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전화대이동] 궁금증 ❺ MVNO·블랙리스트 시행 한 달째…이통사·제조사 저가 제품 판매 기피
기사입력 2012.06.18 09:17:18 | 최종수정 2012.06.18 10:35:29 싸이월드 공감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

휴대폰 업계의 지각변동을 불러올 것으로 관심을 모았던 MVNO(잠깐용어 참조)와 블랙리스트 제도(잠깐용어 참조)가 시행된 지 한 달이 넘었다. 저렴한 가격을 앞세워 소비자들을 유혹하고 있지만 아직 제도 시행 초기여서 기대만큼 인기를 얻지 못하고 있다.

잠깐용어 MVNO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 기존 이동통신사의 망을 빌려 서비스하는 사업 형태를 말한다. 통신망 관리비와 유지비용이 들어가지 않아 통신요금이 저렴하다는 게 장점이다.

잠깐용어 블랙리스트 제도
휴대폰을 이동통신사는 물론 제조사와 가전 유통매장, 대형 할인마트, 온라인 쇼핑몰 등 다양한 곳에서 자유롭게 구입해 사용할 수 있는 제도. 소비자의 휴대폰 선택권을 넓히고 공급자 간 경쟁을 유도해 단말기 가격을 인하하려는 취지로 시행됐다.

367855 기사의  이미지
방송통신위원회에 따르면 전국의 MV NO 사업자는 6월 5일 현재 24개다. 이 중 일찌감치 MVNO 사업을 시작한 KCT와 CJ헬로비전 등을 제외하면 대부분 중소업체다. MVNO 서비스가 아직 통신3사에 비해 경쟁력을 갖추지 못한 것으로 지적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최종복 SK텔레콤 매니저는 “통신사들이 고객들에게 어필하는 부분은 세 가지다. 다양한 단말기와 부가서비스, 저렴한 요금이 그것이다. MVNO 사업자들은 단말기 수급조차 어려운 상황이고 콘텐츠도 부족해서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없다. 저렴한 요금으로만 어필해야 하는데 통신사와의 차이는 기본요금 7000원 정도에 불과하다. 이마저도 통신사가 제공하는 멤버십카드 할인으로 상쇄될 수 있어 메리트가 별로 없다”고 말했다.

MVNO 전용 단말기가 아직 없다는 것도 불편한 점이다. 기존 통신사에서 내놓은 모델은 해당 통신사의 서비스에 맞게 제약이 걸려 있다. 가령 갤럭시S 모델의 경우 MVNO 서비스를 이용하면 80바이트 이상의 장문이나 사진이 전송되지 않는다. 앞으로 한국MVNO협회는 MVNO 전용 단말기를 개발하고 통신사도 신규 출시되는 단말기부터는 표준 시스템을 적용하겠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이런 대책이 완료되기 전까지는 당분간 MVNO 사용자들은 서비스 이용에 불편을 감수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단말기 자급제 또한 허점이 많다. 단말기 자급제란 제조업체 직영매장이나 대형마트, 온라인 등에서 공단말기를 사서 소비자가 희망하는 통신사를 통해 사용할 수 있는 제도다. 이는 휴대폰 단말기 판매 채널을 다각화해 업체들 간 가격 경쟁을 유도, 단말기 가격을 낮추려는 취지다.

대리점이 주는 보조금 못 받아

그러나 제조사와 통신사는 기존 독과점 시장을 유지하기 위해 대형마트 등에 공단말기 납품을 꺼리고 있어 구입조차 쉽지 않은 형편이다. 그나마 삼성모바일샵에서 공단말기를 구입할 수 있지만 가격이 상당하다. 삼성모바일샵 명동코즈니점에서 판매하는 갤럭시S2 공단말기는 89만7000원이다. 갤럭시S2의 출고가인 84만7000원에 인건비, 물류비, 창고 보관비 등 유통 마진이 5만원 붙어 더 비싸졌다는 것이 삼성모바일샵 관계자의 설명이다. 단말기 가격을 낮추려고 단말기 자급제를 도입했는데 오히려 가격이 높아진 것이다.

현재 KTLG유플러스 가입자가 SK텔레콤으로 번호 이동을 하면서 54요금제(월 5만4000원 정액요금제)에 가입하면 단말기를 45만2800원에 구입할 수 있다. 이 경우 소비자의 월 부담액은 5만6400원 정도에 불과하다. 통신요금 5만4000원과 부가가치세 5400원, 단말기 24개월간 할부금 1만8900원, 할부이자 1400원을 더한 금액에서 매달 지급되는 요금할인액 2만3300원을 뺀 금액이다. 대리점과 통신사의 보조금을 이중으로 받기 때문에 통신비 외에 실제 단말기를 구입하는 데 드는 비용은 거의 안 드는 셈이다. 김홍민 삼성모바일샵 명동코즈니점 직원은 “공단말기만 구입하면 이런 대리점의 보조금이 아예 지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기존 방식대로 통신사에서 2년 약정 요금제를 선택하며 단말기를 구입해서 개통하는 것이 소비자에게 훨씬 이익”이라고 설명했다.

공단말기를 구입하는 것이 더 비싼 이유는 휴대폰 제조사와 통신사들이 저렴한 단말기를 내놓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피처폰(일반 휴대전화)도 대리점의 보조금 없이 공단말기로만 구입할 경우 최소 20만~30만원대는 줘야 살 수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공단말기를 구입하는 이들은 아직까지 특정 목적의 일부 소비자층에 국한된다. 김홍민 씨는 “현재 공단말기를 구입하러 오는 고객은 세 부류로 나뉜다. 지인에게 단말기를 선물하는 경우나 해외 출장이 잦은 직장인, 연구개발 용도로 기계만 구입하려는 IT업체 직원들뿐”이라고 전했다.

[노승욱 기자 inyeon@mk.co.kr]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