멍청한 사람, 똑똑한 사람, 부지런한 사람
책속에서
P. 68 살벌한 궁중 암투의 소용돌이 속에서 동방삭은 기인으로 유명했다. 그는 옷이 기름범벅이 되건 말건 먹다 남은 고기를 품에 넣어 집으로 가져가거나, 황제에게 받은 재물을 미녀 아내를 맞이하는 데 모두 사용했다. 게다가 1년 이상 함께 산 사람이 없을 정도로 아내를 자주 바꾸었다. 사람들이 미쳤다고 비난하자 동방삭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옛 사람들은 세상을 피하려고 깊은 산속에 숨었지만, 나는 조정 속에서 세상을 피한다.” 접기
P. 101~102 인간의 어리석음을 동물에 비유한 고사성어로는, 천하의 요충지인 관중을 팽개친 채 자신의 고향과 가까운 팽성에 도읍을 정하려던 항우에 대해 관을 쓴 원숭이라고 비아냥거린 목후이관(沐?而冠)이란 표현이 눈길을 끈다. 보기에는 그럴듯하지만 행동이나 생각은 누가 뭐래도 원숭이란 의미다.
진짜 용기는 내면에서 나오지 겉모양에서 나오지 않는다. 속된 말로 ‘폼만 잡으며’ 약자를 괴롭히는 삼류 건달이나 깡패들의 거들먹거림은 만용이자 비겁에 지나지 않는다. 자로는 스승 공자에게 늘 이 점을 지적받곤 했다. 앞뒤 돌아보지 않는 조급한 성격 때문에 그는 결국 비명횡사했다. 접기
P. 104 대분망천은 곰곰이 새길수록 깊은 속맛이 느껴지는 성어다. ‘서로 대립되거나 모순적인 몇 가지 일을 동시에 돌볼 수는 없다’는 이치를 지적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야를 머리에 인 채, 다시 말해 편견과 오만이 가득 찬 마음으로 사물의 본질을 바라보려는 어리석은 태도를 비꼬는 명언이기도 하다.
사실 ‘대분망천’은 사마천의 통렬한 자기반성이자 고백이다. 공무에 쫓겨 친구들과의 만남을 끊고 집안 식구들도 제대로 돌보지 못한 채 오로지 일에만 매달려온 그가 일과 자신에게 갇혀 지칠 대로 지친 자화상을 발견한 것이다. 더욱이 그 모든 것이 황제의 눈에 들기 위한 가증스러운 행동이었다. 접기
P. 131 주공은 천하의 인재들을 얻기 위해 매우 애썼다. 목욕하는 도중 손님이 찾아오면 씻다 만 머리카락을 움켜쥔 채 허둥지둥 손님을 맞이하길 세 번이나 했고, 밥을 먹는데 손님이 찾아오면 먹던 것을 뱉고 손님을 맞이하길 세 번이나 했다고 한다. 일목삼착 일반삼토는 유능한 인재를 찾기가 쉽지 않음을 비유하는 유명한 명언이자 성어다.
'CEO& 리더십 > 독서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모 루덴스 ㅡ 이 책은 인류의 미래에 대한 서곡이다 ㅣ 호모 루덴스 ㅣ연암서가 ㅣ Homo Ludens: a study of the play element in culture (0) | 2021.10.29 |
---|---|
『코스모스 COSMOS 』 칼 세이건 (1)~(3)편까지 한번에 듣기 중간광고없음 (0) | 2021.10.28 |
신경 청소 혁명 - 신경의 막힘.누출.과한 흐름을 잡으면 모든 병이 낫는다! (0) | 2021.10.20 |
그냥 하지 말라 - 당신의 모든 것이 메시지다 (0) | 2021.10.15 |
사장을 위한 인문학 (0) | 2021.10.03 |
로마의 쇠망에서 깨닫는 대한민국의 현재 (0) | 2021.09.21 |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건 진정한 리더다 <권력의 조건> (0) | 2021.09.21 |
우리 사회를 돌아보게 하는 '호세 무히카 어록 10' <세상에서 가장 가난한 대통령 무히카> (0) | 2021.09.21 |
관계가 주는 소음으로부터 벗어나 갖는 '웅크린 시간' (0) | 2021.09.21 |
대여대취 大予大取 크게 주고 크게 얻어라 (0) | 2021.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