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꿈에 관한 심리학적 이론

꿈의 역사는 고대로까지 올라간다.
희랍에서는 아폴로나 제우스 신전에서 꿈으로 신탁을 받았고 치료신인 에스쿨라피우스를 모신 신전에서 꿈을 꾸게 하고 병의 진단과 치료방침을 받았다.2세기 아-테미도루스가 꿈을 수집하여 Oneiroceitica를 편집 그후 많은 꿈 해몽서가 나왔다. 하지만 현대의학에 있어서 꿈을 중요하게 여기게 된 것은 1899년 프로이드가 "꿈의 해석"이란 책을 출판하고 나서부터이며,.한국에서는 해몽의 역사는 길고 몇몇 해몽서가 발견되는데 이는 꿈의 중요성이나 꿈이 갖는 의미의 인식의 일단에 불과하다.


프로이드 Freud:

꿈은 영아기의 성적욕구가 변장되어 나타난 소원이었다. "꿈의 해석작업이 완결되면 그 꿈은 소원충족으로 인식될 수 있다"고 말하면서 소원충족이라는 꿈의 기능을 강조하였다. 꿈속에 나타나는 거의 모든 대상과 활동을 성적 상징으로 보고 꿈의 상징이 주로 남성 또는 여성의 성기를 나타낸다고 믿었다.


발현몽, 잠재몽, 꿈작업.
그리고 꿈을 무의식으로 가는 왕도로 보고 있었다. 의식적인 생각으로는 용납할 수 없는, 감춰지고 억압된 충동이 그 무의식 속에 묻혀 있는 것이다. 잠재몽의 내용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해주는 해석방법이란 발현몽에 나타난 하나하나의 모든 요소에 대해 환자로 하여금 연상하도록 하는 일이다. 이것이 바로 자유연상이란 방법이고 이 자유연상을 통하여 꿈이 갖고 있는 잠재되고 변장된 의미를 찿아 갈수 있어서 정신치료에 사용되는 것이다.

자유연상법
환자는 편안히 쉬는 자세를 취하고 눈을 감아야 한다. 그리고 나서 마음에 떠오르는 생각들에 대해 일어나는 모든 비판을 중지하도록 분명히 가르쳐 줘야 한다. 정신분석의 성공여부는 마음을 스쳐 지나가는 모든 것들을 있는 그대로 말할 수 있는 능력에 달려 있다고 말해주고 비록 그 생각들이 별로 중요치 않다고 또는 연관이 없다고 아니면 넌센스라고 여겨질지라도 억제해 버리지 않도록 해야한다고 말해 준다. (Freud, 1950, p.13)이러한 방법으로 시행하는 자유연상의 덕분에 환자들은 자기 꿈의 밑에 깔려있는 의미에 도달하게 된다.

꿈의 기능을 두 가지로 생각함.
①수면을 보호하는 기능과 ② 용납할 수 없는 소원에 대한 안전판의 기능

Jones, 1986. : 꿈이론의 구별.
꿈꾸는 행위의 정신분석학적 이론 - 꿈 형성의 과정에 관한 이론
꿈 자체의 정신분석학적 이론 - 꿈 해석에 관한 이론. 정신치료에서 꿈을 이용한다.

꿈이론 후에도 큰 반응없다가 새롭게 관심을 갖게 되었다.

프라이스 (Fleiss) 꿈에 관한 관심의 부활
1.정신감응적인 꿈(telepathic)
2 예언적인 꿈(prophetic)
3. 최면적인 꿈(hypnotic)

융의 꿈이론(Carl Jung)
프로이드: 꿈을 이상한 정신활동으로 생각했고 꿈을 통하여 환자의 노이로제를 찾아
갈 수 있다고 믿었다
융: 꿈을 정상적이고 창조적인 무의식의 표현으로 보았다;

꿈의 기능을 "전체적인 정신적 평형을 미묘한 방법으로 재정립 시켜 주는 꿈의 자료를 만들어 냄으로써 우리들이 심리적 균형을 회복시켜 주는 것"

(Jung,1964,p.34) - 의식에 의해 아직까지도 알려져 있지 않고 또 적절히 믿기지도 않는 그러한 내적 진실을 나타내는 보상기능으로서의 꿈을 생각함. 영아기의 성적 소원성취의 욕구라는 형태로 생각하지 않고 그 대신 꿈꾼 사람의 과거 영아기적 환상보다는 현재 생활 상황을 더욱 강조했었다. "꿈의 상징은 그 꿈을 꾼 사람과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고 어떠한 꿈이든 일정한 해석이나 직선적인 해석은 있을 수 없다며 한가지 꿈에는 성적인 비유가 아닌 어떤 메시지가 들어 있는 것" (Jung,1964,p.13)

해석방법: 꿈 꾼 사람에게 가장 유용한 방법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본래의 꿈 이야기로부터 벗어나게 되는 자유연상을 따를 수가 없었다. 그 대신 꿈 그 자체의 구조에 되도록이면 가까이 접근하기를 희망하였고 꿈의 어떤 특별한 이미지에 정신을 집중하도록 하여 그 이미지에 무엇이 일어나고 있는지 알아 내도록 하였고 일련의 변화를 거치면서 무의식의 자료가 밝혀질 수 있는 것이다. 프로이드와 다른 점은 단 한가지 꿈에 집중하기 보다 일련의 여러가지 꿈을 이용하였다.

홀(James Hall, 1983) 융의 해석방법의 세가지 중요한 과정을 설명
1. 꿈의 세세한 면까지 분명히 이해하는 과정
2. 연상과 확장을 수집하는 과정이 개인적 수준으로부터 문화적 수준을 거쳐
원형수준으로 점차 진행하는 과정
3. 꿈꾼 사람의 생활상에 확장된 꿈을 올려 놓는 과정

그린(Greene, 1979) 융에겐 꿈이론도 없고 꿈을 다루는 방식을 어떤 "방법"이라고 이름 붙일 수가 없다고 말하며 자기 꿈에 대해 충분한 시간을 두고 명상해 본다면 결국 어떤 의미가 나타날 것으로 융은 믿고 있었다.

-- 가장 중요한 점은 엄격한 정신분석 훈련을 받지 않았거나 오로지 정신분석적 방법만을 사용하지 않는 정신치료자도 꿈 해석을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준 일이라 하겠다.

프렌치와 프롬(French & Fromn, 1964)
프로이드의 성적 소원의 충족을 꿈의 역할로 본 반면에 문제 해결이라는 꿈의 기능을 강조하였고 꿈해석에 좀더 과학적인 기초와 비판을 제공하였다. "객관적으로 비판적인 방법을 가지고 해석에 접근한다는 것은 반드시 학습되어야 할 기술"

존즈(Richard Jones) "꿈의 새로운 심리학" 분석가의 업적을 종합. 꿈의 적응적 가치를 강조.

애들러(Alfred Adler): 꿈은 인격의 통일성을 나타내 주고 또한 삶을 흔들어 깨우는 감정이 일어나도록 해주는 문제해결의 적극적인 경험이 된다. 꿈을 어떤 목적이 있는 바로 생각하였고 내용은 꿈꾼 사람의 개인적인 논리의 반영인 것이며 각자는 그들 자신의 독특한 언어를 지닌다고 주장. 그리하여 해석은 숙련이라든가 감수성 및 상상력을 필요로 하는 기술로 보았는데 그것은 오로지 환자의 논리와 언어 범주내에서 행해질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에릭슨(Erik Erikson) 꿈을 꿈꾼 사람이 사는 방식의 반영으로 봄.

펄즈(Fritz Perls) 게쉬탈트 치료법의 창시자. 승자와 패자의 개념
무의식이란 개념을 거부하고 현재(here and now)에 중점을 두었다. 꿈을 실존적인 메세지로 보았기 때문에 소원충족이라고 생각한 프로이드와 견해가 대조가 된다.
프로이드: 무의식으로 가는 첩경, 펄즈: 통합으로 가는 첩경
꿈의 각기 다른 부분들은 모두 인격의 단편이어서 이러한 조각들을 모아 하나의 전체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내가 사용하는 모든 기교는 절대로 해석하지 않는 방향으로 더욱 더 발전해 가는 것이다.(Perls,1969,p.121)승자와 패자의 개념: 둘 사이의 갈등은 해결되지 않으나 이 두 부분을 통합
할 수 있도록 시도하였다.

패러디(Ann Faraday,1972) 펄즈와 융의 개념을 널리 사용하면서 꿈의 과거에 입각한 내용보다는 현재에 더욱 치중함. - 소원충족이나 변장이라는 꿈이론을 거부하고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객관적 사실에 대한 신호로서 꾸어진 꿈인지 철저히 찾아 본 연후에 그 꿈에 꿈꾼 사람의 인생에 대한 주관적태도를 반영해 주는 거울 역할을 하는지 알아봐야 한다는 것.무의식의 말 대신에 소외(alienation)사용 - 자기의 일부 중에서 제것이 아닌 또는 자기와 관계가 없는 부분을 가리킨다.

딜래니(Gayle Delaney) Living Your Dreams(1979) - 꿈해석에 접근 방법을 자세하고 분명히 함.
쇼에서 쓰는 언어를 사용, 우리 자신이 꿈의 프로듀서,작가가 되며 꿈에서의 감독겸 스타가 된다.

로시(Ermest Rossi): 꿈의 인격의 성장(1972) 꿈을 정신치료중에 새로운 차원의 자각으로 이끌어 가는 창조적 과정으로 봄.

이상의 이론들의 공통점: 꿈이 인격의 어떤 국면을 내보여 주며 그 사람에게 중요한 메시지가 있다는 기본가정을 두고 있다.

이론들의 차이점: -
꿈의 재료의 양상에 따라
꿈이론에 있어서 병리와 성장의 어느 쪽에 강조를 두느냐에 따라
발현몽 내용과 잠재몽 내용과의 사이에 벌어진 차이점의 정도에 따라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