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아TV, “1인 방송 위한 TV 생태계 만들겠다”

가 +
가 -
  Google 번역번역에서 제공

지난 1월1일 CJ E&M이 아시아 최초로 1인 창작자들이 만들어가는 MCN 전문 방송 채널 ‘다이아TV’를 개국했다. 모바일에서 자신만의 콘텐츠로 인기를 모으고 있는 1인 창작자들을 브라운관으로 끌고 왔다. 다이아TV 앱도 함께 런칭했다. CJ E&M은 “TV 채널 개국을 통해 모바일 기기나 PC로만 접하던 1인 방송을 TV 영역으로 확대함으로써 아시아 최대 MCN 사업자로서의 위상을 강화하는 동시에 기존 MCN(멀티채널네트워크)을 넘어 MPN(멀티플랫폼네트워크) 시대를 선도하겠다”라고 배경을 밝혔다.

DIA TV (7)

이미 모바일은 대세가 됐고, TV의 영향력을 갈수록 쇠락할 것이라는 전망이 정설이다. CJ E&M의 다이아TV는 이미 업계 1위 사업자다. 대도서관, 씬님 등 유명한 크리에이터가 함께한다. 여태껏 성취한 결과보다 앞으로의 성장이 더 기대되는 사업자다. 일견 굳이 ‘가족이 함께 보고-거실에 있는’ 과거의 미디어 소비 행태가 남아 있는 TV로 진출할 이유가 없어 보이기도 한다. 황상준 CJ E&M 미디어솔루션부문 다이아TV 편성&사업팀 팀장을 만나 다이아TV 개국의 의의를 들었다.

황상준 CJ E&M 미디어솔루션부문 다이아TV 편성&사업팀 팀장

황상준 CJ E&M 미디어솔루션부문 다이아TV 편성&사업팀 팀장

‘TV는 여전히 강력한 플랫폼’

TV는 쇠락하고 있지만, 여전히 강력하다.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가 실시한 ‘2016 방송통신광고비 조사’에 따르면 방송 광고 매출액은 전년 대비 7.4% 감소한 4조1천325억원이다. 줄어들었지만 전체 광고시장에서는 1등이다. 다이아TV는 여전히 강력한 TV 플랫폼에 크리에이터를 올려 더 많은 수익 기회를 모색하고자 한다.

tv

– TV는 전통적인 매체의 전형으로 취급된다. 광고 시장에서도 모바일 부문의 성장세가 확연한데, 굳이 TV채널을 여는 이유는 무엇인가?

= 산업화 측면에서 접근했다. 산업화가 되려면 ‘크리에이터’라는 직업군이 먹고살 수 있어야 한다. 크리에이터가 직업으로 정착될 수 있고, 산업화를 하는 데 TV가 도움이 된다고 판단했다.

최근의 MCN은 MPN, 그러니까 ‘멀티 플랫폼 네트워크’로 진화하고 있다. 그 플랫폼 중 하나가 CJ E&M이 잘하는 TV다. TV를 내면서 다이아TV 앱도 출시했다. 지금은 TV가 우세하지만, 앞으로 앱이 더 중요해질 거라고 생각한다. 그런 부분도 분명하게 보고 있다.

레거시라고 하지만 TV는 강력하다. 돈을 벌고 있고, 영향력이 분명히 있다. 지금은 TV와 뉴미디어(페이스북, 유튜브, 기타 앱 및 인터넷 서비스들)를 왔다 갔다 하면서 변곡점들이 생기고 있다. 우리는 그 사이에서 흐름을 잘 타고자 한다.

조금 더 디테일한 부분을 보자면 이렇다. 상업적인 입장에서도 우리가 판매하는 광고 상품이 뉴미디어에는 있었지만, TV에는 없었다. 이번 다이아TV 개국을 통해 상품을 묶어서 판다면 광고주 입장에서도 좋다. 크리에이터 입장에서도 수익구조를 더 만들 수 있다.

크리에이터가 돈을 못 벌면 우리도 돈을 벌 수 없다. 크리에이터는 자신만의 엣지를 가지고 창작을 계속하고, 나머지 수익화를 위해 수반되는 부문을 저희가 도와주면서 선순환할 수 있게 만드는 과정이다. 지금은 유명한 일부 크리에이터에 집중된 건 사실이다. 하나씩 해결하려고 준비하고 있다.

– 광고주가 여전히 TV를 선호하기 때문인가?

= 일을 처음 시작할 때는 5년 안에 미디어의 판도가 바뀔 거라고 봤다. 5년 지났는데 안 바뀌더라. 지금 일한 지 15년쯤 됐다. 옛날에는 15년쯤 지나면 TV가 없어질 줄 알았다. 안 없어지더라.

이미 TV 플랫폼을 축으로 산업이 자리 잡고 있고, 그 안에서 이해관계가 있다. 흐름이 빨리 바뀌지 않는다. 핵심은 돈이다. 돈이 어디로 이동하는지를 봐야 한다. 모바일 부문으로 많이 이동했다고 하지만 지상파나 CJ E&M, 종편 등을 고려하면 사이즈가 상당하다. 물론 이 사이즈가 앞으로 줄어들지 늘어날지는 지켜봐야겠지만, 우리 입장에서는 다 가지고 있을수록 좋다.

DIA TV (4)

황상준 팀장은 TV플랫폼의 강점으로 TV가 가지고 있는 헤게모니도 꼽았다. 모바일 화면에서만 나오던 크리에이터가 TV에도 나오게 되면 ‘급’이 올라갈 수 있다. 대중적으로도 크리에이터가 인정받는 계기가 될 수 있는 셈이다.

– 크리에이터는 대중을 지향하지 않는다. 대중을 상정하는 TV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 경쟁력은 만들어 나가야 하는 부분이 맞다. 다이아TV의 타깃은10-20대인데, 그들이 TV 앞에 앉아 있는 것도 아니고 그럴 시간도 없다는 걸 안다. 하지만 TV라는 플랫폼이 가진 헤게모니가 있다. ‘정제된 콘텐츠’, ‘인정을 받아서 나올 수 있는 곳’ 이런 TV의 헤게모니를 활용하고자 하는 것도 있다. TV용 콘텐츠를 추가로 만들어 유통하고 판매해 수익모델을 추가하는 것도 장점이다.

benz

먹방 전문 크리에이터 벤쯔의 유튜브 콘텐츠

DIA TV (8)

다이아TV에서 만날 수 있는 벤쯔 콘텐츠

– 전통적인 지표인 시청률은 안 중요하나?

= 아니다. 시청자를 무조건 끌어모아야 한다. 케이블은 광고료와 수신료가 가장 크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시청률이다. 시청률을 높여야 가지고 올 수 있는 수익도 높아지고, 그래야 이익을 다시 제작에 투입할 수도 있다. 출시 이벤트를 여는 등 홍보에 신경 많이 쓰고 있다. 저희 출연자 구독자 단순 합계를 내 보면 7백만명이다. 이들 대상으로 크리에이터와 함께 홍보를 진행하고 있다.

DIA TV (2)

다이아TV 편성표

– 향후 편성전략은 어떻게 가져가나?

= 일단 급하게 런칭했기 때문에 채널을 열어놓고 안정화하는 방향으로 잡고 있다. 기본적으로는 여타 채널의 편성전략과 비슷하다. 아침에는 어린이들 보는 콘텐츠 넣고, 낮 시간대에는 게임방송도 넣고, 점심시간에는 레시피나 먹방 넣고, 저녁 시간대에 재미있는 콘텐츠 넣고 밤에는 편안하게 볼 수 있는 ASMR 같은 콘텐츠를 넣는 식이다. 상반기 지나면서 TV 특성에 더 맞춰서 편성을 짤 계획이다.

DIA TV (11)

우스갯소리지만 “한국 시장은 혼자 먹기에 조금 크고, 둘이 먹기엔 작다”는 말이 있다. 그만큼 한국 시장이 작다는 뜻이다. 이 시장에서 자리 잡기 위해서는 독보적인 사업자로 자리잡아야 한다. 황상준 팀장은 다이아TV의 덩치를 키워서 시장에서 첫손에 꼽히는 사업자가 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견고한 생태계 구축을 위해서는 공정한 분배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 MCN의 역할은 무엇인가? 그 맥락에서 ‘다이아TV’ 의 개국을 설명해달라.

이 시장에서는 처음 시작하는 건 중요하지 않다. 처음 덩치를 빠르게 키운 사람이 먹을 수 있는 걸 다 먹어야 한다. 다이아TV는 그걸 해 가고 있는 과정이다. 그중에서 가장 세게 깃발을 꽂을 수 있을 만한 게 TV 채널이다.

개인적으로는 빨리 퍼스트 스케일러가 됐으면 한다. 다이아TV는 더 성장해야 하고, 돈도 많이 벌어야 한다. 아시아권에서 덩치를 충분히 키워놓고, 수익구조를 좋게 만들어서 크리에이터와 선순환할 수 있도록 먹거리를 개발하는게 비즈니스적으로 이상적이지 않을까 생각한다. 궁극적으로 크리에이터가 돈을 많이 벌게 해주는 방향을 찾는 게 핵심이다.

유튜브가 활성화됐던 것도 크리에이터가 돈을 벌 수 있게 만들어줬기 때문이다. MCN이라는 이름을 가진 회사들이 그 역할을 못 해준다면 이 시장을 산업이라고 보기 힘들지 않을까 싶다.

레거시는 앞으로 성장하기 어렵겠지만, 이 시장은 앞으로도 긍정적인 성장이 가능하다. CJ E&M도 레거시이지만, 다이아TV는 하이브리드 같은 형태로 가고 있다. 성장 여력이 많이 있다고 판단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