며 표준 모형에서 우주를 구성하는 물질, 즉 쿼크(quark)와 렙톤(lepton)은 모두 페르미온(fernion)이다. 우리가 아는 전자의 질량은 0.511 MeV/c2이다. 우리가 일상에서 늘 접하는 물체의 질량 중 전자가 차지하는 부분은 매우 작으므로 0이어도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 그러나 전자의 질량이 0이라면, 화학 자체가 불가능해진다. 그 이유는 원자 주위를 도는 전자 궤도의 반경은 전자 질량에 반비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자 질량이 0이면 전자는 더 이상 원자핵에 의해 속박되지 않는 상태로 떠돌게 되므로 전자의 공유결합 및 이온 결합이 이뤄질 수 없어서 화학은 불가능해진다. [출처] 힉스 입자란 무엇인가?|작성자 홍길동 |
'天醫healing > 양자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기누설 골반운동 '골반 교정 다이어트에 효과적' 관심 폭발 (0) | 2014.03.30 |
---|---|
자연계에 존재하는 4가지 힘 (0) | 2014.03.29 |
(0) | 2014.03.29 |
힉스 입자란 무엇인가? (0) | 2014.03.29 |
’신(神)의 입자’로 불리는 힉스 입자(Higgs (0) | 2014.03.29 |
진동하는 끈이 만물을 지배한다 (0) | 2014.03.29 |
아토피로 한해 100만명 고생 (0) | 2014.03.27 |
[스크랩] [눈물샘자극] 오랜만에 폭풍눈물터지는 애니멀 커뮤니케이터 하이디-경찰견 랜디| (0) | 2014.03.04 |
[영상] 애니멀 커뮤니케이터 하이디 일본편 모음 (폭풍눈물주의) (0) | 2014.03.04 |
어느덧 벌써 예비신자 교리가 거의 다 끝나가지만 12월 목요반 첫 인사글 올립니다 ^^ (1) | 2014.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