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 데이터(Big Data)가 부르는 명암


최근 몇 년간을 살펴보면 우리의 일상은 스마트폰과 컴퓨터 등이 없으면 중독이 생기는데 이 현상을 없애 줄 차단 어플리케이션까지 나올 정도로 아주 편리한 전자제품과 삶을 공유하고 살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전자 제품들을 그냥 단순 연락용으로만 들고 다니는 것은 아닙니다. 기기 상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지도 검색, 실시간 뉴스 확인 및 검색 그리고 각종 문서 작업도 가능합니다. 예전 70-80년대면 과연 이런 상상이 가능했을까요?


이처럼 아침에 일어나서 저녁에 잠을 청하기 전까지 아주 편리한 삶을 살고 있지만, 반대로 그러나 이 사람의 ‘생활패턴’은 철저하게 기록을 당하고 있죠. 바로 이것이 데이터(Data)들인데요. 예를 든다면 스마트폰의 GPS 길 찾기 이용이나 자기의 SNS홈페이지에 올린 글도 어떻게 본다면 데이터에 해당이 됩니다. 즉, 한마디로 정의를 내린다면 스마트 기기의 등장으로 늘어난 폭발적인 정보들을 통칭하는 말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 빅 데이터(Big Data)라는 단어 그 자체로 본다면 엄청나게 단순해 보입니다. 그러나 그 속에 가진 그 이면을 본다면 ‘경이로움과 두려움’을 가진 이중적인 존재라고 볼 수도 있지만, 단순하게 본다면 일반 데이터(Data)들이 모인 집합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평상시 사람들이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일정한 원리가 적용된 프로그램에 자기가 필요한 정보나 검색을 통해 얻는 자료들을 입력을 하는 것을 스마트 기기에 적용시킨 것뿐입니다.

이렇게 모인 정보들은 지구촌의 여러 분야와 나라에 쓰이는데, 특히 우리보다 앞선 경제력이나 국가규모가 큰 미국이나 유럽 등의 선진국들은 빅 데이터의 중요성을 일찍부터 간파해 기업 및 공공분야에 널리 쓰이고 이것을 바탕으로 해 다양한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물론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닙니다. 그래서 저 공명이는 빅 데이터가 쓰이는 사례를 한 번 소개를 해볼까합니다. 바로 미국과 우리나라입니다.

미국은 국가기관과 기업에서 상당히 이 빅 데이터를 정말 놀라울 정도로 잘 유용하게 쓰고 있는데요.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 이후, 미국 국세청(IRS)에서는 개인과 기업의 탈세를 추적하기 위해 SNS 분석을 통해 개인의 계좌, 주소, 전화번호 등이 납세자와 어떤 연관성이 있는 분석과 동시에 인터넷 상에 범죄자 대한 집단에 대한 감시 대책을 마련해 연간 3,450억 달러의 세금 환급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합니다. (윤미영, 권정은 『빅데이터로 진화하는 세상-Big Data 글로벌 선진 사례』, 한국정보화진흥원, 2012)


또한, 세계적인 기업은 구글의 사례도 빅 데이터를 논한다면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대표적인 우수사례인데요. 구글은 예전부터 인터넷 상의 웹페이지를 수집과 G메일, 구글 플러스 등을 통해 사용자 데이터를 많은 정보 등을 모으고 있습니다. 이 모은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즉각적으로 원하는 정보를 제공 할 수가 있습니다.


이것은 웹페이지 상에서 입력된 단어와 그와 관련된 자료를 추출해 관계가 비슷한 자료(블로터닷넷, 이지영, 2012)를 보여주는 원리인데 구글은 이 데이터의 활용에 관한 자료까지 발표할 정도로 계속적인 소비자에 맞는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다국적 유통기업인 월마트와 코카콜라, 할리우드 등에서 사용되고 있고, 단순히 IT분야가 아닌 의료·보건을 포함해 그 영역을 점점 넓히고 있다고 하니 실로 대단할 하지만 여기서 끝나지는 않습니다.

이번 미국 대선에서 빅 브라더의 위력이 어김없이 증명이 됐기 때문입니다. 다시 재선에 성공한 오바마대통령의 경우는 2년 전부터 빅 데이터팀을 가동과 자체적으로 6만6000번의 모의선거를 해서 데이터를 수집해서 정치헌금 모금을 위한 디너파티의 초청 대상을 결정을 할 정도로 선거에서 중요한 당선 요인으로 꼽을 정도였습니다. (한국경제, 2012.12.21.) 이것은 바로 한 개인과 기업을 초점으로 한 단위가 국가적인 차원으로 넓어짐과 동시에 그 의미가 남다릅니다.


왜냐하면 조직과 집단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그 상황이나 행동을 통제하기 위해서는 가장 필요한 것이 권력입니다. 그 권력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요인 중에 하나가 바로 정보의 유무라고 할 정도로 ‘오바마 대선 캠프’의 선거 전략은 상당한 효과를 봤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에서는 어떤 분야가 사용되고 있을까요? 우리나라의 빅 데이터는 공공분야나 미국처럼 각종 대기업에서 활용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공공기관이 많이 활용을 하고 있으며, 시장 성숙도도 타국과 비교한다면 초기단계라고 합니다. 하지만 정부가 가지고 있는 정보를 개방을 하라는 여론이 높아짐에 따라서 개방을 하라는 대책(서울경제, 2013,01,27)과 함께 각 기업에서도 삼성전자를 비롯한 SK텔레콤, 포스코등이 빅 데이터를 활용한 전략을 경영에 바로바로 적용하고 있지만 사실 다른 나라와 비교해 격차가 납니다. 그러나 우수한 IT기술을 바탕으로 한다면 그 격차는 금방 좁혀질 것이라고 예상됩니다.

또한, 미국처럼 우리나라도 헌법재판소의 판결로 인터넷 상에서 선거운동이 허용됨에 따라서 지난 대선에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중요성이 상당히 커졌습니다. 그래서 각 방송사나 여론조사 기관에서는 실제 결과를 보완하고자 빅 데이터를 활용한 SNS분석을 시행습니다. 또 SNS 분석을 전문적으로 하는 업체는 후보들의 보도와 키워드 입력 방식, 게시글 분석을 했지만 나름 의미 있는 성과는 달성하지 못한 아쉬움도 있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우리는 편리한 기술을 쓰지만, 단 한 가지 사실을 항상 명심해야 합니다. 바로 예전과 다른 생활 전반에 자리 잡은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등을 활용한 ‘표준화된 데이터’에 근거해서 살아갑니다. 이것이야 말로 본 기사를 쓰면서 강조하고 싶었던 말인데요. 우리는 조지 오웰(George Orwell)의 소설 『1984년』에서 나오는 빅 브라더(Big brother)처럼 처음에는 편리함이 우선이었지만, 나중에는 역설적으로 권력자들의 감시망이 되었다는 점에서 이제는 여러분들의 개인정보가 굉장히 중요한 시대가 왔습니다.


참고문헌

윤미영, 권정은
『빅데이터로 진화하는 세상-Big Data 글로벌 선진 사례』, 한국정보화진흥원, 2012
블로터 닷넷, 이지영기자, 2012
http://www.bloter.net/archives/132587
서울경제신문 2013년 1월 27일자 보도
http://economy.hankooki.com/ArticleView/ArticleView.php?url=it/201301/e20130127165412117720.htm&ver=v002
한국경제 2012년 12월 21일자 보도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2122178331

참고사진

사진.1 광고
http://cafe.naver.com/i30d/4604
사진.2 본인수정
http://blog.naver.com/udt4970?Redirect=Log&logNo=70146480391
http://blog.naver.com/wise_zone?Redirect=Log&logNo=60167871256
사진3 빅데이터 개념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2122178331
사진4. 미 국세청 로고 (캡쳐)
http://www.irs.gov/
사진5.구글 로고
http://kimstreasure.tistory.com/405
사진6. 오바마 트위터 (캡쳐)
http://twitter.com/barackobama
사진7.삼성전자로고
http://blog.naver.com/missalz?Redirect=Log&logNo=30150489433
사진8.헌법재판소 전경
http://blog.naver.com/koreanews82?Redirect=Log&logNo=60151430188
사진9. 조지 오웰
http://blog.naver.com/cgjk44?Redirect=Log&logNo=3015748370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