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장을 위한 인문학

 

책소개

스타벅스 하워드 슐츠, 알리바바 마윈, 마이크로소프트 빌 게이츠, 페이스북 마크 저커버그… 세계적인 기업을 일군 이들이 틈날 때마다 강조하는 내용이 있다. “사업을 할 때 인문학이 중요하다”는 내용이다.
페이스북 마크 저커버그는 “미래 사업의 힌트와 사업 문제 해결책을 인문학에서 찾았다.” 했고, 애플의 스티브 잡스는 “애플의 DNA에는 인문학이 새겨져 있다”고 했다. 이들뿐이 아니다. 이름을 열거하기 힘들 정도로 수많은 CEO가 벽에 막히거나 방향을 못 잡을 때 인문학에서 답을 찾았다고 말한다.

왜 이들은 인문학을 찾을까? 사업은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고, 그 사업 역시 사람이 하는 것인데 인문학이 사람을 연구하는 학문이기 때문이다. 뛰어난 기술로 만든 제품도 사람에 대한 이해가 담기지 않으면 소비자에게 사랑받지 못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삼성이 계열사 사장단 회의가 있는 수요일에 인문학 초청 강좌를 6년간 지속한 이유 역시 마찬가지다. 경영할 때 일어나는 모든 문제가 사람에게서 출발한다는 것을 간파한 것이다.

그렇다면 인문학을 어떻게 경영에 적용해야 할까? 신간 <사장을 위한 인문학>은 이 질문에 대한 지름길로 안내하는 책이다. 넓고 방대한 인문학 도서 중에서 사업을 하면서 일어나는 문제에 적용할 수 있는 것만 쏙 뽑아 정리했기 때문이다. 매출 증가, 인재 채용, 조직 관리, 미래 전략 등 기업의 성장 단계별로 일어나는 문제와 해법을 30권의 인문고전 사례를 통해 설명한다.

저자는 말한다. 4차 산업혁명, 메타버스. ESG 경영… 매번 새로운 화두가 던져지고 환경이 급변하는 이런 혼란스런 시대일수록 인문학책을 읽어야 한다고. 그게 사는 길이라고. 인간의 본질은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 현대 경영학의 구루 피터 드러커가 “경영이란 전통적 의미의 인문학”이라고 말하고, 스티브 잡스가 “인문학이 없었다면 지금의 애플은 없었을 것이다”라고 말한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지 않겠는가.

 

 

사장을 위한 인문학 _책 읽는 다락방 J

 


회사를 차리든 자영업을 운영하든 직원을 두기 시작할 때부터 
업무 자체보다 더 많은 고민과 스트레스가 생깁니다…
자신의 스타일대로 하자니 꼰대 소리 들으며 무시당할 것 같고
그렇다고 말을 안하자니 속이 터지고 일이 잘 돌아가질 않죠.

예전에 어디서 본 듯한 싯구를 생각하면서 ‘이미 준 것은 다 잊어버리고 못다 준 사랑만 기억하자‘는 마음가짐으로 대해보지만 이미 받은 것은 다 잊고 못해준 것만 기억하려는 직원들을 보면 섭섭하다못해 얄밉기도  합니다.
나름 잘 해준다고 하는데도 끝 없는 불만과 반복되는 퇴사에 다 때려치우고 
그냥 혼자 하고 싶은 마음이 불쑥 들 때도 있지만 그럴 수도 없는 노릇이지요.

근데 재미있는 건 당사자가 누구의 직원이 되는 순간, 다른 직원들과 별다를 바 없다는 겁니다. 고용주와 고용인, 상사와 부하 직원과의 관계는 이렇게 평행선일 수 밖에 없는 걸까요?
이런 고민은 사실 옛날부터 있어왔는데요, 현자들은 어떤 기준과 마음가짐으로 사람을 뽑고 어떻게 처세했는지를 살펴보는 책 한권을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센시오에서 펴낸 [사장을 위한 인문학]이란 책인데요, 이 책의 저자인 이 남훈씨는 사업의 본질에 대해 서두에서 이런 얘기를 합니다.
사업이란 좋은 물건을 팔거나 탁월한 서비스를 제공해서 수익을 창출하는 일이지만 비즈니스의 핵심은 사람이라구요. 직원이라는 사람이 제품과 서비스를 만들고 고객이라는 사람이 그것을 사는 것이죠. 그러므로 사업의 본질은 사람이 그 시작이자 마지막이며, 따라서 사장이나 관리자가 사람과 사람 마음에 대한 공부,  즉 인문학적인 소양을 갖추고 있을 때 사업에서도 성공할 수 있다고 얘기합니다.

이 책은 사업을 하다 보면 흔히 겪게 되는 고민들 20가지에 대한 질문에
동서양 사상가 40여 명이 그에 대한 답을 제시해주고 있는데요, 아마 사업을 하시는 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지은이_이남훈 / 펴낸곳_센시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