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신치료에서 꿈의 활용에 관한 연구

꿈의 기능에 관해서는 많은 이론이 있지만 꿈에 관한 실험적 연구와 정신치료에서의 꿈활용은 드믈다
이유: 정신치료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복잡하고 그 결과에 대한 연구도 어려움 투성이다.

1.관찰할 수 없는 꿈이기 때문에 심리학적 연구에 적당한 방법으로는 꿈을
연구할 수 없다.
2.실행방법에 있어 수집하는 상황이 매우 어렵다. 표본의 크기가 작을 수밖에
없고 재현성에 대한 연구도 극히 힘들며 조작적인 연구를 수행하기가 곤란하다.
대조군의 사용이 극히 어렵다.

꿈연구의 시작:

아제린스키와 클라이트먼(Aserinsky & Kleitman,1953)
수면중에 관찰한 신속한 안구운동이라는 연구.
REM수면기에 꿈을 보고할 수 있는 수면.
(REM수면을 꿈을 꾸는 D상태라고 부른다.)

홀(Calvin Hall,1947):
꿈에는 과학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두가지 특징이 있다. 첫째 꿈은 개인적인 정보이고 둘째로는 투사이다. 심리학자들이 인격을 연구하는데 이용하는 어떠한 자료들 보다도 꿈은 더욱 순수한 개인적 자료이며 더욱 순수하게 투사된 자료이다.
"꿈의 의미" 수천명의 꿈을 연구하여 사람들이 무엇에 대해 꿈을 꾸는지 배경,인물,동작및 감정이라는 네 가지로 구성하여 분류함. - 꿈이 어떤 오묘하고도 신비로운 현상이 아니라 마음속에서 생각되는 바를 투사하여 그려내는 그림이라고 결론을 내림. 즉 대체로 꿈꾼 사람이 자기자신과 직접 관계하고 있는 사람과의 내적갈등에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함.

남성과 여성의 꿈의 내용: 홀Hall, Winget, 코흐-셰라스Koch-Sheras.
남성:여성에 비해 활동적, 공격성이 더 잘 나타나며 투쟁과 성취가 더 많이 보고됨.

문화적인 차이점의 연구; 레빈LeVine - 영국계 미국인과 멕시코계 미국인 사이의
죽음에 관한 주제와 이미지 연구

꿈 꿀때의 관심사와 깨어있 을때의 관심사간의 연속성의 연구: 우울증 환자의 연구.
Van de Castle & Holloway(1971) -
깨어 있는 상태와 꿈꾸는 상태간에 연속성이 있다는 것을지지해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