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용ㆍ결혼상대 외국인이면 어때"

등록일:2006.01.17 07:12
◆지금은 하이브리드시대 (1)◆

우리 사회의 중요한 코드로 자리잡은 하이브리드 현상은 왜 발생한 것일까?

아직까 지 학계에서든, 기업에서든 '하이브리드 현상'에 대해 정확하게 내려진 정의는 찾 아보기 어렵다.

그러나 그 원인에 대해서는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바로 △기술발 전 △소비자 니즈(요구)의 변화 △영역간 장벽 허물기가 연결고리를 형성하면서 영 향을 미쳤다는 것이다.

◆ '편리성' '다기능' 소비자 니즈의 변화

=하이브리드 현상이 일상생활 속에 밀접 하게 자리잡은 데는 무엇보다 다양한 기능을 하나의 제품을 통해 즐길 수 있는 '편리함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의 니즈다.

이는 '편리함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의 욕망은 끝이 없다'는 평범한 마케팅 이론과도 맥이 통한다.

교통카드 기능은 물론 MP3 기능까지 갖춘 휴대폰이나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편의성 과 함께 기술발전이 뒷받침됐기 때문에 시장에서 히트하고 있는 경우다.

지난해 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렸던 CES쇼에서도 시간도 체크하고 음악도 들 을 수 있는 손목시계와 망원경이 관심을 모았으며 디지털카메라 기능이 강화된 휴 대폰 역시 폭발적인 인기를 끌기도 했다.

SK경영경제연구소 홍성진 연구원은 이 같은 하이브리드 현상에 대한 예로 "최근 나 온 DMB폰 서비스는 기존 방송을 휴대폰으로 볼 수 있는 서비스이지만 앞으로는 이 로 인해 통신 영역과 방송 영역을 벗어난 제3 영역이 발생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국 NPD그룹 스티븐 베이커 애널리스트는 "기술 발전으로 기업들은 한 제품에 소 비자들이 원하는 기능을 모두 넣을 수 있게 됐다"면서 "다만 소비자들은 제품 크기 가 작을수록 좋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이러한 조건에 맞춰 기능을 갖춰야 한다는 게 문제점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경제학자들은 이처럼 다목적ㆍ편리함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의 특성을 다리는 말이고 몸체는 인간인 '센토르(centaur)'로 비유하고 있다.



'센토르'들은 최첨단 기술을 갖춘 제품을 원하면서도 전통적인 방식으로 구입하려 는 구세대의 욕망과 동기를 가지고 있으며 이성과 감성의 조화, 최첨단 기술과 인 간성의 조화를 추구한다는 것이다.

때문에 인터넷이 오프라인 사업을 완전히 대체 하기는 힘들고, 온ㆍ오프라인의 적절한 조화가 있어야 성공할 수 있었던 점도 이와 같은 맥락이라고 볼 수 있다.

◆ 영역 파괴로 새로운 시장 창출

=상품간, 또는 업종간 영역이 파괴되고 있는 금 융권 모습은 전형적인 하이브리드 현상이라 할 수 있다.

또 새로운 상품개발에 이 은 새로운 시장이 형성되고 있다.

하이브리드 채권의 경우 채권처럼 매년 확정이자를 받고, 주식처럼 만기도 없으면 서 매매 가능한 신종 자본증권으로 주식과 채권의 중간적 성격을 띠고 있다.

또 보험과 은행의 영역을 허문 방카슈랑스와 올해 초부터 본격화되고 있는 증권과 은행간의 장벽 허물기는 금융권 하이브리드 현상을 더욱 가속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 대표적인 이종격투기인 K1과 프라이드는 격투기의 영역을 파괴해 전혀 새로운 영역 을 창출한 예다.

더군다나 영역파괴 과정에서 장점만을 따오기 때문에 시장에 미치 는 영향은 대단하다.

◆ 순혈주의 쇠퇴

=국제결혼이나 채용 등에서 발생하는 하이브리드 현상은 '한국( 인)의 글로벌화'가 가장 큰 요인으로 꼽힌다.

전대영 아리랑월드 사장은 "국가간 영토구분이 없어지고, 내외국인이 손쉽게 왕래 할 수 있는 여건에선 과거처럼 국제결혼을 백안시하지 않는다"면서 "해외 파견근무 가 많아지면서 요즘에는 전문직들의 국제결혼이 늘고 있는 추세"라고 말했다.

세계의 기업들과 국경없는 경쟁을 치러야 하는 기업들은 순혈주의 타파에 더 적극 적이다.

이에 따라 '노동력 보완용' 근로자 채용에서, '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전 문직으로 채용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모 대기업 관계자는 "기술과 산업간 경계가 불분명해지는 만큼 기업들이 전문화되 면서도 여러 영역에서 골고루 활용할 수 있는 인력을 뽑으려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 다"고 말했다.

◆ 하이브리드(hybrid)란

= 원래 이질적인 요소가 서로 섞인 것으로 이종(異種), 혼합, 혼성, 혼혈이라는 의 미를 지닌다.

보다 넓은 의미로는 이종을 결합해 부가가치를 높인 새로운 무엇인가 (시장이나 영역 등)를 창조하는 통합 코드로 인식되고 있다.

휴대폰에 전화통화 기 능과는 전혀 관련성이 없어 보이는 카메라, MP3 기능 등을 섞어 휴대폰 가치를 올 리는 것과 같은 이치다.

또한 다양성과 다원성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다양성과 다 원성이라는 기초 위에서 반대 의견을 포함한 사회의 다양한 목소리를 포용해 통합 하는 하이브리드적 접근방식이 정치ㆍ사회적 통합 코드로 최근 관심을 모으고 있다.

[기획취재팀 = 황국성 차장 / 사회부 = 박봉권 기자 / 국제부 = 조현정 기자 / 산 업부 = 방정환 기자] < Copyright ⓒ 매일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우주카다로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료  (0) 2006.01.27
성공 메세지  (0) 2006.01.26
남들을 바꾸는 유일한 방법  (0) 2006.01.23
백만장자 마인드  (0) 2006.01.20
꿈을 이루어내는 4단계  (0) 2006.01.19
메라비언의 법칙 중  (0) 2006.01.17
修身濟家治國平天下(펌)  (0) 2006.01.16
몸짓으로 마음을 읽는 기술 22  (0) 2006.01.13
풍요의 원리  (0) 2006.01.12
성공과건강한 삶을 원하신다면  (0) 2006.01.1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