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병원 옮길 때마다 'CT·MRI 되풀이 찍기' 끝낼 때다

입력 : 2014.01.24 03:04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의료용 진단 장비로 인한 환자들의 개인별

 누적 방사선 피폭량(被曝量)을 기록해 관리하는 전산 시스템을 도입하기로 했다.

 

전국 1500개 병원의 컴퓨터단층촬영(CT),

 양전자 방출-컴퓨터단층촬영(PET-CT), 엑스레이 등을

 찍은 기록을 관리해 단기간에 너무 많은 방사선에 노출된 경우엔

 다른 검사로 바꾸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CT나 엑스레이 등은 질병 진단을 위한 필수 장비이다.

 그러나 이것들은 방사선 장비여서 너무 자주 찍게 되면

 되레 암 발생 위험을 키울 수 있다.

 

 CT의 방사선 방출량은 엑스레이의 100배나 된다.

식약처가 환자 개인별 방사선 노출량을 관리하겠다는 것은

  국민 건강을 위한 조치로 평가할 만하다.

 

우리 국민 1인당 의료용 방사선 피폭량은 2007년

 0.93mSv(밀리시버트)에서 2011년 1.4mSv로 50% 이상 늘었다.

 

병원들이 경쟁적으로 첨단 의료 장비를 들여온 후

 꼭 필요하지 않은 환자들에게도

CT나 PET-CT 촬영을 권하는 탓이 크다.

 

우리나라의 인구 100만명당 CT와 PET-CT 보급 대수는

  각각 35.9대와 3.3대로 OECD 평균(23.2대, 1.7대)을 크게 웃돈다.

 

지난해 어떤 40대 뇌출혈 환자의 경우 30일 동안

  6만6020원짜리 CT를 24번이나 찍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과잉 진료 판정을 받았다.

 

동네 의원에서 CT를 찍은 후 큰 병원을 다시 찾아갔을 때

 똑같은 CT 검사를 다시 되풀이하게 만드는 것도 큰 문제다.

 

2011년엔 불과 한 달 전에 CT를 찍은 상태에서

 병원을 옮긴 50만명 가운데 10만명가량이

 옮겨간 병원에서 CT를 다시 찍었다는 통계도 있다.

 

한 번 검사에 수십만원씩 하는 자기공명영상(MRI) 촬영도

  병원을 옮길 때마다 반복해야 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정부가 고가 장비를 이용한 검사는 수가를 높게 정해

 병원들이 과도한 진단 검사를 하게 만들었다는 지적도 많다.

 

진료 수가와 검사 수가가 균형을 이루도록 수가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환자들도 CT 같은 방사선 진단 장비를 이용할 때는

 꼭 필요한 검사인지 따져봐야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