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글라스'로 비밀번호 다 본다…사생활 침해 '논란'
기사입력 2014-07-12 08:42
◀ 앵커 ▶
구글의 스마트안경, '구글 글라스'가 시판에 들어가면서 논란도 커지고 있습니다.
사생활 침해는 물론, 비밀번호와 같은 개인정보도 너무 쉽게 훔칠 수 있다는 실험 결과가 나왔습니다.
◀ 리포트 ▶
잠에서 깨자마자 날씨를 알려주고.
"오후 2시 서점 앞에서 봐."
음성으로 문자 메시지를 주고받습니다.
눈으로 보는 모든 걸 촬영해 저장할 수도 있습니다.
구글이 자랑하는 스마트 안경, 구글 글라스입니다.
150만 원 안팎에 미국 등지에서 팔리고 있지만, 논란도 커지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남몰래 촬영이 가능해 사생활 침해 소지가 높다는 것.
때문에 착용을 금지하는 식당이나 영화관이 늘고 있습니다.
◀ 까페 손님 ▶
"(금지해야죠.) 안경으로는 전혀 티가 안 나게 바로 사진을 찍을 수 있잖아요."
사생활 침해를 넘어 개인 정보를 몰래 빼가는 사이버 범죄에 악용될 수도 있습니다.
미국 메사추세츠 대학 연구진이 태블릿 PC의 암호를 풀고 있는 한 여성을 구글 글라스로 촬영해 실험해 봤습니다.
◀ 후 교수/매사추세츠대 ▶
"(제가 입력한 숫자를 보지 않고도 암호를 맞출 수 있나요?) 네."
숫자가 보이지 않는 거리에서 촬영했는데도 단번에 암호를 알아맞춥니다.
"당신 암호는 5120이에요. (맞아요.)"
암호 입력자의 손가락 움직임과 번호판의 숫자 위치를 분석한 결과입니다.
◀ 후 교수/매사추세츠대 ▶
"전자기기의 화면과 손가락을 보고 암호를 훔쳐요."
같은 원리로 은행 계좌의 비밀번호도 알 수 있습니다.
◀ 후 교수/매사추세츠대 ▶
"당신이 만약 모바일 뱅킹 암호를 입력하고 있었다면 (도둑맞는 거죠.)"
결국 비밀번호를 지키려면 전자기기의 숫자판 위치를 계속 바꿔줘야 한다는 게 연구진의 결론입니다.
쓰고 있는 사람에겐 편리함을 주지만, 주변 사람들은 불안하게 만드는 구글 글라스.
착용자가 늘어날수록 논란은 더욱 거세질 것으로 보입니다.
구글의 스마트안경, '구글 글라스'가 시판에 들어가면서 논란도 커지고 있습니다.
사생활 침해는 물론, 비밀번호와 같은 개인정보도 너무 쉽게 훔칠 수 있다는 실험 결과가 나왔습니다.
◀ 리포트 ▶
잠에서 깨자마자 날씨를 알려주고.
"오후 2시 서점 앞에서 봐."
음성으로 문자 메시지를 주고받습니다.
눈으로 보는 모든 걸 촬영해 저장할 수도 있습니다.
구글이 자랑하는 스마트 안경, 구글 글라스입니다.
150만 원 안팎에 미국 등지에서 팔리고 있지만, 논란도 커지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남몰래 촬영이 가능해 사생활 침해 소지가 높다는 것.
때문에 착용을 금지하는 식당이나 영화관이 늘고 있습니다.
◀ 까페 손님 ▶
"(금지해야죠.) 안경으로는 전혀 티가 안 나게 바로 사진을 찍을 수 있잖아요."
사생활 침해를 넘어 개인 정보를 몰래 빼가는 사이버 범죄에 악용될 수도 있습니다.
미국 메사추세츠 대학 연구진이 태블릿 PC의 암호를 풀고 있는 한 여성을 구글 글라스로 촬영해 실험해 봤습니다.
◀ 후 교수/매사추세츠대 ▶
"(제가 입력한 숫자를 보지 않고도 암호를 맞출 수 있나요?) 네."
숫자가 보이지 않는 거리에서 촬영했는데도 단번에 암호를 알아맞춥니다.
"당신 암호는 5120이에요. (맞아요.)"
암호 입력자의 손가락 움직임과 번호판의 숫자 위치를 분석한 결과입니다.
◀ 후 교수/매사추세츠대 ▶
"전자기기의 화면과 손가락을 보고 암호를 훔쳐요."
같은 원리로 은행 계좌의 비밀번호도 알 수 있습니다.
◀ 후 교수/매사추세츠대 ▶
"당신이 만약 모바일 뱅킹 암호를 입력하고 있었다면 (도둑맞는 거죠.)"
결국 비밀번호를 지키려면 전자기기의 숫자판 위치를 계속 바꿔줘야 한다는 게 연구진의 결론입니다.
쓰고 있는 사람에겐 편리함을 주지만, 주변 사람들은 불안하게 만드는 구글 글라스.
착용자가 늘어날수록 논란은 더욱 거세질 것으로 보입니다.
'MAMAA, 미래 ,ICBM'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의 지구 정복 프로젝트 톱5 (0) | 2014.07.17 |
---|---|
미래부, 홀로그램 시대 준비 나섰다 (0) | 2014.07.17 |
특별기획_사물 인터넷 혁명, 모바일 시장판도 바꾼다_1부 (0) | 2014.07.14 |
[강병준의 IT 인사이드] 차세대 인터넷 신사업 사물인터넷을 말하다 (0) | 2014.07.14 |
사물인터넷, IoT(Internet of Things)는 무엇일까? (0) | 2014.07.14 |
'제6의 감각’ 스캐너로 제품 훑고 건강쇼핑 (0) | 2014.07.13 |
소리 없이 1000억원 번 페이스북코리아 대기업 시장도 `눈독` (0) | 2014.07.13 |
메르세데스벤츠·현대 “이게 미래형 자율운전차” (0) | 2014.07.13 |
국내 연구진, 차세대 태양전지 최고 효율 달성 (0) | 2014.07.13 |
`소셜미디어의 세계` 깊이있게 파헤친 입문서 (0) | 2014.07.13 |