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정의, 알리바바와 손잡고 일본 내 최대 갑부 등극…재산보니 '헉!'
| |
'손정의' '알리바바' /사진=MBN |
'손정의' '알리바바'
알리바바 지분을 상당부분 가지고 있는 소프트뱅크 손정의 회장이 세계적 갑부로 등극했습니다.
중국 전자상거래업체 알리바바가 19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돌풍을 일으키며 데뷔하면서 창업자인 마윈 회장은 물론 일본 재일동포 기업가 손정의(일본명 손 마사요시) 회장이 일본 최고 갑부의 자리에 올랐습니다.
19일(미국시간) 뉴욕증시에서 첫 거래된 IT기업 알리바바의 주가는 공모가인 68달러보다 36% 가량 오르면서 시가총액이 2169억2천 만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아마존닷컴과 이베이를 합친 것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습다. 또한 2012년에 기업공개한 페이스북의 시가총액 2026억 달러를 넘어선 수치입니다.
이날 알리바바 주식은 공모가(68 달러)보다 자그마치 38.1% 높은 93.89 달러에 첫날 거래를 마감했으며, 시가총액은 단숨에 2314억 4000만 달러(241조 6000억원)로 뛰어 페이스북(2026억 7000만 달러)과 삼성전자(178조 2000억원)를 단숨에 제쳤습니다.
이로써 알리바바는 미국 증시에 상장된 IT기업 가운데 애플,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다음으로 네 번째로 큰 기업이 됐습니다.
손정의 회장이 경영하는 소프트뱅크는 이번 IPO에서 알리바바 지분을 매각하지 않고, 지분율 32.4%를 유지하기로 했습니다.
이는 19일 종가 기준으로 747억 달러(77조 9000억원)에 해당합니다.
소프트뱅크가 알리바바 지분을 팔지 않고 유지하는 것은 손정의 회장이 알리바바의 성장성을 높이 평가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손정의 회장은 2000년 마 회장과 만난 후 소프트뱅크가 2000만 달러(약 207억원)를 알리바바에 투자토록 결정했으며, 이 결단이 14년 만에 엄청난 대박으로 이어진 것입니다.
이로써 손정의 회장은 재산이 166억 달러(17조 2000억원)로 일본 내 최대 갑부가 됐습니다.
'손정의' '알리바바' '손정의' '알리바바'
![](http://wstatic.dcinside.com/gallery/images/mobile_icon_1.gif)
- 글쓴이
- ㅁㅁㅁㅁㄹ
- 조회
- 354
- 댓글
- 2
- 2014-05-09 07:03:00
- 121.146.*.*
일본 소프트뱅크 손정의 회장이 중국 최대의 전자상거래 기업인 알리바바에 우리 돈 200억을 투자하고 59조원을 번 것으로 나타났다. 블룸버그통신 등 외신은 "알리바바는 지난 7일 새벽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상장 추진를 위한 서류를 제출함에 따라 공동 창업자와 투자 파트너 28명이 억만장자가 될 것이라 예측되고 있으며 이 중 손정의 회장이 최대 승자가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손정의 회장은 14년 전, 창업한지 2년 밖에 되지 않은 알리바바에 무려 2천만달러(204억3천만원)를 투자했다. 이에 따라 소프트뱅크는 알리바바 지분의 34.4%를 보유해 최대 주주가 됐다. 현재 업계에서는 알리바바의 시장가치가 1천680억달러(171조6천2백억원) 규모로 보고 있다. 이는 페이스북의 현재 시장가치인 1천502억달러(153조4천293억원)보다 많은 것이며 구글의 3천475억달러(354조9천712억원)의 절반에 달한다. 이같은 수치를 기준으로 하면 소포트뱅크가 보유한 알리바바 지분의 가치는 무려 578억달러(59조427억원)에 달한다. 초기 투자액인 2천만달러를 증시 상장으로 무려 2천890배나 불렸다. 실리콘밸리 벤처캐피털인 크로스퍼시픽 캐피털의 그레그 타르 상무는 "투자에 있어서 성공의 기준은 최초 투자액과 최종수익의 차이가 얼마나 나는지이다"며 "손정의 회장은 아시아의 워런 버핏"이라고 평가했다. 지난 30년간 손정의 회장이 투자한 기업을 살펴보면 알리바바 외에도 야후, 시나닷컴(新浪), 왕이(网易) 등 포탈사이트, 중국 최대 도서 사이트 당당넷(当当网), 대형 온라인 관광티켓 사이트 셰청넷(携程网, 씨트립), 중국판 페이스북 런런넷(人人网) 등이 있다. 손정의 회장은 알리바바의 기업공개(IPO) 이후에도 지분을 30% 이상 유지할 방침이다. 손 회장은 "알리바바는 소프트뱅크와 떨어질 수 없는 핵심적인 회사"라며 "알리바바 지분을 팔 계획이 없다"고 말했다. 한편 알리바바 창업자인 마윈 회장은 알리바바 지분의 8.9%, 공동 창업자인 차이충신(蔡崇信)은 3.6%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 Copyright ⓒ MBN(www.mbn.co.kr
http://navercast.naver.com/magazine_contents.nhn?rid=2864&contents_id=92439
'5대양 6대주& 녹지그룹'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커스] 중국 녹지그룹, 왜 제주의 ‘드림타워’를 고집하는가? (0) | 2016.03.05 |
---|---|
중국 '조' 단위 온라인 시장, 남다른 스케일 (0) | 2016.02.10 |
첫 외국계 병원 승인 의료관광 활성화되나<기획> 지정 9년만에 병원 승인된 헬스케어타운 (0) | 2016.01.29 |
국내 첫 외국계 영리병원 승인…중국 '녹지국제병원'(종합) (0) | 2016.01.29 |
중국 온라인 교육시장의 활성화 (0) | 2016.01.23 |
마밍저 소개 중국핑안보험| 회장 (0) | 2015.11.23 |
텐센트 + 알리바바, 평안보험까지? 中 최고 합작사 탄생 (0) | 2015.11.23 |
제주초콜릿-감귤가공품 녹지그룹 손잡고 중국 시장 공략 (0) | 2015.10.13 |
영리병원에 대한 생각 (1) 영리법인병원이란 무엇인가? (0) | 2015.09.20 |
영리병원은 국민이 바라는 의료서비스로 가는 첫 단추 (장윤성 마취과 전공의) (0) | 2015.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