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성의 『인문고전 독서법』- 제7화. 우리가 만든 기적 인문고전에 빠지다... / 게시판 2011.02.07. 02:37 |
우리나라 학생들은 수업 시간에 질문하는 일이 없기로 유명하다. 왜 그럴까? 실제로 궁금한 게 없기 때문이다. 물론 교과 내용을 완벽하게 이해하고 있어서가 아니라 물음표를 떠올리는 능력을 잃어버려서다. 우리나라 학생들이 이렇게 된 것은 교육제도 탓이다. 공·사교육을 막론하고 유치원부터 대학원까지 그저 머릿속에 지식을 쑤셔 넣기만 하는. 그렇다고 우리나라 학생들이 대단한 백과사전적 지식을 갖게 되는 것도 아니다. 그런 교육을 받은 우리 자신이 잘 알고 있듯이, 얄팍하기 짝이 없는 지식만 갖추게 될 뿐이다.
유치원부터 대학원까지 무려 약 20년 동안 교육을 시키고도 지적으로 무능력한 인간을 만드는 우리나라 교육이 변화하려면 무엇보다 먼저 물음표 교육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세계 인구의 0.2퍼센트에 불과하지만, 전체 노벨상 수상자의 22퍼센트를 배출해낸 유태 교육처럼 말이다. 인문고전 독서 교육 중 철학고전 독서 교육은 학생으로 하여금 지식의 근본 원리 즉 지혜에 도달할 때까지 ‘왜?’라고 묻게 만든다. 왜 그렇게 되는지 궁금한 사람은 오늘부터 철학고전 독서를 해보기 바란다. 그 이유를 저절로 깨닫게 될 것이다. 나는 감히 주장하고 싶다. 만일 철학고전 독서 교육이 제대로 정착하면 우리나라는 유태 민족보다 더 많은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하게 되는 것은 물론이고 천재들을 지속적으로 배출하게 될 것이라고.
초등학교 교사 시절, 나는 우리 반 아이들에게 플라톤, 논어, 장자를 읽혔다. 아이들은 아침 자습 시간마다 철학고전을 한 페이지 이상 읽고, 그 의미를 나름대로 생각해보고, 필사를 해야 했다. 당시에 내가 맡았던 반은 소위 문제아 반이었다. 초등학교 1학년 때부터 4학년 때까지 한 건 이상의 굵직한 사고를 친 아이들이 모두 우리 반에 있었다. 내가 그런 아이들을 무척 좋아해서, 반 배정을 할 때 다른 반 선생님들을 설득해 문제아들을 몽땅 데려왔기 때문이다. 우리 반에는 공부나 독서는 물론이고 세상과도 담을 쌓은 아이들이 좀 있었다. 책가방에 교과서나 노트는커녕 연필 한 자루도 없는 아이, 수업 시간에 몰래 빠져나가서 문방구 앞에 설치된 게임기에서 게임을 하는 아이 정도는 귀여운 편에 속했다. 담배를 피우는 아이, 술을 마시는 아이, 중학생 폭력서클에 가입한 아이, 세상이 싫다며 아파트에 불을 지르려다가 붙잡힌 아이, 다른 학교 아이들의 돈을 갈취하다가 붙잡힌 아이, 못을 잔뜩 박은 각목 같은 불법무기를 만들어서 친구들에게 제공(?)하는 아이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심각한 수준의 학교 부적응 증세로 신경정신과를 주기적으로 다니는 아이들도 몇 있었다. 덕분에 우리 반은 3월 진단평가에서 최악의 반 평균 점수를 자랑하며 전교 꼴찌를 했다.
나는 그런 아이들이 좋았다. 그리고 함께 있으면 마음이 편했다. 그래서 아이들과 열심히 놀았다. 1,2교시는 운동장에서 자유롭게 놀고, 3,4교시는 근처 공원에서 즐겁게 놀고, 학교로 돌아와 점심을 먹고, 5,6교시는 최신 만화 영화를 본 날도 있었을 정도였다. 게다가 숙제는 보통 ‘3잘’ 즉 잘 놀고, 잘 먹고, 잘 자기였다. 그렇게 몇 주를 놀고 나니 아이들이 슬슬 불안해하기 시작했다. 노는 것도 좋지만 공부도 가끔씩 해야 하지 않겠느냐는 의견(놀랍게도 문제아들도 동일한 목소리를 냈다)이 임원진을 통해 전달될 정도였다. 나는 때가 되었다고 판단했다. 그래서 이제부터 나와 함께 하는 공부는 너희들이 원해서 하는 것이라는 메시지를 분명히 전하고 비로소 ‘공부’를 시작했다.
우리 반은 2학기 때 전교 일등을 했다. 전 학년과 비교할 때 대부분 평균 10~30점 정도 올랐고, 평균 40~50점 이상 오른 아이들도 몇 있었다. 초등학교 4년 내내 수학 점수를 30점 이상 맞아본 적이 단 한 번도 없던 아이 두 명이 각각 80점, 90점을 맞는 일이 일어났는가 하면, 3월 진단평가에서 학습 부진아 판정을 받았던 십여 명의 아이들이 전부 평균 80~90점 이상을 받는 일이 일어났다. 소위 공부 기적이 일어난 것이다. 더욱 멋진 일도 일어났다. 담배와 술을 끊고, 폭력서클을 탈퇴하고, 신경정신과를 다니지 않게 되는 등의 변화가 함께 일어났다. 여기에 대한 것은 『성공하는 아이에게는 미래형 커리큘럼이 있다』와 『피노키오 상담실 이야기』 등에서 자세히 이야기한 바 있다.
우리 반이 만들어냈던 공부 기적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는 철학고전 독서였다. 물론 대학 교수들도 어려워하는 철학고전을 초등학교 공부와도 담을 쌓은 아이들에게 가르치려니 고충이 이만저만 아니었다. 하지만 내가 철학고전을 읽으면서 두뇌의 변화를 경험했기 때문에 철학고전만큼은 반드시 읽히고 싶었다. 그래서 열과 성을 다했다. 그러자 고맙게도 서서히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가장 큰 변화는 수업 시간에 일어났다. 놀랍게도 지난 몇 년 동안 수업 시간에 ‘왜’라는 질문을 단 한 번도 던져본 적 없던 아이들이 ‘왜?’라고 묻기 시작했다. 그것도 집요하게 아니 탐욕스럽다는 표현이 어울릴 정도로. 아이들은 마치 지식의 끝을 보려고 하는 광적인 학자처럼 굴었다.
삼각형의 넓이 구하는 공식을 가르쳤던 날이 눈에 선하게 떠오른다. 아마도 내가 철학고전을 읽히지 않았다면 수업은 간단히 끝났을 것이다. 삼각형의 넓이 구하는 공식을 도출해내는 방법을 알려주고, 교과서에 나오는 문제를 몇 개 풀어주고, 칠판 앞으로 네 명 정도 불러내서 문제를 풀게 하고, 수학책에 비해 난이도가 높은 수학 익힘 책 문제를 푸는 숙제를 내주는 것으로 끝냈을 것이다. 그리고 나와 아이들 사이엔 어떤 질의응답도 없었을 것이다. 고작해야 내가 “자 이렇게 이렇게 푸는 거야, 알았지?”라고 질문하고, 아이들은 기계처럼 “네~!” 하고 대답했을 것이다. 하지만 그날은 달랐다. 아이들은 삼각형이 무엇인지 알고 싶어했다. 또 거기서 더 나아가서 삼각형을 만든 사람은 누구인지, 그는 왜 하필 삼각형을 만들 생각을 했는지, 삼각형의 넓이를 왜 구해야 하는지, 삼각형의 넓이 구하는 공식이 5학년 교과서에 실린 이유는 무엇인지 등을 알고 싶어했다. 심지어는 삼각형과 삼각형 넓이 구하는 공식이 인간의 실제 생활은 물론이고 인류의 역사에 어떤 영향을 미쳐왔는지 그리고 앞으로는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인지를 궁금해하는 아이들도 있었다. 부끄럽게도 난 아이들의 이런 질문들에 구체적으로 답변할 능력이 없었다. 그래서 나의 부족함을 솔직히 시인하고, 아이들을 학교 도서관으로 데리고 갔다. 그리고는 도서관의 책들을 통해 질문에 대한 답을 스스로 찾게끔 했다.
늘 이런 식이었던 것은 아니지만, 지식의 근원을 파헤치고자 하는 ‘왜?’라는 질문으로 채워진 수업을 몇 번 겪고 나자 아이들에게는 자연스럽게 책을 읽는 습관이 생겼다. 그것도 단순한 독서가 아니라 자신의 궁금증을 해소하고자 하는 일념 아래 작게는 몇 권 많게는 십수 권의 책을 마치 지적 전투를 치르듯 빠르고 강렬하게 읽는 독서법을 구사했다. 그때 나는 깨달았다. 아이들이 참으로 어마어마한 지적 잠재력을 가졌다는 사실을 말이다.
교과서는 비유하자면 도서관 요약집이다. 도서관의 문학 서가를 책 한 권으로 요약해놓은 것이 국어 교과서고, 과학 서가를 책 한 권으로 요약해놓은 것이 과학 교과서란 소리다. 그렇다면 도서관을 읽은 아이가 교과서를 이해한다는 것은 식은 죽 먹기일 것이다. 나는 우리 반 아이들의 기적적인 성적 향상의 비결이 바로 여기에 있었다고 생각한다.
참으로 안타까운 것은 우리 반 아이들의 철학고전 독서가 단기간, 그러니까 나와 함께 있었던 시간에만 이루어졌다는 사실이다. 여기에 대해서는 깊이 이야기하고 싶지 않다. 그냥 우리 모두가 잘 알고 있는 우리 교육의 한계 때문이었다는 정도로만 말하고 싶다. 아무튼 우리 반 아이들은 학년이 바뀌면서 철학고전 독서와 서서히 멀어졌고, 중학생이 되어서는 누구도 철학고전을 읽지 않았다. 그리고 나와 함께 한동안 보여줬던 어떤 지혜의 빛도 잃어버리고 말았다.
나는 한 번씩 생각해본다. 만일 당시 우리 반 아이들이 그 뒤로도 철학고전 독서를 꾸준히 제대로 했다면 지금쯤 세계 또는 한국 지식인 세계에 신선한 충격을 던져줄 인물이 한 명쯤은 나오지 않았을까 하고 말이다.
[출처] 이지성의 『인문고전 독서법』- 제7화. 우리가 만든 기적 |작성자 와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